• Title/Summary/Keyword: 연구분야

Search Result 29,196,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the Disciplinary Convergence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학제적 융합 가능성 도출 연구)

  • Lee, Jee Yeon;Kam, Mi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1
    • /
    • pp.129-155
    • /
    • 2018
  •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various aspects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and also to propose collaboration method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applicability of the user studies in other subject areas, the degree of keyword overlap between the user studies and the User Experience (UX), one of the research in practice discipline, was measured.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science methods including simple frequency analysis were applied to more than ten thousand published papers to generate the network mapping and ranking as well as comparative analysis by tim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lightly lesser overlap between the user studies and the UX in the domestically published articles than the international ones. It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occurrences of collaboration and the keyword overlap. The tempor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increasingly more keyword overlap between two disciplines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ctive convergence in the future.

A Proposal for Promotion of Research Activities by Analysis of KOSEF's Basic Research Supports in Life Sciences (한국과학재단의 생명과학분야 기초연구지원 추이분석을 통한 연구활동지원 활성화 제언)

  • Min Tae-Sun;Kim Seong-Yong;Cho Soon-Yeong;Jeong Soon-Wook;Han In-K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5 no.1 s.68
    • /
    • pp.152-159
    • /
    • 200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s field, and we evaluated the research funding trend an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funding offered by KOSEF in this field. Researchers in this field have received more research funding from the group-based programme than from the individual-based programme. Also, they have received less money (per project) than did researchers in other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The portion of research funds given to the Medical Sciences fields has markedly increased year by year, whereas the portion of funding given to the Agricultural Sciences and Biological Sciences fields has decreased annually. To encourage research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s field in Korea, the following actions and systems are required: 1) formulation of a mid-and a long-term research master plan, 2) development of a database on man power in related fields, 3) activation of top-down research topics, and associated increase of individual research grants, 4) development of special national programs for basic researches in Life Sciences, 5) organization of a committee for policy and planning within related societies, and 6) system development for fair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research activities.

A Review of Research on Social Computing: Focused on Blog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소셜 컴퓨팅 연구동향 분석 - 블로그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

  • Woo, Hangjoon;Hwang, Kyung Ta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7 no.3
    • /
    • pp.3-2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 articles on social computing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 total of 51 articles published in social scientific journals from 2006 to 2010 are analysed by research theme, methodology, level of analysis, and application area.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are addressing blogs and mainly focusing on societal concepts rather than organizational concepts. The predominant methodology is field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es on social computing need to address more various topics and application areas. Also diversity in terms of methodology and level of analysis is required.

  • PDF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ward the 21st Century) (21세기 대비 기초과학정책의 방향)

  • 송충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6-6
    • /
    • 1998
  • 다가오는 21세기를 대비하여 많은 나라들이 정보와 지식을 확보함으로써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지식의 공급원천인 기초과학에 대해서는 그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기초과학을 국가경쟁력 강화에 어떻게 연계시키느냐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21세기를 앞둔 지금 우리의 바람직한 기초과학정책의 방향은 우리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이면서, 기초과학이 지니는 특성을 충분히 감안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21세기 우리의 기초과학정책이 추구해야 할 목표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지식의 증진, 둘째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셋째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이다. 이 세 가지 목표는 상호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이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ⅰ) 기초과학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지원의 강화 :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은 정부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창의적 연구와 학제간 연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 (ⅱ) 연구와 교육의 연계를 통한 과학기술인력의 양성에 기여 :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훌륭한 과학기술인력이 양성되어야 한다.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훌륭한 과학기술인력은 미래의 우리 나라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ⅲ) 국제적 연계의 강화 : 우리 나라의 SCI 점유율은 1%에 불과하다. 국제적 과학기술연계를 통하여 세계의 과학기술지식에 접근하고 협력의 이익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ⅳ) 프로그램 위주의 지원방식과 분야별 지원방식의 병행 추진 : 기초과학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분야의 특성과 경제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분야별 우선 지원을 병행하여야 한다. 분야별 우선 지원을 위해서는 분야별 전망보고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야별 우선 지원 분야의 도출 및 이의지원은 창의적 연구에 대한 보완적 개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선진국의 경우에도 우선 지원분야에 대한 연구비 배분은 5-10%사이이다. (ⅴ) 성과관리를 통한 지원효과의 극대화 : 기초과학의 지원에 있어서 그 성과를 특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연구비 지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성과관리를 하여야 한다. (ⅵ) 효율적인 혁신시스템의 구축 : 혁신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연구부문과 산업부문을 연결시킬 수 있고, 새로운 분야를 담아낼 수 있는 유연한 분야분류체계를 정립하여야 하고, 둘째 연구결과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연구지원기관간 연계시스템의 구축을 구축하여야 한다.

  • PDF

해양바이오 분야 R&D 지원의 동향분석과 함의 : 정부 R&D 사업 분석을 중심으로

  • Jang, Duckhee;Doh, Soo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75-139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 R&D의 지원동향 분석을 기초로 향후 이 분야 정부연구개발 사업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NTIS DB를 통해 식별한 3,030건의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과제명을 기초로 한 주제어 간 연결 관계를 SNA(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이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은 사업수와 연구비 지원규모 면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분야 특성상 이 분야에 대한 R&D 지원은 해수부가 주도적이지만, 대체로 범부처적 성격을 갖는다. 셋째, SNA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업이 해양생명자원이 가진 특이기작으로부터 유용신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xamining the interdisciplinary structure of Korean cognitive science through analyzing author affiliations and title words (연구자 소속과 표제어 분석을 통한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학제적 구조 파악)

  • Lee Jae-Yun;Jung J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8a
    • /
    • pp.127-1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연구자 소속 정보와 논문의 표제어 분석을 통해 학제적 구조 파악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에서 대표되는 학문 영역은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인지과학, 철학, 교육학, 의학, 경영학이었다. 두 시기(1기: 1989-1998, 2기: 1999-2003)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는 1기에서는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순으로 우세한 학문분야가 나타났다. 이와 달리 2기에서는 심리학, 컴퓨터과학, 인지과학, 언어학의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컴퓨터과학의 비중이 초기에 가장 높다가 감소했다는 점에서 외국의 사례와 유사하지만, 외국에 비해서 언어학 분야 연구자의 비중이 다소 높은 것이 국내 인지과학 연구의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사용한 표제어를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서 모두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은 인지과학분야에서 융합되기 보다는 독자적인 연구영역을 형성하였다. 또한 시기별 표제어 분석을 통해서 컴퓨터과학이나 심리학 소속 인지과학 연구자들의 관심사가 1기에서 2기로 넘어가면서 변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ation Patterns in Sciences and Humanities: Based on Bibliometric Data from Korea Citation Index (과학 및 인문학 분야 출판 패턴의 비교 분석 :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의 서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 Yang, Kidu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0 no.3
    • /
    • pp.23-47
    • /
    • 2019
  • In order to ascertain disciplinary differences in publication patterns that can help improve assessment of research performance in Korea, we analyzed the bibliometric data of six disciplines from Korea Citation Index.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research size, competitiveness, productivity, impact, and collaboration among disciplines. Disciplines in science were the largest in terms of author and institution followed b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ut humanities produced the most publications per author, followed by social science and science disciplines. Sociology publications received most citation per paper but humanities received most citations per author, which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co-authors per paper. Distribution of author counts per paper varied widely across disciplines. Humanities were dominated by single-author publications, whereas the majority of publications in sciences were co-authored. The study also highlighted differences in citation lag time and illustrated differences in distribution and impact of core authors and institutions across disciplin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kill System in Environmental Field (환경분야 국가직무체계 개발 연구)

  • Park, Jong-S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94-10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falls in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kill system in environmental field. The jobs were classified by the commonly used terms in the field. Consequently there are three large groups, twelve middle groups which again narrow down to smaller jobs according to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each job in the group, and forty one jobs in total in the area. Six levels were identified for the definition of job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level by reflecting job levels by expertise.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field, job levels were also defined in accordance with each area such as 'environment plan and assessmen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environment', 'environment management', 'environment design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health management', 'environment resources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and consulting', and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 the definitions of jobs and the standards of performances by jobs and levels were resulted in through a consultation consisting of experts in the environment industry and academy.

Manual control의 최근 연구동향 -20차 연례 Manual Contol회의 참가 보고-

  • 남문현
    • 전기의세계
    • /
    • v.34 no.1
    • /
    • pp.24-29
    • /
    • 1985
  • Manual control에 대하여는 국내에 소개된 지도 얼마 되지 않고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의 수도 현재로서는 적은 편이며 이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 또한 거의 없는 실정이다. Manual control은 앞서 간단히 소개한 바와 같이 제어이론, 인간공학, 생체공학, 응용심리학 등이 종합하여 이루어진 학문분야로서 인간과 기계가 시스템을 이루는 분야에의 응용이 매우 광범위하다고 보겠다. 특히 공학적 측면이 강조되기 때문에 제어이론이나 로보트학과 같은 분야에서는 물론 방위산업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새로이 개발할 과제가 많아 육성이 시급하며 앞으로 이와같은 전문학술외의에 많은 참여가 있어야 하겠다.

  • PDF

Direction of Fire Safety Development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Firefighting-Related Research (소방분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 발전방향)

  • Jeong, Mu Heon;Lee, Sun Jai;Park, In-Se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5
    • /
    • pp.103-10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safet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To this end, 929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been sorted by field of study and analyzed for frequency.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fire chemistry and physics,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fire safety design and management, evacuation and human behavior. In contras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uman behavior, fire safety education, or training. This result is discussed in the articl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bjectives ar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