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시설

Search Result 1,01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스마트 항로표지 인터페이스 플랫폼 기술 요구사항 표준화 방안

  • 김건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2-184
    • /
    • 2023
  • '스마트 항로표지 현장시설 고도화 연구'를 통해 다양한 센서를 통해 해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하여 선박과 육상 연계시스템에 전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업체에 종속되지 않고 미래 기술 발전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항로표지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대한 기술 요구사항의 표준화 방안을 정리한다. 이미 정의된 표준 구문은 그대로 수용하고, 신규 센서의 경우 관련 구문을 새로 정의하여 표준화하며 장치들을 직집 연결하거나 망 접속을 통해 연결하기 위해 정의되어야 하는 사안들을 정리한다.

  • PDF

A Study on the Pedestrian Mall Planning and its Design in Campus Surroundings -in the Case of the Regenerated Block of Kyungchun-railroad Track-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보행전용가로 조성방안 연구 -서울산업대학교앞 철도폐선부지를 중심으로-)

  • Yoon, Yong-G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4 no.4
    • /
    • pp.75-8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lanning elements in the pedestrian malls when cultural events for young ages proved; the planning strategies for the regeneration of the block of Kyungchun-railroad track, which is removing planned in campus surroundings. Local Government' initiation makes possible to make improvement and g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hich is sensitive to the existing conditions of railroad for the better living environment. Thus, this research suggests how the block of Kyungchun-railroad track, which is removing planned, as a newly organized pedestrian mall design system can cope with collaborating a board and community, which has in campus surroundings related.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four parts; 1. six-case pedestrian mall in campus surroundings in Seoul were analyzed in terms of physical and cultural factors for young ages between university and community. 2. we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planning factors and the spatial requirements for cultural event when the pedestrian mall in campus surroundings is designed. The paper's significance lies in that it shows a new direction in urban renewal planning and design which has been made into a pedestrian mall plan through in support of the application to the pilot project compared with previous physical environment.

Study on the Japanese local Medical Facility Function Improvement Direction - Focused on the regional medical care plans of local governments - (일본 지역의료시설의 기능정비 방향에 관한 연구 - 지자체의 권역별 의료계획을 중심으로 -)

  • Park,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7 no.4
    • /
    • pp.33-40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edical facility improvement in each area, a move to strengthen local medical services. Also, this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has similar social conditions as Japan's. Based on the findings, Japanese medical facility improvemen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as for medical service supply system, the linkage between facilities was being strengthened. The purpose is to share the functions and roles of limited medical facilities. It allows patients to receive complete medical services in one area. Second, local public health facilities were consolidated to boost their management efficiency and to improvement their original functions. Third, local medical facility role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levels. The purpose is to treat patients more efficiently depending on their diseases. In other words, the cooperative medical system was strengthened by dividing the roles of medical facilities. It is aimed at treating each patient more systematically depending on their conditions in line with the treatment stage. Th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for Korea. In order to supply and maintain stable medical services regionally in line with social changes, functional issues of medical facilities should be tackled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 Yoon, Hee-Y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4
    • /
    • pp.1-20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tribution strategies of public library as cultural infrastructure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For this goal, researcher evaluated how public libraries contribute to the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terms of interdependence of public library and local culture. Then, the researcher divided into the local culture to knowledge culture, reading culture, learning culture, living culture, and leisure culture, and suggested six contribution strategies(improving core competencies including the collection development and user service, strengthening education and support for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reading promotion and base expansion for everyday life, optimization of lifelong learning & culture program services, increasing openness and friendliness of the facilities and space,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relevant agencies) of public library for their development and promotion.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ailway Station Water Tower (철도역사 급수탑 주변 활성화에 관한 연구)

  • Lee,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4
    • /
    • pp.357-362
    • /
    • 2010
  • The railroad that represents modern industry began appearing in 1899. However, after the steam locomotive that provided water stopped the service, the water towers within the railroad station were useless. Sugg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for activat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water towers that are designated as the cultural properties results are as followed: 1) The pl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he vestiges of Korean War and the region that different novels accommodated. 2) A plaza 3) A facility for exhibition of industry inheritance and local products 4) A local landmark 5) Reproduction of the historical steam locomotive and water tower Local residents should participate in the activation process. And the designer should consider the environmental context.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water towers should be designed under an urban plan.

Security measur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of Water Resources Field (댐·보 등 수자원분야 정보통신기반시설 보안대책)

  • Yu, Se-Hwan;Jang, D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34-1037
    • /
    • 2013
  • ICT infrastructure is electronic control systems or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public administration, defense, policing, finance. Water resources sector has been building a system of control that can be performed electronically, communications, management, energy, and other work-related. Water resources sector has been a paradigm shift in water management and the control system is integrated into a single network. The control system security vulnerabilities are exposed - other control networks, business networks, linking with outside agencies, etc. Cyber terrorist society can cause a huge mess economically, The importance of security for control systems is becoming. In this paper, ICT infrastructure - the water resources in the field of control systems will analysis security measures.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ourses - Current Statu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oposal of Sustainable Education Courses -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문화유산교육 현황과 지속가능한 교육과정 방안 제안 -)

  • Lho, Ky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27 no.2
    • /
    • pp.57-68
    • /
    • 2020
  • This research aims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opose the methodolog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he model of the curriculum for each education subjec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was examined separately by general public,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and practitioners. Second, we review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and the UNESCO World Heritage Competency Framework(CF)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r each education subject. By examining the methodology and curriculum model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e tried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 model of the cultural heritage curriculum for each educational subject was proposed by reflecting the direction and the cyclical education model of sustaina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we intend to use the educ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to specifically propose basic guidelines for the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curriculum.

Smart Water Management for Rural Water District for the pilot operating (농촌수자원 Smart 물관리를 위한 시범지구 운영)

  • Kim, Jin-Taek;Oh, Seoung-Tae;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4-444
    • /
    • 2012
  • 본 연구는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물부족 현상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향후 물부족에 대비한 농업용수의 친환경적인 적정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친환경 녹색기술 개발과 농촌수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한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촌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하여 농업기반 수리시설과 농업용수의 전통적인 인력관리가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이를 혁신할 수 있는 친환경, 녹색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으로 농촌수자원 관리기술의 개발하고 이에 농업용수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농촌지역 수리시설과 농업용수 관리를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센서네트워크 계측제어기술 및 모바일기술을 적용하여 농촌수자원 스마트 물관리를 위한 시범지구를 운영 하였다. 시범지구는 섬진강댐 수계의 동진도수로, 김제간선, 정읍간선으로 용수를 공급하는데 이중 수혜면적 17,600 ha, 수로연장 59 km의 김제간선에 시범지구로 선정하였다. 김제간선의 용수공급량은 년평균 163,748천톤의 공급하고 있다. 시범지구 운영은 5개년 중 1차년도(2011년)에는 현장시설 설치 총 87지점에서 15개소를 설치하였으며 시범지구의 영농 및 물관리 특성, 용수공급량 조사 분석하였으며 시범지구의 운영시스템 구축과 Smart 물관리 프로그램(Web, App)개발 하였다. 시범지구 운영은 한국농어촌공사 물관리분야 관련 신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인큐베이트 역할을 하며 통합수자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현장 물관리 기술의 보급과 공사의 대표적인 물관리 시범지구로 활용 및 사업 홍보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PDF

UAV-borne, LiDAR-based Elevation Data : Facilitating Risk Knowledge Sharing for Green and Sustainable Communities (LiDAR 활용 : 지식교류를 통한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실현에 관한 연구)

  • Lee Han Gul;Yoon Hong Sic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11-112
    • /
    • 2022
  • 모든 도시가 발전하고 번창하기 위해서는 핵심기반시설의 재난 및 안전이 선제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핵심기반시설을 중심으로 지역사회가 지속 가능한 녹색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재난준비태세 증진에 실제 활용 가능한 위험지도를 드론에 장착한 LiDAR 센서를 통해 수집한 고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나아가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 시 시설에서부터 확산하는 관리 오염물의 경로 및 범위를 시범 모의하여, 기능 연속성 계획 및 재난대응 가이드와 연계를 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 지자체 중심의 통합적 지역사회의 노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기초적 연구를 진행하고, 전략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끊임없는 성장과 거듭되는 개발로 인해 변화하는 도시의 형상에 따라 리스크를 최신화하여 대응력을 높이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시각화된 재난 범위 모의를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와 지자체 역량에 따른 협력적 재난대응태세에 필요한 프레임워크 도출 및 계획수립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또한, 각 영역별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된 확산 모의의 방법론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모호한 "가능한 신속한 자원관리"와 같은 추상적인 대응계획이 아닌, 객관적인 재난자원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후 국가적 재난 및 안전역량을 계량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for implementa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on Cisangkuy river basin in Indonesia (인도네시아 찌상쿠이강 유역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적용 연구)

  • Kim, Eugene;Ko, Ick Hwan;Park, Cha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9-469
    • /
    • 2017
  • 기후 변화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물부족 국가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집중형 강우의 형태가 많아짐에 따라 홍수피해 및 상수공급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20여 년간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과정에서 인도네시아는 인구와 산업의 과도한 도시집중으로 지난 1960-80년대 한국이 산업화 과정에서 겪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자카르타와 반둥을 포함하는 광역 수도권 지역의 물 부족과 수질 오염, 환경문제가 이미 매우 위험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찌따룸강 중상류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3대 도시인 반둥시는 고질적인 용수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2010년 현재 약 일평균 15 CMS의 용수가 부족한 상황이며, 2030년에는 지속적인 인구증가로 약 23 CMS의 용수가 추가로 더 필요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용수공급 문제 해결을 위해 반둥시 및 찌따룸강 유역관리청은 댐 및 지하수 개발, 유역 간 물이동 등의 구조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대책으로써 기존 및 신규 저수지 연계운영을 통한 용수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당유역의 용수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비구조적인 대책의 일환으로써 다양한 댐 및 보, 소수력 발전, 취수장 등 유역 내 수리 시설물의 운영 최적화를 위한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은 센서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시설물 및 운영자, 유관기관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유기적인 상호연계 체계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유역의 수문상황과 시설물의 운영현황, 용수공급 및 수요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수요에 따른 즉각적인 용수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및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개별 물관리 시설물에 대한 최적 운영룰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유역의 수문상황과 용수 수요 현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용수공급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개발의 목적은 찌상쿠이 유역의 수문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하천시설물의 운영을 분석하여 최적의 용수공급 및 배분을 통해 유역의 수자원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문자료의 수집체계를 구축하고 기관간 정보공유체계를 수립함으로써 분석을 위한 기반 인프라를 구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유역 유출을 비롯한 저수지 운영,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및 예측결과, 과거 운영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물관리 시설 운영룰 및 시설물 간 연계운영 방안, 용수공급 우선순위 의사결정 등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은 통합 DB를 기반으로 수리수문 현상의 모의 분석을 통해 하천 시설물 운영의 합리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관리주체들의 시설물운영에 대한 이견 및 분쟁을 해소하고, 한정된 수자원과 다양한 수요 간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분배 및 시설물 운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