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문화공원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Visitor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 Baek, Jae-Bong;Kim, Dong-P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2
    • /
    • pp.113-11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park management by analyzing satisfaction factors and estimated regression model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or the visitors to Bukhansan National Park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visitors are satisfied with such variables as 'illegal camping', 'cooking act' and 'padded bills' but extremely unsatisfied with 'waste problem', 'congestion', 'damage of visiting trails' and 'lack of cultural facilities'. In the result of satisfaction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facility management factor'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degree. In the estimated model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amage of natural resources' and 'damage of cultural and historic resources', and 'lack of traffic facilities' were found to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Analysis of Changes in Discourse of Major Media on Park Issues -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2019 - (공원 이슈에 대한 주요 언론의 담론변화분석 -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 Ko, Ha-j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5
    • /
    • pp.46-58
    • /
    • 2021
  • Parks became essential to people after the introduction of modern parks in Korea. Following mayoral elections by popular vote, issues surrounding parks, such as the creation of parks, have arisen and have been publicized by the media, allowing for the formation of discours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analysis by collecting news articles from major media outlets in Korea that addressed issues related to parks since 1995, after the introduction of mayoral elections by popular vote, and analyzed changes over time in the discourse on park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analysis, the following five topics were classified: urban park expansion (Topic 1), historical and cultural parks (Topic 2), use programs (Topic 3), zoo event (Topic 4), and conflicts in the park creation process (Topic 5). The park-related discourse addressed by the media is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process and conflicts regarding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parks are treated as the central discourse. Second, the names of parks appear as keywords every time a new park is created, and they are mentioned continuously from then on,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discourse. Third, 'residents' form discourse about the public nature of the park as the principal agent in park-related medi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how parks are interpreted and how discourse is formed and changed by the media. It is expected that discourse on parks will be addre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other media, such as regional and specialized magazines.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ourism development with conservation activities in the 1930s through the repair work on the main building of J angansa temple (장안사 대웅전 보존 수리공사와 1930년대 금강산 개발 - 근대기 건축문화유산 보존과 관광지 개발의 영향관계 연구)

  • Seo, Hyowon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9 no.3
    • /
    • pp.25-3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onservation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 the modern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building of Jangansa Temple, located in Mt. Geumgang, was repaired in the 1930s. During the repairs, the Japanese General-Government actively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Mt. Geumgang and raised funds for the ope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ourism revenue. The repair work was carried out under the influence of the Mt. Geumgang development project. And its influence is revealed by reviewing official documents recording repair work.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repair work through official documents.

A Basic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as a Park (민가정원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공원화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 Yeom,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 /
    • pp.50-57
    • /
    • 2015
  • A traditional garden in Korea has diverse cultural, historical values, such as the then phases of the times, life phase, culture and art, etc. because i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 structures. However, in reality, it's urgent to do efficient, continuous maintenance of traditional gardens which are being damaged and lost due to the problems like an owner's aging, inheritance, and lack of management, etc., especially in case of private property which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among such traditional gardens under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this research in a bid to use these research results as basic evidentiary materials for suggesting directivity in introduction of park planning of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in the near future by implementing the case investigation of transformation into public parks from traditional private gardens in Japan, which is putting the newly introduced park planning to efficient use, together with its systematic management, and the survey on domestic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status, as well as the hearing-based survey on a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owner's level of willingness to accept the introduction of parking planning.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in case of traditional gardens in Japan, they are mobilizing the revenue from admission fees for traditional gardens maintenance by incorporating the main entity of possession, and Japan is promoting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gardens into parks on the basis of use and preservation through the conne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surveying domestic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garden owners had hardships in its management, and they were positive about systematic maintenance of gardens through park planning.

The Contents of Namsan Park Records at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서울기록원 소장 남산공원 기록물의 현황과 내용)

  • Kim, Jung-Hwa;Gil, Jihye;Seo, Young-Ai;Park, Hee-Soung;Choi, Hyeyoung;Lee, M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6
    • /
    • pp.110-123
    • /
    • 2022
  • Namsan Park in Seoul was designated as a "grand park" in 1954 and is currently operated as an 'Urban Nature Park Area' and four 'neighborhood parks.' However, despite the park'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an urban park, it has been discussed mainly from a perspective revolving around notions of a mountain or a city wall. To ensure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Namsan Park's history, this study examined public records at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SMA), which houses the city's permanent records for preservation and organization. To this end, documents in the SMA Database (DB) were analyzed, yielding 1,359 records concerning Namsan Park. Based on the cont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park were identified through production periods, record types, and disclosure types. Then, essential keywords concerning organizations, people, geographical areas, subjects, and business functions were examined. Finall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msan Park in public records were scrutinized, focusing on specific spaces. This research also uncovered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park drawings, photos, planting lists, plant parcel lists, an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decisions regarding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Although the public records do not contain a comprehensive history of Namsan Park,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primary historical changes and deliberation processes pertaining to the park's history.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intended to interpret and describe public records is expected to identify many implications. In addition, because the public records showed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that center on specific periods and events, an essential task is to advance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with various related institutions, designers, researchers, and citizen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n Seochon in Seoul (서울 서촌지역의 역사문화경관 보존 및 복원)

  • Lee, Jin-Hyang;Kim, Sun-Hwa;Seo, U-Hyeon;Lee, Jae-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98-110
    • /
    • 2011
  • Seochon('West Village') is located in the west side of Gyeongbokgung(Gyeongbok Royal Palace) inside the old city wall of Seoul. Seochon has beautiful scenic view surrounding Mt. Inwang and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gion in Korea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rich. But when the figure of Seochon which has repeated the changes with the ones of the times is considered, values of beauty of natural landscape that Seochon had and its own placeness have not been gradually recognized as it has been swept away in logic of the development on the strength of economic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original form of landscape on Seochon which can be the standard of landscape change, the causes and process of its change and possibility to conserve and restore it to recognize potential value about historical culture of Seochon landscape and conserve and protect it. For thi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iterature including poems and Yusangi, paintings and name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s as the landscape texts with the current status. The study result has found that Pilwundae should rehabilitate cultural assets to secure the prospect right and protect neighboring bedrock, Suseong-dong should expand the restoration areas focusing on the projects to make parks which are now being restored, Cheonghwigak and Cheongpunggye areas should restore waterways including historicity which is connected to figures and Seshimdae and Baekun-dong green zone should set the protective area for conservation.

Analysis of Sustainable Management Factors in County Parks Based on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 Nature Parks - Focus on the 11 County Parks in Gyeongsangnam-do -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에 기반한 군립공원 지속가능성 영향요인 분석 - 경남권역 11개소 군립공원을 대상으로 -)

  • Hong, Sukhwan;Ahn, Rosa;Tian, Wanting;Heo, Hagyoung;Pak, Junho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3
    • /
    • pp.12-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 Natural Parks to county parks in Gyeongsangnam-do, and to review the performance statu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and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ectiveness in protected areas. County park officers evaluated current management using this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E framework design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mong the principal values of county parks, 'natural and ecological' is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ultural and historic value' and 'leisure and recreation'. Natural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visitor impact-inappropriate visitor behavior are indicated as current threats, and three county parks administrators viewed that there was no particular threat to their park. According to MEE results,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fields were 'State of cultural and historic value', 'State of leisure and recreational value', 'Current state of principal value'. The comparatively weaker fields were 'Threatened species management', 'Invasive species management', 'Managem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The effects of sustainable management on county parks were analyz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nfluence of management factors reveal 'Annual budget', will impact attaining higher management scores.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management information about county parks and provides support for the basis for the planning of county parks in Korea, suggesting the influencing factor.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러시아의 북극해 관광 개발 동향과 시사점 - Russia Arctic National Park를 중심으로 -

  • Kim, Gyeo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83-185
    • /
    • 2012
  • 북극권의 최대 지주인 러시아가 국가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북극권 관광 프로그램 개발의 성과가 구체화되고 있다. 러시아는 2008년 북극해 지역의 'Russia Arctic National Park' 구상을 발표한데 이어, 2009년 6월 푸틴총리가 이 국립공원을 설립하는 법령에 서명함으로써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북극해 지역은 독특한 동식물상, 해빙, 문화유산, 인류의 북극 탐험 역사 등 타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경관과 콘텐츠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6월부터 9월까지 한정된 여행 기간, 북극해 지정학적 여건이 안정화되어 있지 않다는 점, 관광객의 안전을 담보할 구호 기반이 취약하다는 점, 이 지역에 방치되어 있는 폐기물의 처리 등은 극복해야 할 요인이다. 이 논문은 북극해 관광 현황, 국제사회 동향, 북극해 국립공원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 PDF

기기냉각수 최저온도와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 개도에 관한 설계분석

  • 김도현;이중섭;오종필;오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44-449
    • /
    • 1995
  •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의 정지냉각운전시 최대냉각율은 75$^{\circ}$F/hr(41.7$^{\circ}C$/hr)로 기술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다. 정지냉각운전 냉각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중요한 변수는 정지냉각계통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과 기기냉각수의 온도다. 이중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은 butterfly형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개도에 따른 throttle 능력이 중요한 인자다. 또 기기냉각수의 온도는 해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와 기기냉각수 온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냉각능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 울진 3&4호기 정지냉각계통 열 교환기 및 조절밸브 둥의 설비를 기준으로 기술사양서 상의 냉각율 75$^{\circ}$F/hr(41.7$^{\circ}C$/hr) 유지가 가능한 최저 기기냉각수의 온도를 찾아보았고, 아울러 기기냉각수의 온도와 조절밸브의 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울진 3&4호기 조절밸브를 최저개도로 조절할 때 약 57$^{\circ}$F(13.9$^{\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도 냉각율 제한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최저조절가능 유량이 약 2000 gpm(7570 l/min)일 경우에는 낮은 기기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최대냉각율을 초과하므로 한 train을 정지시키고 한 train만으로 운전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저 약 56.5$^{\circ}$F(13.6$^{\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향후 기기설계사양서나 운전지침서 등에 반영되어 실제 발전소 설계 및 운전절차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