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n Seochon in Seoul

서울 서촌지역의 역사문화경관 보존 및 복원

  • Lee, Jin-Hya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Kim, Sun-Hwa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Seo, U-H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이진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선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서우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1.10.24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Seochon('West Village') is located in the west side of Gyeongbokgung(Gyeongbok Royal Palace) inside the old city wall of Seoul. Seochon has beautiful scenic view surrounding Mt. Inwang and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gion in Korea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rich. But when the figure of Seochon which has repeated the changes with the ones of the times is considered, values of beauty of natural landscape that Seochon had and its own placeness have not been gradually recognized as it has been swept away in logic of the development on the strength of economic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original form of landscape on Seochon which can be the standard of landscape change, the causes and process of its change and possibility to conserve and restore it to recognize potential value about historical culture of Seochon landscape and conserve and protect it. For thi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iterature including poems and Yusangi, paintings and name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s as the landscape texts with the current status. The study result has found that Pilwundae should rehabilitate cultural assets to secure the prospect right and protect neighboring bedrock, Suseong-dong should expand the restoration areas focusing on the projects to make parks which are now being restored, Cheonghwigak and Cheongpunggye areas should restore waterways including historicity which is connected to figures and Seshimdae and Baekun-dong green zone should set the protective area for conservation.

서촌은 서울 도심에 위치하며 인왕산을 배경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역사와 문화적 자원이 풍부한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경관 지역이다. 하지만 시대의 변천과 함께 변화를 거듭해온 현재 서촌의 모습은 서촌이 지녔던 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서촌만이 간직한 장소성이 경제적 논리에 밀려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서촌 경관에 녹아있는 역사 문화의 잠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경관의 보존과 보호를 위하여 경관 변화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경관은 무엇이며, 어떤 변천과정을 거쳐 경관이 변화되어 왔으며, 복원 시 기준이 되는 경관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관 텍스트로 시, 유산기를 비롯한 문학작품, 회화, 경물의 명칭을 설정하여 고문헌과 현대문헌, 근 현대 지도, 회화작품 등을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서촌의 경관은 자연경관의 원형이 잘 보전되어 있으며, 인문 사회적 장소성을 지닌 조선 후기 경관을 원형경관으로 규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경관변천의 원인이 되는 사회 문화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서촌은 서울을 대표할 수 있는 역사와 문화적 특성을 지닌 곳으로 서촌만이 가진 정체성을 지닌 보존이 요구된다. 특히 산맥과 물길 명소별 보존을 위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백사 이항복과 권율 장군의 집터였던 필운대는 조망권 확보 및 주변 암반 보호를 위한 문화재 복원을, 안평대군의 비해당이 있었던 수성동은 현재 복원 중인 공원화 사업을 중심으로 복원지역의 확대를, 안동 김씨의 세거지이면서 위항문학의 산실이었던 청휘각과 송석원과 선원 김상용의 별서지였던 청풍계 지역은 인물과 연계된 물길의 복원이 요구되며, 조망경관이 우수하고 현재 녹지의 보전이 비교적 양호한 세심대와 백운동 계곡은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 설정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파주: 돌베개. pp. 20-219.
  2. 권선정(2002). 텍스트로서 신도안 읽기. 문화역사지리. 14(3): 19-36.
  3. 권선정(2003). 풍수의 사회적 구성에 기초한 경관 및 장소 해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선정(2008). 지명 경관을 통한 장소 의미의 구성. 문화역사지리. 20(3): 15-30.
  5. 김세천, 이행렬, 노복윤, 오동현(1991). 역사경관 보존관리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촌사회발전연구소. 2: 61-75.
  6. 김영삼(1998). 역사문화도시의 보존과 개발에 관한 법적 문제. 토지공법학회지. 5: 17-43.
  7. 김한배(1998). 우리도시의 얼굴 찾기: 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 연구. 서울: 태림문화사.
  8. 김한배(2007). 서촌 역사문화 탐방로 조성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22-36.
  9. 김한배(2010). 서촌의 산악경관과 원림문화: 서촌 역사 경관 도시조직의 변화(6장).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 180.
  10. 김해경(2009). 사회적 구성으로 본 서울의 역사문화경관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찬용,김한배(2003).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및 정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4): 47-61.
  12. 배우리(1998). 조선시대 한양 안의 땅이름들. 어원연구 창간호.
  13. 서울역사박물관(2010). 서촌 1. 역사. 경관. 도시조직의 변화. 서촌 2. 사람들의 삶과 일상.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146, 180-184, 271, 273-277, 280.
  14.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시사 편찬위원회. pp. 228-230.
  15. 손민영(2005). 산수화의 공간인식과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지선(2006). 청계천 상류지천 유역의 역사탐방로 계획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안수정(2006). 인왕산 동쪽 기슭의 권력과 경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진숙(2011).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경관자원의 가치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왕백민(1991). 동양화 구도론. 서울: 미진사. pp. 215-235.
  20.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3. 서울: 휴머니스트. pp. 40-95,463.
  21. 이진향, 이재근(2011). 청풍계 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50-58.
  22. 이현군(2005). 조선시대 한성부의 형성배경과 입지적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1): 29-39.
  23. 정영철(2002). 한국 전통마을의 경관구조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논문집. 18: 193-207.
  24. 최샛별(2010). 서울 서촌의 문화지구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완수(1993).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서울: 범우사. pp. 51, 158, 182.
  26. 최완수(2004).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동아출판사.
  27.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p. 253.
  28. 허경진(1999). 인왕산에서 활동한 위항시인들의 모임터 변천사. 서울학연구. 13: 87-152.
  29. 홍석주(2005). 조선 중기 인경궁 건설의 도시구조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지. 30(2): 161-171.
  30. 홍형순(2009).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전통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6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