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Historic Landscape about Historic City in China - Centering around the Case of Beijing -

중국 역사도시의 지속가능한 역사경관 관리 - 북경시를 중심으로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Xu, Hu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서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11.02
  • Accepted : 2011.12.2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for the historic city of China,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to historic city in our country. Firstly, this study introduces the karrimor of historic city in China and the evolution of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policy, and then analyses the main content of the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system with Beijing, for example: "the protection planning of historic city", "the protection and construction planning of historic city in twelfth five-year plan", "the comprehensive planning of Beijing", and lastly suggests the way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of Beijing. In Beijing, three are three different levels of landscape management system, cultural properties(individual), historic districts(area), and historic city(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 landscape management for historic cit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Beijing giv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historic cities in Korea.

본 연구는 중국 북경시를 중심으로 중국역사도시의 지속가능한 경관관리체계를 분석한 뒤, 우리나라 역사도시에 주는 시사점과 함의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역사도시 발전사와 역사경관관리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 북경시의 역사도시 경관관리 체계로서 '역사문화명성보호계획'과 '제12차 5개년 계획시기 역사문화명성보호건설계획', '북경시 도시총체계획' 등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북경시 역사경관관리의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북경시는 지속가능한 역사경관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을 세운 뒤 개별 문화재의 점적인 보호, 역사문화보호구의 면적인 보호, 그리고 역사도시의 총체적 보호 등 3단계의 보호체계를 확립하여 역사도시 경관관리를 전개하고 있어 우리나라 역사도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수립과 실천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郭黛姮(1994). 북경의 역사변천: 동아세아 역사도시의 전통과 근대. 한국건축역사학회 한중학술회의자료집. pp. 13-20.
  2. 杜立群(2001). 북경 구도시 25개 역사문화보호구역규획. 서울.북경의 역사지구 보전과 재생에 관한 국제세미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 1-11.
  3. 呂舟(1994). 북경의 도시건설과 고성보호: 동아세아 역사도시의 전통과 근대. 한국건축역사학회 한중학술회의자료집. pp. 69-77.
  4. 손세관(2000). 중국의 도시구성과 그 상징체계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1): 37-51.
  5. 宋曉龍(2003). 北京歷史文化名城保護規划的编制. 北京規劃建設. 2003 (01): 94-96.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북경시설계연구원.동경대학교 지속가능도시재생센터 (2005). 서울.북경.동경의 역사문화 보전정책.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王軍(2004). 北京歷史文化名城保護的實踐及其爭鳴. 北京規劃建設. 2004 (05): 53-55.
  8. 梁思成(1951). 北京-都市計划的无比杰作. 新觀察. 1951(04).
  9. 吳良鏞(1999). 北京旧城与菊儿胡同. 溫哥華: 哥倫比亞大學出版社.
  10. 張建, 宛素春(2003). 關于北京舊城保護規劃中高度控制的思考. 建築學报. 2003(02): 25-27.
  11. 정석(역)(2004). 북경 역사문화 명성보호 계획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2. 정석(2007). 역사문화명성 북경.
  13. 左川(1994). 북경시 도시계획사의 회고로 살펴본 고도북경의 보호와 발전: 동아세아 역사도시의 전통과 근대. 한국건축역사학회 한중학술회의 자료집. pp. 95-102.
  14. 한동수(1996). 중국고성보호운동의 전개와 북경의 도시계획. 건축역사연구. 5(2): 40-51.
  15. 北京市規劃委員會(2004). 北京歷史文化名城保護規劃實施. 辦法.
  16. 北京市人民代表大會常務委員會(2005). 北京歷史文化名城保護條例.
  17. 北京市人民政府(2002). 關于實施オ北京歷史文化名城保護規劃的決定.
  18. 北京市規劃委員會(編)(2004). 北京歷史文化名城北京皇城保護規劃.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