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량측정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27초

고교시절 청소년활동이 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 이시연;강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4-466
    • /
    • 2018
  • 본 연구는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전문대학교 청소년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고등학교 시기(17-19 세)에 참여한 청소년활동 실태와 자아존중감, 행복감 및 리더십생활기술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총 260부를 배포하였고, 2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시절 청소년활동경험이 증가할수록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과 대학생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 경험을 통해 성인기에 필요한 역량 개발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부문에서의 BSC 도입에 따른 인사관리의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HRM by introduction Balanced Scorecard(BSC) in the public sector)

  • 임효창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83-110
    • /
    • 2005
  • 최근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방법론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 균형성과표(BSC)에 의한 성과관리이다. BSC는 재무적 측면 뿐만 아니라 조직의 내부 프로세스와 구성원 역량, 그리고 고객의 관점 등에서 성과관리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동안 공공부문은 민간부문과 비교하여 성과측정 및 관리를 소홀히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민간부문처럼 경쟁의 심화 및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성과주의 조직관리의 필요성이 공공부문에서는 제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공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과 지속적인 혁신이 중요한 가치가 됨에 따라 성과지표의 선정 및 관리에 따른 성과향상이 중요해지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일환으로 제기되고 있는 BSC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BSC의 도입이 공공부문의 인사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공공부문의 바람직한 인사관리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에 관한 유형화 연구: 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Typology Study on Brand and National Image: Focus on Q-methodology Application)

  • 이제영;최영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8권
    • /
    • pp.7-39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인 삼성의 브랜드가치를 평가해보고, 글로벌 기업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삼성의 국가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기업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국가가 자국의 글로벌 기업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심층 설문평가를 통해 분석하고, 나아가 국가와 기업 간의 상호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아울러 이전의 설문조사 방식에서 면밀히 분석하지 않고 간과하기 쉬운 개인의 사고나 느낌 같은 주관적 행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도입하여 좀 더 다각적인 방향에서 분석을 꾀하였다. 결과적으로, 21세기 디지털 시대에서의 글로벌 기업의 성장은 곧 한국 브랜드 가치의 성장이며, 나아가 세계로 전진할 수 있는 국내 글로벌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원산지효과를 전해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음을 직시할 수 있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분석으로 Q결과에서는 크게 3가지 유형, 즉 첫째, 제1유형(N=10)은 국내 주도적 유형(Nation-Leading Type), 둘째, 제2유형(N=6)은 국제적 우위 유형(International Superiority Type), 셋째, 제3유형(N=4)은 전형적인 영향 유형(Typical Influence Type) 등으로 분류되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삼성이라는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국가 이미지에 있어서 '후광효과'와 '원산지효과'에 적정한 국내외적 파급 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PDF

창업교육과 개인적 환경요인 및 개인적 특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Trai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정경희;성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79-1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창업교육과 대학생들의 개인적 환경요인 및 개인적 특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과 더미변수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창업교육, 역할모델, 가족창업경험,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성별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진로준비행동, 역할모델, 가족창업경험의 중요성과 함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대학차원 창업교육의 인식전환 및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다.

청소년의 여가활용이 학습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on learning agility for youths: Mediativ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527-532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활용이 학습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여가활용과 학습 적응성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I'에서 수집한 6,637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르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용은 학습 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용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대인관계는 학습 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청소년의 여가활용과 학습 적응성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여가활용은 학습 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아니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가 학습 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를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여가활용과 대인관계 측면에서 학습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이크로크레딧 사업 운영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of a Scale for Business Effectiveness of Microcredit)

  • 임은의;김학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7-35
    • /
    • 2018
  • 본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업 운영의 효과성을 파악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크레딧을 실증적으로 다룬 국내 선행연구와 이용자 및 전문가 대상의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바탕으로 3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31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128개의 회수된 설문지 중 부실 응답지 1부를 제외한 127개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3개 요인, 24개 문항의 척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를 고려하여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체 차원의 효과성 척도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인 요인으로는 점포운영 요인 5개 문항, 창업만족도 요인 3개 문항, 경영역량 요인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업체 차원의 효과성 척도를 바탕으로 마이크로크레딧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마이크로크레딧의 실천적인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컨설팅 주요활동지수에 따른 컨설팅 성과 및 이해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lting Performance and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the Consulting Key Activity Index. - Focusing on Government Supported Convergence Consulting)

  • 이창재;유연우;전주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85-291
    • /
    • 2018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컨설팅성과 및 컨설팅 이해도에 대해 컨설팅 참여도, 전문성 및 컨설팅 능력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번 연구는 AMOS 22.0와 같은 통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컨설팅 참여 수준, 컨설팅 이해도 및 컨설팅 성과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탐구적 분석과 측정 모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번째 컨설팅 참여 수준, 컨설팅 전문성과 컨설턴트 능력은 컨설팅 성과 및 컨설팅 파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세 번째로 컨설팅 이해도는 컨설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컨설팅 참여 수준, 전문성과 능력을 통해 좋은 컨설팅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컨설팅 성과에 대한 컨설팅 이해도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for Nurses)

  • 오원옥;박은숙;석민현;임여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93-304
    • /
    • 2016
  •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psychometrically test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TCSE-scale) for nurses. Methods: Initial 41 items for the TCSE-scale were generated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8 nurses who had experience in caring for foreign patients. Cultural Competence and Confidence model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Cont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an expert panel. Psychometric testing was perform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42 nurses recruited from four general hospita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yeonggi-do province of South Korea.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CSE-scale, a test-retest reliability and a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analyzed.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criterion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tive validity were used to evaluate the validity. Results: The 25-item TCSE-scale was found to have three subscales-Cognitive, Practical, and Affective domain-explaining 91.5% of the total variance. TCSE-scale also demonstrated a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supported by known-group comparison. Reliability analysis showed an acceptable-to-high Cronbach's alpha-.88 in total, and subscales ranged from .76 to .87. The ICC was .90, indicating that the TCSE-scale has internal consistency and stability of reliability. Conclusion: This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scale properties demonstrated an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TCSE-scale is able to contribute to building up empirical and evidence based on data collection regarding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of clinical nurses. We suggest further testing of the applicability of TCSE-scale in different settings and community contexts.

강화 학습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적응형 대화 전략 (An Effective Adaptive Dialogue Strategy Using Reinforcement Loaming)

  • 김원일;고영중;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1호
    • /
    • pp.33-40
    • /
    • 2008
  • 인간은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시행착오 과정을 거치면서 상대방에 관한 학습이 일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과정의 강화학습법(Reinforcement Learning)을 이용하여 대화시스템에 적응형 능력의 부여 방법을 제안한다. 적응형 대화 전략이란 대화시스템이 사용자의 대화 처리 습성을 학습하고, 사용자 만족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강화 학습법을 효율적으로 대화처리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하여 대화를 주 대화와 부대화로 나누어 정의하고 사용하였다. 주 대화에서는 전체적인 만족도를, 부 대화에서는 완료 여부, 완료시간, 에러 횟수를 이용해서 시스템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위하여 시스템 사용 역량에 따라 사용자를 두 그룹으로 분류한 후 해당 그룹의 강화 학습 훈련 정책을 적용하였다. 실험에서는 개인별, 그룹별 강화 학습에 따라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효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me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 백지원;표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15-139
    • /
    • 2020
  • 본 연구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효과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 요소들을 서비스 이용, 사서, 도서관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테마 컬렉션 서비스를 주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A공공도서관 이용자 294명을 대상으로 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테마 컬렉션을 알고 있는 이용자들의 장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도서의 이용에 대한 만족에 높은 효과 인식을 보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 효과 인식도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도서관을 이용해왔던 이용자,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하는 이용자들일수록 사서의 역량에 대한 효과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평가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와 의의를 반영하여 장서개발, 장서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중심의 분류,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개선의 관점에서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