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Business Review (산학경영연구)
- Volume 18 Issue 2
- /
- Pages.83-110
- /
- 2005
- /
- 1738-0669(pISSN)
A study on changes in HRM by introduction Balanced Scorecard(BSC) in the public sector
공공부문에서의 BSC 도입에 따른 인사관리의 변화
Abstract
To comprehend the present state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s and their problems, we examined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ublic sector and figured out their limits and problems in practical use and then, we searched, from academic basis, for ways to solve those problems and complement the limits. Especially, we focused on developing practical solutions that can be applied to a budget and human resource effectively. We expect this research will provide to public sector a comprehensiv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core concept of myriad theories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public sector including "Balanced Scorecard" and for finding out the limits and problems of each theories, then it can prepare the alternatives in advance. But the research is restricted within the general guideline for performance management. It doesn't provide practical and detailed action programs that are needed for actual execution. So, further studies on particular action programs are needed to compliment this limit and for coming to stay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public sector quickly, the enactment of performance management is needed as well.
최근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방법론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 균형성과표(BSC)에 의한 성과관리이다. BSC는 재무적 측면 뿐만 아니라 조직의 내부 프로세스와 구성원 역량, 그리고 고객의 관점 등에서 성과관리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동안 공공부문은 민간부문과 비교하여 성과측정 및 관리를 소홀히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민간부문처럼 경쟁의 심화 및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성과주의 조직관리의 필요성이 공공부문에서는 제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공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과 지속적인 혁신이 중요한 가치가 됨에 따라 성과지표의 선정 및 관리에 따른 성과향상이 중요해지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일환으로 제기되고 있는 BSC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BSC의 도입이 공공부문의 인사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공공부문의 바람직한 인사관리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