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이미지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8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of the moon symbolism in femal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video contents (동서양 영상콘텐츠에서 표현된 달의 여성 상징성 분석)

  • Huang, xin-yan;Choi, d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3-54
    • /
    • 2019
  • 과거부터 사람들은 달을 인지해왔으며, 인류는 지속적으로 달을 관찰하고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지역문화와 민족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달의 이미지에 관한 다른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건축, 종교 등에 반영되어 왔다. 영화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영상콘텐츠에도 달이 등장해왔다. 하지만 달에 대한 상징성 연구가 미흡하여 영상콘텐츠에서의 달 이미지 활용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영상콘텐츠에서 표현된 달 이미지를 연구하여 달의 의미를 분석하고 표현 방법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지역 및 문화별 달의 의미를 제시한다. 둘째, 달과 여성의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한다. 셋째, 달의 여성상징적 의미에 관한 영상콘텐츠 작품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서양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성상징은 영상콘텐츠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디자인의 활용 등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달에 대한 상징에 대한 동서양의 특징을 도출하고, 향후 영상콘텐츠 작품 창작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Body Image I: A Comparison of Ideal Beauty,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Korean and American Women (바디이미지 연구(제1보): 한.미 여성의 이상적 미, 바디이미지와 외모행동에 관한 연구)

  • ;Nancy A. Rud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5
    • /
    • pp.969-98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한.미 여성의 이상적인 미, 바디이미지, 그리고 외모행동을 비교조사 하는데 있다. Open-Ended Questions에 의한 연구 결과, 이상적인 미로 미국여성이 \"키크고 마른 신체 매력성\"을 추구한 반면, 한국여성은 \"내적인 미\"와 \"서구적인 신체 매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기 위해 미국여성은 주로 신체의 하체부분, 한국여성은 얼굴부분을 많이 가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행동으로는 한국여성은 화장이나 피부관리 등에, 미국여성은 excercise나 다이어트 등을 많이 하고 있었다. 사회.문화적 이상적인 미에 비교해 볼 때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외모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나라 집단의 여성들은 각 나라마다 사회.문화적 이상적인 미가 각각 존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이상적 미의 기준이 문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편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개념을 토대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어 진다.주의 개념을 토대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어 진다.

  • PDF

Gender Display in Music Videos: Gender Image and Sexuality by Genre and Gender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노래 장르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Joe, Sus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58-6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s were including followings. While women engaged in classic image, man engaged in naive image. R&B and Ballad demonstrated more classic image of women. Ballad, R&B, and Rock demonstrated more naive image of men than other genre. Sexuality was more prominent in dance and hip-hop genre. Compared to male character, female character was more sexually objectified, held to exposer herself and more likely to demonstrated sexually alluring behavior.

A Study on Image Preferences of Fashion Product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Focused on Middle-Aged Women between 35 and 59 Years Old-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제 1보) -35$\sim$59세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 Shim, Jung-Hee;Ywoun, Myeong-Heum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1 s.69
    • /
    • pp.143-15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shion product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352 middle-aged women from 35 to 59 living in Daegu by random sampling method in April and May, 2005.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osed of 3 sections: Fashion product image measure, Life style research and demographic variables(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monthly clothing allowance, monthly income). The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data wer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fashion product image, the four factors including noble image, bold image, practical image, female image were extracted. 2. Middle-aged wo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life-style groups including tradition oriented group, negative oriented group, activity oriented group and appearance oriented group.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were found. Tradition oriented group preferred noble image and practical image. Negative oriented group tended to pursue practical image. Activity oriented group pursued a bold image. Appearance oriented group liked a noble image the best and then noble image, bold image in order.

  • PDF

Analyzing the Research Fronts of Women's Studies in Korea Using Citation Image Makers Profiling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국내 여성학 분야 연구 전선 분석)

  • Kim, Jo-Ah;Lee, Jae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3 no.2
    • /
    • pp.201-225
    • /
    • 2016
  • A new technique for revealing the research fronts of a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has been developed. Citation image makers profiling (CIMP) deter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papers with the title words of the citing documents. We adapted this new technique to analyze the research fronts and hot topics in women's studies of Korea. By Korean Citation Index (KCI) data in 2015, we selected 148 papers cited more than 9 times as the core documents of women's studies.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using citation image makers profiling was performed with the 148 core documents and those citing papers.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was hindered by citation data sparsity, while CIMP method successfully revealed the structure of research fronts of Korean women's studies including 2 divisions and 6 subdivisions. The CIMP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has good potential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front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domains.

The Identification of Females Fans Identify with the Male Beauty Influencers in SNS - Focusing on Jacques Lacan's Gaze (SNS에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를 향한 여성 팬의 동일시 - 라캉의 응시 이론을 중심으로)

  • LI LINGJIE
    • Trans-
    • /
    • v.15
    • /
    • pp.57-7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ategies and effects of SNS images used by four popular male beauty influencers to gain identification with their female fans. The research selected four male beauty influencers, namely Li Jiaqi, Jeffree Star, James Charles, and Bretman Rock, with a high number of subscribers on Instagram, YouTube, and TikTok as of July 21, 2023. By observing the content they posted on SNS, the study analyzed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relevance of male beauty influencer images with their female fans using Lacan's gaze theory. Additionally, concepts related to gaze, such as the mirror stage, the screen, and objet petit a, were supplement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le beauty influencer images and the motivations of female view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ale beauty influencers can maintain an intimate relationship, referred to as 'girl-friendship,' with their female fans through the identification formed by the homogeneity within the feminized mirror images. Furthermore, male beauty influencers can transform female viewers from being seen as objects to seeing them as subjects by presenting images that embrace diversity in gender identity, challenging the traditional notions of societal gender norms. Therefore, the images of male beauty influencers not only challenge gender stereotypes but also cater to the demands for independence and equality of modern young women, promote understanding of feminine gaze, and explore the potential for democratization and inclusivity on social media platforms from a new perspective.

A Study on Chatbot Profile Imag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사용 목적에 따른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 연구)

  • Kang,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118-129
    • /
    • 2018
  • In AI chatbot service via a messenger, a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is the first thing that users see to communicate with the chatbot. This profile image not only manages an impression about the profile owner in SNS on followers, but also makes an important impression about chatbot services on users. Thus motivated, this study investigates proper profile images tailored for the types of chatbot services and users. Specifically, I reviewed the preferred images and expressions of chatbots for each purpose of chatbot service. Then, in a case study,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presentative chatbot profile images for the purpose of fun and counseling. The profile images are categorized as robot, human, animal, and abstract images. Based on these categories, I surveyed the preferred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service in either the text type or image type alternatives. For the purpose of fun, in the text version, I found that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a human image to others. However, in the image version, men preferred woman and robot images while women preferred cute animation character and robot images. For counseling services,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woman and animal images most,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text version of questionnaires as well. While both genders consistently preferred real photo images, women tend to like abstract images more than men do.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develop the proper profile images of AI chatbot for each service purpose.

A Sensitivity Icon Study of Cellular Phones for Woman (여성타겟 휴대폰 단말기의 감성 아이콘 개발 연구)

  • Kim, He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69-872
    • /
    • 2004
  • 최근 각 이동통신사에서 자체적인 통합 UI를 개발하여 각 단말기 제조사의 UI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 UI 통합의 시도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업 정체성을 높이고 타 통신사와의 차별을 갖게 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단말기를 다른 단말기 제조사 제품으로 교체할 때 서로 다른 메뉴 구성이나 버튼 방식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불편을 해소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UI를 일괄적으로 통일한다는 것은 한편으로 개인과 집단의 감성이 무시되고 특정 타겟 단말기의 특성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이 선호하는 메뉴 아이콘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여성 타겟으로 출시되는 단말기 아이콘이 일관된 UI가 아닌 여성이 선호하는 감성 아이콘이 될 수 있도록 메타포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사는 18~35세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이동통신사 (S 사) 표준 UI 아이콘과 제조사별 아이콘 샘플을 추출하여 여성이 선호하는 휴대폰 단말기 아이콘을 선정하고 그 아이콘에 대하여 이미지 형용사 언어를 밝혀내도록 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여성들이 선호하는 아이콘 및 이미지 형용사는 향후 여성 타겟 단말기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딸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 - 위풍당당 여성 행진곡

  • 손은진;조혜전
    • 가정의 벗
    • /
    • v.37 no.6 s.430
    • /
    • pp.28-29
    • /
    • 2004
  •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와 이해가 있어왔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남아선호 대한 인식이 뿌리깊게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각종 대중매체를 통해 다루어지는 부정적인 여성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사회 각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는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가 많이 다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