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과실험

Search Result 82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기능성 카본계 막의 개발과 수처리 응용에의 검토에 관한 연구

  • Bae, Sa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31-434
    • /
    • 2006
  • 폴리머 라텍스의 탄화와 메탄-질소 혼합가스의 CVD법으로 Carbon whisker를 가진 활성탄막을 개발하였다. 이 막의 PMMA 현탁물질 여과실험과 실제의 현탁물질과 용존유기물을 함유한 오래된 수도관으로부터 얻어진 적수여과실험 결과, Carbon whisker의 유무가 fouling에 의한 막의 flux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져, 실제의 정수공정에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Phenol, 1,4-dioxane and Diazinon along the Travel Distance in Riverbank Filtration (강변여과에서 여과거리에 따른 페놀, 1,4-다이옥산 그리고 다이아지논의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 Choi, Hong-Gyu;Jeong, Il-Hwa;Jung, Kwan-Sue;Lee, Young-Deuk;Kim, Seu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6
    • /
    • pp.436-441
    • /
    • 2013
  • An experiment using a 5 m-long sand colum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sisting capability against micro-pollutants of the infiltration gallery, multi-purpose filtration pond and riverbank/bed filtration, of which the filtration distance is becoming increasingly shorter in Korea. Results suggested that the Korean riverbed sand contained significant amount of organics, resulting in a relatively vigorous adsorption of chloride ion on the sand surfac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while phenol was not detected in the column filtrate, both 1,4-dioxane and diazinon were exposed to adsorption by the sand as they moved through the column, decreasing their peak concentrations during the movemen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eak concentrations will diminish significantly in the practical scale due to its longer travel distance.

The Charateristics of Melting Slag from MSWI and Sewage Water Filter Application (소각용융슬래그의 특성 및 수처리 여과재 활용에 관한 연구)

  • Park, Sang-Goo;Kim, Gun-He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4
    • /
    • pp.471-47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find a way to utilize MSWI slag as filter material and to verify it. To do so, stability as filter material was tested, and used Ju-Munjin filter sand as control group to run actual filtering experiment to analyze filtering efficiency. According to result, MSWI slag is usable within designated waste acceptable standards. Also, it showed similar level of filtering capability to filter sand. Thus, MSWI slag could help to save and recycle resources if used as filtering material instead of filter sand As result of filtering test, SS and COD showed about same level of filtering capability similar to standard filter sand. MSWI slag has shown 26.96% higher with T-N, and 6.55% higher with T-P compared to standard filter sand. Also, remove efficiency comparison result with No. 40#(0.43mm) and mixed diameter showed equal or greater filtering capability.

Experimental Study for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Membrane Laminated Bag Filtration System (박막여과포 집진장치의 압력손실 성능 특성 실험)

  • 박현설;송창병;박영옥;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67-468
    • /
    • 1999
  • 여과집진장치는 기존의 집진장치 중에서 집진효율이 가장 우수하나, 여과집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높은 압력손실과 탈진에 따른 여과포의 마모, 그리고 고온조건에서의 성능저하 등은 여과집진장치의 광범위한 적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탈진에 따른 여과포의 손상을 막고, 먼지입자의 표면여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여과포에 박막을 입히는 방법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왔다.(중략)

  • PDF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Using the Representative Attribute for Better Prediction Quality (향상된 예측을 위한 대표 속성을 이용한 협력적 여과 방법)

  • 류영석;양성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3-35
    • /
    • 2000
  • 사회의 복잡화와 인터넷의 성장으로 인하여 매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정보들을 사용자가 모두 검토해 보고 자신의 기호에 맞는 정보들만 선택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동화된 정보 여과 기술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 내용 기반 여과(information Filtering) 기술과 협력적 여과(Collaborative Filtering) 기술이 있다. 이 중 협력적 여과 기술은 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정보의 대표 속성을 중심으로 선호도 예측을 수행하는 개선된 협력적 여과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 협력적 여과 기술과 예측의 정확성에 대하여 성능 비교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Operation of Sand Filters Coated with Manganese (망간사화된 모래여과지 운영에 관한 연구)

  • Jeong, Se-Chae;Ko, Su-Hyun;Kim, Jin-Keun;Yoo, Jeong-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5
    • /
    • pp.558-562
    • /
    • 2006
  • Filtr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nganese removal in filtration using 4 different filter media including sand and manganese sand(MS). Filtration velocity was 123 m/d and the flow rate was $3.9m^3/d$ per column. Duration of these experiments was about one year, and manganese dioxide accumulation, turbidity removal, manganese removal, and organic material removal were examined depending on filter media. When filter influent(residual chlorine 1.0 mg/L) with an average manganese concentration of 0.208 mg/L was fed through a filter column, the sand+MS and MS columns removed 98.9% and 99.2% of manganese respectively on an annual basis. When there is need to replace the sand filters with a MS filter to remove manganese, it was shown that the replacement of a partial sand filter with MS had adequate manganese removal.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Rapid filtration Process treating Secondary Clarifier Effluent for Wastewater Reuse (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최종침전지 유출수의 급속여과공정 처리특성)

  • Han, Don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213-220
    • /
    • 2002
  • This reserch was focused upon experimental study for wastewater reuse and conducted to evaluat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rapid filtration process such as filter flow rate, filtration time and backwashing condition for reuse of secondary-treated effluent using the pilot plant installed in re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lso, the experiment on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coagulant-added activated sludge process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 activated sludge succeeded to rapid filtration. As the filtration velocity was 100m/day, the filtration time of the rapid filter connected with activated sludge system was revealed to 40 hours. Backwashing of filter was conducted by water wash and air scour. The optimum backwashing time and backwash flow rate were 10min and 10LPM, respectively. The quantity of backwashing water of the rapid filter was about 2% of total treated water.

An Adaptive Information Filtering Agent based on User′s Combined Behaviors (사용자의 결합된 행동을 이용한 적응형 정보여과 에이전트)

  • 송용수;홍언주;오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68-27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뉴스 기사를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관련있는 뉴스기사만을 선별적으로 여과하여 보여주는 정보여과 에이전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정보여과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확한 사용자 프로파일 구축과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적합성 반응인 명시적 피드백과 암시적 피드백을 모두 결합한 피드백을 사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좀 더 정교하게 구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의 결합된 적합성 피드백 행동에 기반한 정보여과 에이전트의 성능이 단일의 피드백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더 좋은 정확성과 적응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Influence of Flocculants During Vacuum Dewatering of Radioactive Slurry Waste (방사성 슬러리 폐액의 탈수에서 응집제 효과)

  • 정경환;이동규;정기정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14-119
    • /
    • 2001
  • TRIGA Mark-II&III 연구로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된 방사성 슬러리 함유 폐액에 대하여 음이온, 앙이온, 그리고 비이온 응집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여과 효과를 실험실 규모의 진공여과 장치로 연구하였다. 여과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Darcy’s Law에서 유도된 여과 케익 저항 값을 산출하였다. 응집제 사용으로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롸 비교하여 케익 저항값의 개선은 있었지만,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각각의 응집제 사용에 따른 침전율, 여과 케익의 수분함량, 그리고 여과 케익 저항 값을 비교한 결과 음이온 응집제 12~16ppm/$\ell$ waste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the Biological Oxidation Filter System for Water Treatment (수처리용 생물산화 여과장치 개발)

  • 염병호;정충혁;문정석;최승일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81
    • /
    • pp.70-75
    • /
    • 2001
  • 본 연구는 '99년 7월에 벤처형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으로 신규 계약된 과제로서 상수원수의 전처리 및 하수 2차 침전수의 재처리 공정에 활용될 생물 산화 여과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생물 산화 여과 system은 상수 원수의 전처리, 상수도의 고도정수 처리, 하수 및 폐수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물리적 여과기능과 포기 과정을 통한 산화 기능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분해 및 자연정화처리환경을 유지하여 수질이 악화된 상수도의 전·후처리나 하.폐수의 3차 처리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생물 산화 여과 시스템은 여과지의 하부 장치에 균등한 공기(산소)공급시설을 하여 여과층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여과를 함으로서 생물막 여과 및 산화 기능으로 유기물질, 철, 망간 등을 제거하고 공기의 부상력에 의하여 조류, 부유물질, 냄새 등을 동시에 제거하는 System이다. 현재 상수처리 공정으로서의 생물 산화 여과지 개발을 위해 Bench-scale과 semi-pilot plant를 거쳐 Y시 M취수장애 pilot plant를 설치하여 연구를 진행중에 있으며, 또한, G시 G하수처리장에 하수처리 공정에 관한 연구를 위해 pilot plant를 설치하고 하수 3차 처리와 저농도 하·폐수 처리를 중심으로 연구중에 있다. 아래의 연구 결과는 정수처리 공정 연구를 위한 Bench-scale plant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치이며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는 주로 정수처리 공정 중심으로 이루어 졌으나 pilot plant에서는 정수 및 하수처리에서의 생물산화여과공정의 연구가 진행중이다.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므로 각 인자별 최적운전조건 등은 계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찾아지겠으나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볼 때 생물산화 여과장치는 탁도, SS, VSS 등의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고 있다. 수처리용 장치로서의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NPOC, DOC 제거에도 뛰어난 효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정수처리 공정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동절기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또한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 동안 외국기술에 전면 의존해 오던 생물 산화 여과방식의 국내개발은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국내 실정에 맞는 기술개발이라는 점에서 향후 그 적용 범위를 넓혀 갈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