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절감량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PV Module Generation from Daylight Irradiation and Indoor Lighting Savings with Lighting Simulation (일사량 분석을 통한 PV모듈 발전량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내 조명에너지 절감량 비교)

  • Park, Yoon-Min;Hong, Seong-Kwan;Choi, An-S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12
    • /
    • pp.17-24
    • /
    • 2010
  • Recently, BIPV system which is good enough for maintenance and functions with the shading system is being used. However BIPV system with the shading system is different from existing PV module because of using flexible PV modul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BIPV system, the clearness index was calculated by Erbs et al.(1982) and analyzed for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sky irradiance with measured data. To predict electric lighting energy savings in daylit space, electric lighting power savings with amount of PV module electric power generation was compared by using Relux 2010 software in this study.

GHG emissions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ing installation in the building using a BIM (BIM을 활용한 건축조명의 소비전력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Lim, Myoung-Su;Su, Kang-jin;Oh, Min-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46-14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BIM TOOL 중 하나인 AUTODESK사의 Revit Softwere를 활용하여 건축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기 설비 중 조명설비를 대상으로 전력소비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_2$), 메탄($CH_4$), 아산화질소($N_2O$) 배출량을 추정하여 건축물 에너지절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증명하고자 한다. BIM을 적용 할 수 있는 설계, 시공, 유지보수 외에 사용자의 전력소비에 따른 배출량을 연계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력절감의 TOOL 활용과 국가 정책, 제도 및 지침에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Inventories for Greenhouse Gas ($CO_2$) Chemical Industry ; A case of Ulsan City, Korea (화학산업 온실가스($CO_2$) 인벤토리 구축에 관한 연구)

  • Ahn, Jun-Ki;Cho, Kyoung-O;Lee, Man-Si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483-487
    • /
    • 2010
  • 본 연구는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울산광역시 사례로 화학 산업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공정진단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업체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울산지역은 산업단지 중심으로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등 에너지 다소비업체가 많으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체계적으로 실시 할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10개 기업체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최종에너지를 기준으로 산정한 경우 2004년 58,533천 톤 $CO_2$이며, 동일 년도 전국 온실가스 배출량인 592,600천톤 $CO_2$의 약 10%를 차지한다. 향후 2013년부터 한국이 2차 의무감축대상국이 될 경우 1990년도 온실 가스 배출 대비 5.2%의 감축률을 부여 받는다는 가정으로 경제적 손실액을 추정한 결과, 울산시의 경제적 손실은 1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울산지역은 최종 에너지소비가 2004년도에 전국 대비 12.5%로 매년 상승하고, 특히 2004년 1인당 최종에너지 소비의 경우 전국 평균은 3.38TOE이며, 울산시는 19.05TOE로 약 6배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 소비는 전국적인 규모로 비교하여 볼 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3년의 경우 전국에너지 소비의 12.3%를 점유 하였던 것이 2010년에는 239.18백만 TOE로써 전국에너지 사용량의 14%를 점유 할 것이며,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산업부문에서 에너지 사용비율이 80%이상으로 전국대비 에너지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울산지역에서는 산업부문에서 온실가스발생량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예상 된다. 10개 기업체 중 5개 기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인벤토리 구축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공정에 따른 직접배출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올 해 약 온실가스저감 227,554만원 경제적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온실가스 이산화탄소 50,740 Ton/yr 절감효과를 발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ir Flow Calculation System for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Inflow Water Quality (유입수질에 따른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개발)

  • Shin Geol Kim;Wooseok Yeo;Deok-Hyeon Kim;Jong Kyu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6-486
    • /
    • 2023
  • 하수처리장 내 생물반응조에서는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질산화(Nitrification)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산소를 요구하고 있으며, 필요한 산소는 송풍기 운영을 통해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처리장 내 일정 이상의 산소가 수중에 공급되어야 한다. 생물반응조내 용존산소가 부족할 경우 활성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해되어 오염물질 저감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어도 수처리의 효율은 개선되지 않으며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산소들은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유입수질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조 내 필요한 산소는 달라지게 되므로 유입수질에 맞는 효율적인 하수처리장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하수처리장 내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생물학적 처리시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산정할 수 있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하수 성분, 용량과 같은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용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수도 설계 시 사용되어지고 있는 하수도 시설기준의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 산정식을 통하여 유입수질에 따라 실제 하수처리장에 필요한 산소요구량 & 공기공급량을 산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수도 설계기준의 여러 가지 수식을 실제 하수처리장 내 필요한 요소로 변환시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적용에 따른 송풍량 절감 효율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2021년 A하수처리장의 4월 월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에서 필요한 송풍량을 산정하여 실제 사용된 송풍량과 비교 분석하여 송풍량 절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하수처리장 내 송풍량 산정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면 운전자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수동적인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자율 제어를 통한 효율적인 하수처리장을 운영할 수 있어 송풍량 절감 및 탄소중립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Suggestion of Thermal Environment Miniature for Evaluation of Heating Efficiency Based on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of Building Materials (건축재료의 열전도율 측정방법에 의한 바닥재 난방효율 평가용 열환경 모형 제안)

  • Jeon, Ji-Soo;Seo, Jung-Ki;Kim, Su-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3
    • /
    • pp.269-280
    • /
    • 2011
  • Today, global warming is one of main problems all over the world. The cause of the global warming is carbon dioxide outbreak by the rapidly increasing energy 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ave energy in each industrious fiel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half of total energy consumption over the world was used for construction and building. Therefore, the saving of the building energ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creasing total energy consumption. With the considerable increase i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certification are required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s. Of various elements reducing building energ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materials affects the energy consumption as a basic element,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particular, a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finishing materials i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heating energy efficiency of floor heating system, the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are necessary.

A Study on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Building Insulation Diagnosis (건축물 단열 진단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 Cho, Kwangmo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7 no.3
    • /
    • pp.9-14
    • /
    • 2021
  • This paper discovers the energy loss factors through the insulation diagnosis of houses or building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The energy efficiency factor of a building consists of insulation diagnosis, thermal bridge diagnosis, window diagnosis, airtight diagnosis, and equipment diagnosis. Among the residents and facilities in the energy welfare blind spot, an energy efficiency diagnosis was conducted for one senior citizen building located in Naju-si, Jeollanam-do, and energy efficiency diagnosis was conducted after insulation was installed. Energy measurement, diagnosis and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IoT-based integrated wired/wireless energy diagnosis platform, Energy Finder. As a result of comparison, an overall energy saving rate of 16.38% was achieved. Annu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decreased from 333.51kWh before construction to 277.35kWh after construction, and annual cooling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decreased from 5.51kWh before construction to 5.22kWh after construction. The annu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decreased from 464.52kWh before construction to 403.69kWh after construction, and the annual energy cost was reduced from 3,063,307.14 won before construction to 2,641,072.49 won after construction. The additional improvement work is needed on the standards affecting energy efficiency other than insul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t Packet Transmissions Considering Fairness for Wi-Fi System (Wi-Fi 시스템을 위한 공정성 고려한 에너지 효율적 패킷 전송 방법의 성능 평가)

  • Shin, Taehyu;Park, Su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3
    • /
    • pp.24-30
    • /
    • 2015
  • Wi-Fi STAs in power saving mode described in the Wi-Fi specification can deteriorate the system performance such as throughput, time delay when they receive data frames from a Wi-Fi AP. This problem is caused by data frame reception failure due to the channel state, and it increases re-transmiss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power saving mode considering fairness of Wi-Fi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By simulation, we showed that data throughput can be increased without time delay degradation if the proposed method restricting the number of packet transmission attempts and HARQ are used.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t Packet Transmissions for Wi-Fi System (Wi-Fi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 패킷 전송 방법의 성능 평가)

  • Shin, Taehyu;Kim, Jongwoo;Park, Su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3 no.3
    • /
    • pp.38-46
    • /
    • 2014
  • Wi-Fi STAs in power saving mode described in the Wi-Fi specification can deteriorate the system performance such as throughput, time delay when they receive data frames from a Wi-Fi AP. This problem is caused by data frame reception failure due to the channel state, and it increases re-transmiss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power saving mode of Wi-Fi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lso, we evaluate its performance in terms of throughput and time delay by simulation.

원적외선 곡물건조기 개발

  • 김유호;조영길;조광환;이선호;김영민;한충수;금동혁;한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3.2-174
    • /
    • 2003
  • 국내 보급되고 있는 곡물건조기는 열풍형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이건조기의 경우 곡물이 순환하면서 열풍공급과 템퍼링과정을 반복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대류열전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대류열전달 방식은 복사열전달 방식에 비해 열전달률이 낮기 때문에 건조속도와 열효율이 떨어지며, 건조시 미질 향상과 건조비용 절감에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건조에너지의 절감과 동시에 고품질 쌀 생산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곡물건조기술을 확립하고자 원적외선 곡물건조기를 개발하였다. 원적외선은 0.56~l,000$\mu\textrm{m}$의 전자파로서 세라믹 도료표면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 파장대의 강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같은 원적외선 에너지를 농산물에 조사시키면 열이 침투하게되고 동시에 농산물의 내부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활발한 분자운동을 하면서 수분을 표면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열풍건조방법에 비해 열전달효율이 높고, 농산물을 보다 균일하게 건조가 가능하므로 좋은 품질의 쌀을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작기는 1회 3,800kg을 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템퍼링실, 건조실, 열풍실, 승강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원적외선 방사체의 형태는 실린더형이고, 방사체가 설치된 열풍실 위쪽은 타공망, 아래쪽은 방사량을 높이기 위하여 일부 개방된 구조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명된 원적외선 방사체 길이와 조사거리는 각각 1,470mm, 125mm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작기의 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한 결과 소음은 대비구에서의 94.12dB보다 13% 가량 낮게 나타났고, 건조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벼를 건조했을 때 건감률 0.58%,wb로 대비구의 0.47%,wb 보다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도 470kcal/kg - water로 2%의 절감되었다. 또한 건조한 벼를 도정하여 색, 냄새, 윤기, 찰기 등에 대한 관능검사결과는 원적외선 건조방법이 종합기호도가 6.37으로 열풍건조방법 6.13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건조비용은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Heating Energy and CO2 Reduction depending on a Indoor Set Temperature and Clo value (착의량과 실내설정온도 관계에 따른 난방에너지 및 온실가스저감량 평가 연구)

  • Lee, Chul-Sung;Yoon,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4
    • /
    • pp.49-54
    • /
    • 2010
  • Most energy using in building part is mainly consumed for heating and cooling to meet occupancy's comfort temperature. Generally, heating energy consumption show high value than cooling energy in Korea because of high temperature difference in winter season as compared with summer in apartment building. The efforts to develope mechanical performance have been studi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energy field until now. However, th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is impacted by not only system performance but also PMV particularly at temperature and Clo value. This means that energy consumption can be changed by occupancy's comfort setting temperature in apartment build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ssibility of overheating in apartment building by occupant' slow Clo and its setting temperature from preceding research and then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setting temperature was calculated with ESP-r. The effects of heating energy and $CO_2$ reduction are also evaluated quantitatively with Clo value. The results showed that keeping ISO-7730 standards can reduce heating energy up to 21% in compared with option 2; also, wearing underclothes with ISO-7730 standard can considerably reduce heating energy consumption up to 50%. As compared with option 2,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 for option 3 showed 0.63TCO2 of kerosene, 0.49TCO2 of LNG and 1.09TCO2 of electricity. The option 4 can be reduced by 1.48TCO2 of kerosene, 1.16TCO2 of LNG and 2.57TCO2 of electricit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