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분포

Search Result 2,30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 of an Acrylic Plate and SSD on Dose Profile and Depth Dose Distribution of 9 MeV Electron Beams (에너지 저하체로서 아크릴과 SSD 가 9MeV 전자선의 측방 및 깊이선량분포에 미치는 효과)

  • 강위생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9 no.2
    • /
    • pp.65-71
    • /
    • 1998
  • The aims a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1.0 cm acrylic plate and SSD on the dose profile and depth dose distribution of 9 MeV electron beam and to analyse adequacy for using an acrylic plate to reduce energy of electron beams. An acrylic plate of 1.0 cm thickness was used to reduce energy of 9 MeV electron beam to 7 MeV. The plate was put on an electron applicator at 65.4 cm distance from x-ray target. The size of the applicator was 10${\times}$l0cm at 100 cm SSD. For 100cm, l05cm and 110cm SSD, depth dose on beam axis and dose profiles at d$\_$max/ on two principal axes were measured using a 3D water phantom. From depth dose distributions, d$\_$max/, d$\_$85/, d$\_$50/ and R$\_$p/, surface dose, and mean energy and peak energy at surface were compared. From dose profiles flatness, penumbra width and actual field size were compared. For comparison, 9 MeV electron beams were measured. Surface dose of 7 MeV electron beams was changed from 85.5% to 82.2% increasing SSD from 100 cm to 110 cm, and except for dose buildup region, depth dose distributions were independent of SSD. Flatness of 7 MeV ranged from 4.7% to 10.4% increasing SSD, comparing 1.4% to 3.5% for 9 MeV. Penumbra width of 7 MeV ranged from 1.52 cm to 3.03 cm, comparing 1.14 cm to 1.63 cm for 9 MeV. Actual field size increased from 10.75 cm to 12.85 cm with SSD, comparing 10.32 cm to 11.46 cm for 9 MeV. Virtual SSD's of 7 and 9 MeV were respectively 49.8 cm and 88.5cm. In using energy reducer in electron therapy, depth dose distribution were independent of SSD except for buildup region as well as open field. In case of using energy reducer, increasing SSD made flatness to deteriorate more severely, penumbra width more wide, field size to increase more rapidly and virtual SSD more short comparing with original electron beam.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use no energy reducer for electron beam, especially for long SSD.

  • PDF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in In-situ Thermal Response Test (현장열응답시험을 이용한 지중열전도도 측정 사례연구)

  • Kim, Min-Jun;Choi, Choong-Hyun;Woo, Jeong-Tae;Chang, Keun-Sun;Kang, Hee-Jeong;Seo, Jeong-Si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23.2-123.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008년 4월 이후 지열원 열펌프가 설치되어지는 현장에 시험공의 지중열전도도를 현장열응답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간에 측정된 지중열전도도를 이용하여 전국의 지중온도 및 지중열전도도의 산포도를 정리하였다. 지중열교환기의 심도가 150m일 때 지중온도 분포는 약 $12.0{\sim}19^{\circ}C$의 넓은 분포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지중온도가 $15.0{\sim}17.0^{\circ}C$의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지중열전도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1.50 ~ 9.00 W/mk 값으로 아주 넓은 분포를 보였으나 2.30 ~ 2.90W/mk 값이 가장 많이 나타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field and the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Gas-liquid phase Coaxial Jet (기액동축 분류의 유동장 및 미립화특성에 관한 연구)

  • 전흥신;김형택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394-401
    • /
    • 1995
  • 본 연구는 중심부에 액체, 외주부에 산화제가 흐르는 기액 동축분류의 유동장에 대한 것이다. 기액 동축 분사기는 연료의 분사량이 적은 소형 연소시스템을 고려하여, 실험은 연공비(W1/Wa)가 0.6 이하를 대상으로, 물과 공기를 사용하여 분사조건에 따른 분무특성과 기액 2상 분무류의 기본구조를 조사하여 액적의 확산, 기액혼합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반경방향 기상속도분포 및 액적유속분포는 분구직경 및 분사조건에 관계없이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각각 식 (2) 및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상속도는 반치폭은 축방향에 따라 일정한 구배 (≒4.6)로서 증가하며, 기상만의 단상분류의 구배(≒6)에 비해서 완만하다. 액적유속 반치폭은 축방향에 따라 더욱 완만한 구배(≒3.1)로서 증가한다. 무차원 액적유속분포는 축방향에 따라 일정한 구배(n≒1.5)로서 감소한다. 액적의 확산은 상대적으로 기액유량비가 클수록 효과적으라고는 말할 수 없고, 최대 확산을 이루는 최적의 기액유량비가 존재한다.

  • PDF

Reconsideration on the Diffsuse Sound Field (확산음장에 관한 고찰)

  • 강현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331.2-336
    • /
    • 1998
  • In this paper, the valid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diffuse sound field theoty to the real sound field, especially on the bounding surfaces of the rooms, was reconsidered. The analytical result for directivity pattern on the bounding surfaces of the room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s using ray tracing technique.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incident sound energy vs incident angles is approximated to Gaussian distribution, not to the uniform distribution.

  • PDF

Distribution of gas hydrates off northern Antarctic Peninsula (남극반도 북부해역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분포)

  • Hong, Jong-Kuk;Jin, Young-Keun;Lee, Joo-Han;Park, Min-Kyu;Nam, Sang-Heon;Goo, Kyoung-M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24-527
    • /
    • 2007
  • 남극 반도 북부해역은 남극대륙 주변부에 존재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매장 유망지역중의 하나이다. 남극반도 북부해역내에서 BSR이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남셰틀랜드 군도의 대륙주변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특성 및 분포를 연구하기 위한 탄성파 탐사가 1992년, 2005년도 수행되었다. 이 지역에 나타나는 BSR은 대륙사면에서 광범위하게 발달되어있다. 이 지역 BSR에 대한 AVO 분석결과에 의하면 BSR상부지층은 높은 탄성파 속도를 갖으며 하부지층은 가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탄성파 단면에 나타난 BSR의 발견지역을 대상으로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이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탄성파 탐사 완료 후에는 정확한 매장량과 분포가 밝혀질 것이다.

  • PDF

즉발감마선을 이용한 70MeV 양성자선량 급락지점 위치 측정에 관한 연구

  • Seo, Gyu-Seok;Kim, Jong-Won;Kim, Ju-Yeong;Min, Cheol-Hui;Jo, Seong-Gu;Kim, Cha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5.04a
    • /
    • pp.100-102
    • /
    • 2005
  • 양성자 빔을 이용한 치료는 종양부위에 높은 선량을 균일하게 전달하고 정상세포에는 적은 선량을 전달할 수 있어 암치료 효과가 높으나 정확한 치료와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양성자선량의 급락지점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자와 물질과의 핵반응으로 직각방향으로 방출되는 즉발감마선을 측정하여 양성자선량 급락지점을 측정할 수 있는 검출시스템을 몬테칼로 전산코드로 전산모사하였으며, 70MeV 단일에너지 빔과 최대에너지가 70MeV인 SOBP 빔을 모의피폭체인 물팬텀에 조사하고 검출시스템을 통해 직각방향으로 방출되는 즉발감마선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모의피폭체 안에서의 양성자선량의 분포와 측정된 즉발감마선의 분포를 서로 비교하여 두 분포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고 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양성자선량 급락지점을 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탄수화물

  • 최진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3 no.9 s.263
    • /
    • pp.116-118
    • /
    • 1991
  • 탄수화물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특히 식물계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동물의 영양소로써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축의 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영양소는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이 있다. 이 세가지 영양소 중에서 탄수화물은 가장 경제적이고 풍부한 에너지 공급원이다. 탄수화물은 식물체내에서 엽록소의 작용에 의하여 태양열을 이용하여 $CO{_2}$$H{_2}O$로부터 합성된다. 동물은 식물이 합성한 탄수화물을 이용하는 것인데 식물체내에 존재하는 탄수화물을 모두 동물이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어떤 것은 동물이 이용할 수 있으나 어떤 것은 이용할 수 없다. 동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탄수화물은 주로 전분(starch)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의 세포질에 포함되어 있으며 식물 자체의 에너지 공급 또는 에너지 저장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동물이 쉽게 이용할 수 없는 형태의 탄수화물은 주로 섬유소(cellulose)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식물의 세포막의 주성분이고 식물체의 형태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Analysis of Wave-Energy Propagation on Vibrating Coupled Beam-Type Structures (보형상 복합구조물 진동체에서의 파동에너지 전파에 대한 해석)

  • 길현권;홍석윤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6
    • /
    • pp.74-78
    • /
    • 1998
  • 보로 이루어진 복합구조물의 진동 에너지밀도와 파워를 구하기 위하여 파워흐름해 석법을 수행하였다. 복합구조물인 연성보에서는 구조 연결점에서의 파동변환에 따라 굽힘파, 종파, 비틀림파가 존재한다. 구조연결점에서 파동들의 파워투과와 반사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파동전달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파워흐름해석법을 이용하여 연성보에서 발생하는 열러 특 성의 파동들이 전달하는 에너지밀도와 파워의 공간적 분포 값을 엄밀해와 비교하였다. 결과 로써 파워흐름해석법은 고주파수영역에서 진동하는 연성보의 진동에너지와 파워의 공간적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파워흐름해석법의 중주파 수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저밀도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전자 에너지 분포 측정

  • Gang, Hyeon-Ju;O, Se-Jin;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86-586
    • /
    • 2013
  • 저밀도 플라즈마는 반도체 공정, 나노 신소재 분야 및 우주 항공 분야 등 여러 분야에 이용되며, 플라즈마 진단 및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플라즈마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Electron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EEDF)는 전자 온도, 플라즈마 밀도 및 플라즈마 전위 등의 플라즈마 변수를 측정하거나 전자 가열 매커니즘 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므로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RF fluctuation에 의해 낮은 전자 에너지 부분에서 EEDF가 왜곡되어 측정된 데이터 및 분석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F fluctuation 보상을 위한 쵸크 필터가 사용되며, 쉬스 임피던스에 비해 쵸크필터의 임피던스가 클수록 보상 효과는 높아진다. 하지만 플라즈마의 밀도가 낮아지면 쉬스 확장에 의해 쉬스 임피던스가 증가하므로 쵸크 필터에 의한 보상만으로는 충분한 개선 효과를 얻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RF fluctuation 보상을 위해 임피던스가 높은 쵸크 필터를 설계하고 추가적으로 레퍼런스링에 전압을 걸어 쉬스의 임피던스를 줄이는 방법도 적용하였다. 유도결합방식으로 $10^{-8}cm^{-3}$ 대의 저밀도 아르곤플라즈마 방전시켰으며, 단일 랑뮤어 탐침법으로 EEDF를 측정한 결과 낮은 전자 에너지 부분의 왜곡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hape and Thickness Optimizations of Shells Using CAGD through Minimization of Strain Energy with Volume Constraint (CAGD를 사용한 쉘의 형상 및 두께 최적화에 관한 연구 (부피 제약조건을 사용한 변형에너지의 최소화))

  • 이상진;한상을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4
    • /
    • pp.551-56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쉘 최적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쉘 구조물의 최적형상과 두께 분포를 찾는데 있다. 쉘의 변형에너지를 목적함수로 사용하고 초기 쉘의 부피를 제약조건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mputer-Aided Geometric Design (CAGD) 기법을 이용하여 쉘의 형상과 그 두께 분포를 표현하였고 쉘의 변형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가변형 도를 채용한 퇴화 쉘 요소(Degenerated Shell Element)를 도입하였다. 최적 값을 구하기 위해서 세 가지 수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DOT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이 개발된 쉘 최적화시스템의 효율성을 최적화예제로써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