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행복감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9초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행복감 비교 (A Comparison study on happiness of preschooler (3-5yrs) mot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6-7yrs) mothers)

  • 이신영;유칠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99-508
    • /
    • 2018
  • 본 연구는 만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와 만 6~7세 초등 1, 2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비교를 통하여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행복감 특성과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두 집단 어머니의 행복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유아 어머니 168명과 초등 저학년 어머니 170명, 총 338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Ryff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전체 행복감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6개의 하위변인 즉,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변인에서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변인 중 자율성과 개인성장의 변인에서는 유아 어머니가 초등 저학년 어머니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통제력,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의 변인에서는 초등 저학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연령, 학력, 소득, 종교에 따라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행복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자녀교육이 어머니의 행복감에 주는 영향력과 유 초 연계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머니들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서는 유 초등 연계교육의 내실화 및 국가적 차원에서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기초한 체계적인 부모교육과 정책적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골프운동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융합 연구 (Convergent research on how golf affects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윤선오;김우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47-54
    • /
    • 2015
  • 본 연구는 골프운동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융합연구를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및 T-검정,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에서 연령 40대, 학력 대졸, 종교 불교, 무교, 직업 가사, 가정형편은 보통, 대부분이 건강하였다. 또한 골프구력, 골프타수, 필드, 연습빈도, 연습시간에서 기술통계 모두가 평균이상이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골프운동에서 골프구력, 골프타수, 필드, 연습빈도, 연습시간에서 정적, 부적관계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관계가 제시되었다. 셋째, 필드, 연습빈도, 연습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맞벌이 부모가 인지하는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커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Gain and Strai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erceived by Dual-income Parents on Parent's Happiness)

  • 이한나;한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31-238
    • /
    • 2018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가 인지하는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에 대한 상호작용 형태를 이해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아동패널(2015) 8차 년도의 본조사와 어머니, 아버지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총 1462쌍의 부모 중 맞벌이를 하는 부모 630쌍이었으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은 행복감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은 어머니의 행복감에 상대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와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모를 한 단위로 구성하여 중재와 교육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행복감은 자녀가 성장하거나 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부모의 행복감의 영향요인의 변화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영향 변인 : 자녀의 연령, 자녀수 및 어머니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The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Happines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hild's Age, the Numbers of Children,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 정계숙;박수홍;유미숙;최은실
    • 아동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12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ild's demographic variables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on their happiness for mot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916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 child's age and the numbers of children influenced maternal happiness when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addition, mothers who exhibited high degree of ne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regarding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were more likely to be happy than mothers who exhibited low degree of needs. Finally, the expectations regarding growth, which refers to the pursuit of self-accomplishment and meaning,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maternal happ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척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ternal Happiness Scale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정계숙;박재국;박수홍;유미숙;최은실;서보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7-4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ernal happiness scale which can be used for mot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First, the maternal happines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consent of experts. Finally it was consisted of 56 items from 18 elements of happiness through checking the contents validity with professionals. Second, final respondents for the survey were 1300 mothers who had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Seoul, Busan, Gyeonggi, and Kyungnam. Third, the 8 factors including the 53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the mothers' appraisal of the items and the review of the adequacy for the factor analysis. The 8 factors were consisted with 'Family relations with family', 'Laid-back life and self-esteem',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dependency and development', 'Spiritua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ppearance', 'Sociocultual environment'. Fourth, the maternal happiness scale demonstrated appropriate levels of construct validity, item internal consistency, distribution of item response, and item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ore factors of maternal happiness. In addition,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mot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양상에 따른 우울 및 자녀의 학교준비도, 자아존중감, 행복감 차이 (Trajectories of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its Relationship to Depression and Children' School Readiness, Self-esteem, and Happines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44-352
    • /
    • 2020
  • 본 연구는 자녀 출생 후 5년 동안의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에 존재할 수 있는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어머니 우울의 변화 패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년도(2008년)부터 5차년도(2012년), 7차년도(2014년)부터 10차년도(2017년)의 1,243명의 자료를 성장혼합모형분석, 다집단 성장 모형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양상은 저수준 저변화, 중수준 상향, 상수준 무변화의 3개 잠재계층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에 따라 어머니 우울의 변화 패턴을 확인한 결과, 상수준무변화 집단의 어머니는 5년 동안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패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계층에 따라 취학 전 유아 시기의 학교준비도 4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4개 하위 요인 모두 저수준 저변화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은 대체로 저수준 저변화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이 어머니 자신뿐 아니라 취학 전 유아 시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갈등 해결을 위한 교육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부모의 양육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결과에 대한 비교 문화 연구 (Examining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al Control and Child's Emotional Outcome)

  • 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가정 사이의 부모의 행동적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미국 시애틀 지역의 8에서 9세 사이의 자녀를 둔 31한국계 가정과 31백인 가정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각의 부모들과 자녀들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Acceptance/rejection and control 질문지 결과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아버지들이 백인 아버지들보다 자녀들에게 전반적으로 더 많은 통제와 공격적 양육태도를 보여주었다. Child Regulation Index결과, 한국계 어머니들도 자녀들에게 더 많은 행동조절 지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아동들의 심리내적인 정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Reynolds child depression scale에서 한국계 이민자 가정 아동들이 백인 부모의 자녀들보다 자기 자신에 대해 덜 행복하게 느끼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의 통제가 아동의 심리내적 정서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appiness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염미정;양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1-25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a model of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the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of Lazarus and Folkman. Method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to July 2016.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10 mothers with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The exogenous variable was parenting stress,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parenting alliance, depression, optimism, ways of coping, and happiness. Data from 20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0.0 programs.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final modified model showed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and out of 25 paths, 1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odel explained 78.4% of the variance in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confirmed that depression, optimism, parenting alliance, and social support-focused coping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ubject's happiness. Parenting stress also influenced happiness through parenting alliance, depression, and optimism. Conclusion: In order to bolster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hat can minimize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such as depression, and that can enhance their strengths, such as optimism, may serve as effective ways of coping with and adapting to stress.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in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 조승석;김희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49-5558
    • /
    • 2013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질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7명으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로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감, 정서교감, 행복감의 정서적 측면, 정체성노출, 모국어교육의 정체성 측면, 교우, 가족, 지역사회의 관계적 측면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험에 대해 시도함으로써 다문화가족의 입장에서 필요한 이중언어 지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 유형 연구 (A study on happiness typ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유칠선;최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58-367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행복의 유형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D지역의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32명을 임의 표집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유형은 가족중심의 가치관을 가지고 자녀를 비롯한 가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는 가족중심형, 종교에 의지하여 절대자의 사랑을 느끼며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과 작은 일에도 감사를 느끼며 살아가는 감사추구형, 가족 및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 좋은 사람들과의 관계에 중요한 행복의 가치를 두는 관계지향형, 가정의 화목이나 자녀교육을 통한 행복도 중요하지만 개인으로서의 삶과 즐거움을 강조하는 개인향유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4가지 행복 유형 간 공통 견해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가족과 친밀한 사람과의 관계, 개인의 가치 관계가 두드러지게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