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영아발달에 관한 양육지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 and Matern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Infant Development)

  • 이경하;서소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87-10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of interest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were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to the infants and mothers,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nfant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2 infant-mother pairs and all infa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15 months to 36 months of age. The development of Infants was assessed by classroom teachers. Data regarding the mothers’' demographic information,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stress were gathered by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primary results demonstrated that family income, maternal infant knowledge,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predictive of the infant development. In addition, different patterns in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observed among the infant’'s of different ag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results of study.

영아기 첫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of Mothers with Infants)

  • 조복희;정민자;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9-10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자녀 양육 초기 영아모의 아동발달지식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발달지식 수준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만2세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 156명을 대상으로 양육관련 설문지와 KCDI(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Larsen, & Juhasz, 1986)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여 결과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모의 아동발달지식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70.0%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발달,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신체발달 순으로 자녀의 발달에 대한 지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관련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일수록 유아의 정서발달에 관한 지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월수입 정도가 많을수록 지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시 체중이 많았던 자녀를 둔 어머니일수록 신체발달에 관한 지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유방법에 따른 아동발달지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혼합수유를 하는 어머니가 모유수유, 인공유 수유를 하는 어머니보다 자녀의 인지발달, 사회성발달에 관한 지식이 보다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 시부모가 기대하지 않았던 성의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일수록 아동발달지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영아모 대상의 부모교육, 임산부 교실, 특수아동 자녀를 둔 부모대상 교육 프로그램, 입양센터, 미혼모센터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 양미선;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29-24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아동발달에 관한 지식과 자녀발달을 위해 행하는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지식과 행동의 수준의 차이에 따라 지각되는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영남, 호남 지역에 거주하는 18~3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적률상관계수,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발달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영역별 양육행동 중 인지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집단별 비교에서도 영역별 적합한 양육행동을 많이 행하지 못하는 하위집단이 중상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영아의 발달과 어머니의 양육지식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 보육실태 및 계획과 관련하여 - (Infant Development,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nd father's participation of child - rearing - in rearing in relation with current state and future plan of child-care -)

  • 강기숙;한유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71-8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ant's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nd father's participation of child-rearing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112 infants aged from 11.5 months to 12.5 months old were tested by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in addition,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five areas of parenting knowledge, mothers attained the highest score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lowest o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were related to their income and the time to start child-care center. Third, the development of infa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child-care policy and parent education program were discussed.

자녀양육에 대한 국내 간호학분야 연구논문 분석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Child Rearing in Korea)

  • 이동원;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64-27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수행된 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추후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설정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KoreaMed, 한국학술정보,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과학기술학회 마을, 한국교욱학술정보원의 5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2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개념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별(기술적, 설명적, 처방적 지식)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설계는 실험연구가 27.3%, 비실험연구가 72.7%였고, 연구대상자는 양육자로는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36.0%), 피양육자로는 신생아가 가장 많았다(29.6%). 양육속성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이 가장 많았고(49.9%), 양육지식 영역이 가장 적었다(2.2%). 양육속성의 하위영역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효능감 양육태도 등의 순이었고, 양육실제 영역에서는 애착, 부모-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양육실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장/발달/행동 영역에서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 행동/건강 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식체 유형별로는 설명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55.2%), 처방적 지식(30.0%), 기술적 지식(14.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식체가 개발되었으나 처방적 지식의 개발이 미흡하며, 발달단계별 양육과 어머니 외의 다른 양육자 대상 연구가 부족하였고, 양육의 실제적인 측면보다는 양육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연구가 더 많았다. 따라서 양육의 공동 책임자인 아버지와 대리 양육자 대상의 연구, 아동의 발달 단계별 건강을 위한 아동간호학의 차별화된 지식 개발 연구, 양육실제를 유도하는 처방적 지식을 개발하는 연구와 아동양육의 국가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아동양육정책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