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양육 특성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기질,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사회화 전략을 중심으로 -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 홍혜란;하지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predicte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Subjects consisted of 250 preschooler-mother pairs; children were 3 to 6 years of ag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were assessed by classroom teachers. Data on the mothers'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as well as children's temperament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withdrawal pre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lf emotional expression) predicte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pro-social behavior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PDF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양육 태도의 매개적 역할을 고려하여 (Effects of Mater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Stress on a Child's Self-Concept: Parenting Style as a Mediating Factor)

  • 정수진;최정윤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2호
    • /
    • pp.120-127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s self-concept. Attention was also paid to the mediating impact of parent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variables and a child's self-concept. Methods : A questionnaire and three scales were completed by fifth graders and their mothers, and 270 sets of pair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 experienced less child-related parenting stress, were perceived to be more achievement-oriented and rational by their children, and also had children with more positive self-con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ducation and child's self-concept was mediated by the rationality dimension of parenting style. Maternal employment was not related to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 and most aspects of the child's self-concept. Lastly, child-related parenting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hild's self-concept, and this effect was mediated by the warmth and rationality dimensions of parenting style. Conclusion : Parenting styl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s self-concept and maternal education and child-related parenting stress.

  • PDF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분석: 개념도 기법을 활용하여 (What Kinds of Rearing Stress Do the Mothers of the Gifted Have?: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 한기순;이영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893-916
    • /
    • 2012
  •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영재 자녀를 둔 12명의 어머니들이 지각하고 있는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79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고, 이들 79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273의 stress 값을 얻었다. 또한 101명의 영재아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도출된 양육 스트레스를 얼마나 공감하고 경험하는가를 물었다. 다차원 척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별 진술문들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범주의 개수는 총 3개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위계적 군집 분석결과 도출된 군집에 대한 명명은 좌표 상에 표시된 진술문들의 상대적 위치, 범주에 묶인 진술문 내용과 연구 참여자들이 카드분류 단계에서 기술한 범주 명을 고려하여 '영재부모로서의 부담과 갈등', '영재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부정적인 행동 특성', '영재라는 타이틀의 자부심과 그 이면'으로 명명하였다. 영재부모로서의 부담과 갈등 범주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여 이 범주와 관련한 양육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의 진로에 대한 어떠한 구체적인 도움을 주어야 하는지 걱정이다(M=4.65)', '자기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면서도 불안한 마음에 자녀의 행동에 개입하는 것이 많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게 된다(M=4.60)', '초등학교 시절에서 영재과정을 마친 후, 다음 단계에서도 영재로 선발되기 위해 뒷받침을 잘 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M=4.46)', '시간적, 물질적 투자의 부재로 인하여 자녀가 소질을 더 계발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M=4.44)', '부모의 높은 기대 때문에 자녀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아 미안하다(M=4.43)' 등의 항목들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이와 관련한 영재어머니들의 스트레스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 자녀 및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그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elf-esteem)

  • 김기승;함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40-45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등 220명을 대상으로 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답변이 불성실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22부를 제외하고 총 18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배경에 다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에 비하여 어머니의가 더 높은 관계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거부적 과잉보호적 태도가 낮게 나타나며 애정적 태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에서 애정적 태도와 과보호적 태도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아버지양육태도의 애정적 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과 자녀양육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대처행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Mothers'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 민하영;김경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4호
    • /
    • pp.27-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66 mothers of children who were between 3 years and 7 years of age, living in the North Kyongsang Province. Paired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ose situations whe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they were more likely to use an avoidance coping strategy than an approach coping strategy. (2) Among the mothers who were experiencing marital conflict or child-rearing stress, the group that suffered a higher level of stress was more likely to employ an avoidance coping strateg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pproach coping behavior by the level of stress. (3) When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were controlled, approach coping behavior with marital conflict was still moderately correlated with approach coping behavior with child-rearing stress.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TV/비디오 시청 중재와 아동발달특성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Mediation of TV/Video Viewing and Child Development)

  • 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60
    • /
    • 2004
  • This survey of 659 mothers examine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of over-protectiveness vs. active involvement and restrictive and/or evaluative TV/Video viewing mediation in relation to children's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Maternal over-protectiven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active involvement with children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Furthermore, appropriate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TV/Video viewing was related to children's higher cognitive and social ability as well as positive emotionality.

  • PDF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과학영재의 재능 발달에 끼친 촉진 요인과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ole of environmental influences in talent development of the Korean Math and Science Olympians.)

  • 윤여홍;김언주;문정화;김명환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245-270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 과학(수학, 물리, 화학, 생물, 정보) 올림피아드 참가 경험자들을 통해 과학영재로 성장하기까지의 교육 경험, 가정 환경, 학교요인, 인적 자원, 부모의 양육태도 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아버지의 전문직 종사와 어머니의 양육, 부모의 재능 발견 등의 가정 환경이 과학영재의 재능 개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둘째, 학생들이 과학영재로 성장하기까지 책과 독서의 영향이 컸다. 많은 양의 장서와 1주에 1권 이상씩의 독서, 가족의 독서 분위기가 영향을 주었다. 셋째, 속진과 재능개발프로그램의 참여가 도움을 주었으며, 교사 및 가정의 학습환경, 부모의 인적자원이 재능개발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넷째, 수업의 질과 획일화된 교과과정은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은 부모이며, 부모의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는 허용적이고 애정적이고 지지적이며, 아버지의 독립적 특성과 어머니의 보호적 태도가 상호보완을 이루어 민주적인 방식으로의 양육이 도움을 주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과학영재의 발굴과 과학영재로서의 성장에 지적 자극이 되는 가정환경과 부모의 역할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었으며, 앞으로의 과학영재 발굴과 성장에 민주적인 부모-자녀 관계의 형성, 학교장면에서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학습환경과 질 높은 수업 분위기,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제공 등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 PDF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과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and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 김수연;이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9-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4-5 year old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125 pair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were rated to show uniqueness, openness, sensitivity, playfulness, and perseverance a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by their 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boys and girls. Second, the more mother used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the higher their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esti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