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깨 안정근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푸시업과 무릎 푸시업, 벽 푸시업 운동시 어깨안정근 활성도의 비교 (Comparison of Scapular Stabilizer Muscles Activity among Push-Up, Knee Push-Up and Wall push-Up)

  • 김용권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3-131
    • /
    • 2023
  • 이 연구는 일반 푸시업과 무릎 푸시업, 벽 푸시업 운동시 어깨 안정근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깨관절에 통증이 없고 푸시업 운동을 하지 않은 대학생 남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깨 안정근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 중간등세모근, 앞톱니근, 앞세모근, 뒤세모근, 큰가슴근, 가시아래근에 부착하였다. 일반 푸시다운은 무릎 푸시다운과 벽 푸시다운 보다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푸시업 동작에서는 앞톱니근과 가시아래근이 다른 어깨안정근에 비해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컸으며, 일반 푸시업 동작이 무릎 푸시업과 벽 푸시업 보다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UT/LT 비율에서는 무릎 푸시다운이 벽 푸시다운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UT/SA 비율은 푸시다운과 푸시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푸시업과 푸시다운 동작 시에는 앞톱니근과 앞어깨세모근, 가시아래근이 다른 어깨안정근보다 근활성도가 높고, 일반적인 푸시업 운동이 무릎 푸시업과 벽 푸시업 운동보다 근활성도 측면에서는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푸시다운을 할 경우에는 어깨안정화를 위해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푸시다운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지면 조건에서의 푸시업 플러스 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Plus on a Different Condition Surface)

  • 김진섭;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399-4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안정, 상지 불안정, 하지 불안정, 상하지 불안정)에서의 푸시업 플러스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8명의 정상인이 자발적인 참여를 했다. 측정 방법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에서 푸시압 플러스를 수행 하는 동안 위세모근, 큰가슴근, 앞톱니근을 표면 근전도로 기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총 7일 동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값은 푸쉬업 플러스를 실시한 실효치 값의 평균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반복 측정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세모근과, 큰가슴근은 다른 조건의 지지 면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하지만 앞톱니근에서는 상하지가 불안정한 조건일 때 푸쉬업 플러스 운동을 하는 동안 근 활성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푸쉬업 플러스 운동 방법으로는 상 하지가 모두 불안정한 지지 면을 제공 할 때 가장 효과적 이였다.

다양한 자세의 푸시업 플러스 융합 운동에 따른 어깨 안정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on Push-up plus in Convergence in Various Posture)

  • 문병현;김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41-3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자세의 푸시업 플러스(PUP) 운동 시 5번째와 7번째의 앞톱니근(SA), 위등세모근(UT), 중간등세모근(MT), 아래등세모근(LT), 큰가슴근(PM)의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25명의 대상자가 다양한 자세의 PUP 융합 운동 (일반자세, $90^{\circ}$, $120^{\circ}$, BOSU)을 실시하였다. 각 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PUP 융합 운동동안 SA7, PM, UT, MT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SA7은 PUP 와 $90^{\circ}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PM은 $90^{\circ}PUP$와 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UT은 $90^{\circ}PUP$와 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05). MT는 $90^{\circ}PUP$와 PUP, $120^{\circ}PUP$, 그리고 PUP와 $120^{\circ}PUP$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본 연구 결과, 어깨의 기능부전이 없는 대상자가 어깨 안정근을 훈련할 때 일반적인 PUP가 효과적일 것이다.

팔자세의 유형에서 손의 쥐기 강도가 어깨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nd Grip Force on the Activity of Shoulder Muscles in the Patterns of Arm Position)

  • 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435-441
    • /
    • 2012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어깨관절 각도의 팔자세 유형에서 여러 가지 손의 쥐기 강도의 차이에 따라 어깨주위근 활성도를 측정하여, 직업과 관련된 어깨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한 기초임상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팔자세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쥐기를 시행 할 때 어깨 주위 근육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모든 대상자들은 MVC를 측정하였고 동일한 자세에서 어깨관절 $0^{\circ}$, $90^{\circ}$, $160^{\circ}$에서 각각 최대 쥐기 강도의 30%, 50%, 70%를 무작위로 실시하여 팔자세의 유형에서 쥐기강도에 따른 앞세모근, 가시위근, 위등세모근, 가시아래근의 %MVC를 구하여 어깨근 활성도를 알아보았다. 팔자세의 유형에 따른 각 집단의 %MVC를 비교하기 위하여 $0^{\circ}$에서 최대 힘의 30%, 50%, 70%로 쥐기를 비교한 결과 앞세모근, 가시위근, 위등세모근, 가시아래근 간의 근활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90^{\circ}$$160^{\circ}$에서는 앞세모근, 가시위근, 위등세모근, 가시아래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사후검정결과 모든 각도에서 앞세모근과 가시아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양한 산업현장의 근로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과도한 손의 움직임은 안정성과 가동성에 기여를 하는 어깨주위 근육들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가시아래근의 경우 팔의 각도가 클수록 그리고 쥐기 힘이 커질수록 근활성도가 증가 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은 머리위로 손을 올려 사용하는 작업현장에서의 어깨손상예방과 손상된 근육을 선택적으로 재활하는 측면에서 기초 임상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몸통교정테이핑 융합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및 안정성, 팔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조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1-419
    • /
    • 2017
  • 본 연구는 어깨뼈 설정 운동과 몸통 교정 테이핑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연구군(테이핑+어깨뼈 설정) 10명과 대조군(어깨뼈 설정) 10명으로 나눈 뒤 4주간 주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군은 몸통 교정 테이핑을 적용받았고 동시에 어깨뼈 설정운동을 받았다. 측정은 몸통 근활성도, 몸통손상척도(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 팔 기능검사 (Manual Function Test of upper extremity, MFT)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연구군에서 몸통 근활성도, K-TIS, MFT 점수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대조군 보다 K-TIS와 MFT 점수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뼈 설정 단일 운동 보다 몸통 교정테이핑 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개별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에 관한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욱 임상적 의의가 있겠다.

거북목을 가진 사람에게 메켄지 폄운동과 어깨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ulder stabilization exercise and McKenzie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거북목을 가진 사람에게 메켄지 폄운동과 어깨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30명의 거북목을 가진 평범하고 건강한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자는 어깨안정화운동과 메켄지 폄운동으로 나누어(인원=30, 남자 15명, 여자 15명) 무작위로 나누어 6주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마름근, 아래등세모근의 운동프로그램과 깊은목굽힘근, 위등세모근, 어깨올림근의 신장프로그램을 통한 목뼈의 머리척추각(Cervical Vertebra Angle) 값과 각 근육별 근전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앞쪽머리자세와 경우에는 목과 등근육의 활성도가 감소하고 피로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목과 머리의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위등세모근, 깊은목굽힘근, 어깨올림근의 신장과 마름근, 아래등세모근의 운동을 통해 거북목의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근육들의 불균형한 수축과 과도한 긴장으로 근육의 경직과 피로가 누적되며 이러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되면 만성화상태가 되어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로의 누적으로 인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과 근력을 약화시켜서 목 디스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nd Grip Force on Shoulder Muscle Activity in Two Arm Posture)

  • 장현정;김지선;최종덕;김선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29-1237
    • /
    • 2012
  • 본 연구는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22명(남 11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4가지 파악력(최대 파악력의 0%, 30%, 50%, 70%)을 팔의 중립 자세와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 적용 했을 때 상승모근, 하승모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의 근활성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팔 중립 자세에서는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2가지 팔의 자세에서 각각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어깨근육 근활성도가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손 쥐기 과제를 중립자세에서 실시할 경우 어깨관절 안정근인 극하근이 활성화되고,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삼각근을 억제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손을 사용하는 작업 시 인간공학적 접근으로 어깨 손상의 예방과 손상 후 재활 훈련 시 효율적인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치과의사와 직업병

  • 안정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8권3호통권370호
    • /
    • pp.254-259
    • /
    • 2000
  •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어깨결림... 대부분 치과의사들이 흔하게 겪게 되는 증상들이다. 자세로부터 오게 되는 이러한 근골격계 장애는 일정한 자세를 오래동안 유지하게 되는 직업적 특성을 갖고 있는 치과의사의 직업병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에 대해 분석해보고 예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 PDF

으쓱 운동과 PNF어깨뼈패턴 시 어깨뼈 안정근의 근활성도 (Intramuscular Activation of Scapular Stabilizing Muscles During Shrug Exercise and PNF Scapular Pattern Exercise)

  • 김민정;정수민;박성권;박두진
    • PNF and Movement
    • /
    • 제14권2호
    • /
    • pp.113-12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tramuscular activation of the scapular stabilizing muscles and the upper trapezius/middle serratus anterior (UT/MSA) ratios during shrug exercise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scapular pattern exercis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young adult men who voluntarily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experiment after listening to its purpose and methods. All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on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and scapular exercises. The intramuscular activation of the upper trapezius (UT), lower trapezius (LT), middle serratus anterior (MSA), and lower serratus anterior (LSA) muscles while performing scapular exercises in a side-lying position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To analyze the muscle activation and UT/MSA ratio between the two exercises, a one-way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Post-hoc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ukey's multiple comparison and analysis. Hamstring flexibility for each group was measured by a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test. Results: The shrug exerci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UT activation compared to PNF anterior elevation and posterior elevation scapular patterns. The PNF scapular anterior elevation patter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rratus anterior activation than the shrug exercise. Additionally, the UT/MSA ratio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NF scapular anterior elevation pattern than in the two exercises. Conclusion: Although shrug exercise was effective for strengthening UT, the PNF scapular anterior elevation pattern may be effective for strengthening MSA and improving the UT/MSA ratio.

농작업자의 건강과 안전 향상을 위해 적합한 작업용 좌대 높이의 검증 (Verification of Suitable Height of Plank Seat for Improving the Health and Safety of Farmers)

  • 정인주;정화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16
    • /
    • 2007
  • 최근 들어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농어촌에도 자동화가 가속화되면서 작업자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농업현장에서 대부분의 작업들이 부적절한 자세로 수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는 쪼그려 앉는 작업자세가 요구되는 각종 농작업에 있어서 적합한 높이의 작업용 좌대를 제공함으로써 부적절한 작업자세를 개선하여 노동 강도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과 요통 등 근골격계질환을 감소시켜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농작업에서 행해지는 쪼그려 앉는 여러 자세에 있어서 재배작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작업용 좌대의 높이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쪼그려 앉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유사한 작업이라도 작업위치에 따라 쪼그려 앉는 작업용 좌대의 적합한 높이는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작업위치가 5cm 이하이면 작업용 좌대 높이는 10cm가 적절하며 작업위치가 20cm이면 15cm, 작업위치가 40cm이면 20cm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농작업에 적용한다면 작업조건이 향상되어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허리, 어깨, 다리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력작업에 따른 무리한 힘의 소모를 감소시켜 노동력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