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디지털융복합연구)
- Volume 10 Issue 1
- /
- Pages.399-405
- /
- 2012
- /
- 2713-6434(pISSN)
- /
- 2713-6442(eISSN)
DOI QR Code
A Effect of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Plus on a Different Condition Surface
다른 지면 조건에서의 푸시업 플러스 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1.26
- Accepted : 2012.02.17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 up plus on a different conditioning surface. Eighteen healthy volunteers were tested. Surface EMG was recorded from the upper trapezius(UT), pectoralis major(PM), and serratus anterior(SA) using surface differential condition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7 days. The mean root mean square (RMS) of EMG activity was calculated. A one-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compare RMS normalized values. The UT and PM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f electric activation amplitude in relation to different surface conditions(p>.05). However, the SA showed greater mean electric activation amplitude values on the push up plus exercise on a upper and lower unstable surface(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improve SA EMG activity is more useful when performed on a upper and lower unstable surface conditions than on a stable surface cond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안정, 상지 불안정, 하지 불안정, 상하지 불안정)에서의 푸시업 플러스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8명의 정상인이 자발적인 참여를 했다. 측정 방법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에서 푸시압 플러스를 수행 하는 동안 위세모근, 큰가슴근, 앞톱니근을 표면 근전도로 기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총 7일 동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값은 푸쉬업 플러스를 실시한 실효치 값의 평균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반복 측정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세모근과, 큰가슴근은 다른 조건의 지지 면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하지만 앞톱니근에서는 상하지가 불안정한 조건일 때 푸쉬업 플러스 운동을 하는 동안 근 활성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푸쉬업 플러스 운동 방법으로는 상 하지가 모두 불안정한 지지 면을 제공 할 때 가장 효과적 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