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 Q-se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만 5세 애착측정도구로서의 '애착 Q-set' 예비 타당도 연구 (A Preliminary Study to the Validity of 'Attachment Q-set' as a Measuring Tool for 5 Years' Attachment)

  • 서선옥;심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5-19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Attachment Q-set' as a measuring tool for 5 years attachment stability. The subjects comprised 18 boys and 15 girls aged 5 in a daycare center in G city, in Kyongnam.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ttachment Q-set', ASCT, and IPPA-R. Based on experts' rating, the Q-set was modified, reducing it from 90 to 75 items, and used a Likert 5-points scale. ASCT scores as well as types were compared with the scores of the Q-set and IPPA-R. The attachment type was classified into either secure or insecure. The IPPA-R score of the secure inf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secure, and correlated with the ASCT sc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Q-set score with the attachment types or the ASCT scores. The Q-set scores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the IPPA-R. Thi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Q-set's invalidity for rating attachment levels of 5 years as well as the limitations imposed by the subjects' restrictive numbers.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 형성 발달경로 (A Developmental Pathway of Child Attachment Security through Maternal Characteristics)

  • 이경혜
    • 아동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3-171
    • /
    • 2002
  • 영아기의 애착형성이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 안정애착 혹은 불안정 애착으로 발달된다는 이론이 널리 알려지면서 불안정 애착에 대한 예방과 치료중재의 필요성이 고취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결정적인 문제인 어머니의 어떤 특성들이 아동의 불안정애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동간의 세대간 애착순환을 재검증함과 동시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아동 불안정 애착전이를 예방 및 중재시킬 수 있는 매개변인이 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영아기 이후의 애착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기 위한 시도에서, 30개월에 달한 아동과 어머니 53쌍이 조사 관찰되어졌고, 이는 아동발달의 관점에서 이 아동들이 49개월에 달했을 때 다시 조사 관찰되어졌다. 아동양육과 관련된 어머니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와 the Parental Stress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아동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Separation-Reunion Classifications (1차)와 the Attachment Q-set (2차)이 사용되어졌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Amos structural equation 통계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결과는, 아동애착안정성은 어머니 애착유형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단 이러한 관계는 어머니 스트레스 형태를 통하여 전달 형성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욱이 본 연구는 어머니-아동 애착 형성의 순환에 있어서 직접적인 경로가 없다는 것을 밝혀 줌으로서, 세대간 불안정애착 유형 순환 붕괴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어머니 대모애착, 양육효능감, 경제적 수준과 영유아기 애착 발달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Efficacy, Mother's Economic Level and Infant-child's Attachment Development)

  • 정경화;김숙령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5-18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이 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전시 5개구에 위치한 8개소에 재원중인 12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아와 48개월에서 60개월 사이의 유아 총 60명,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와 유아의 애착 측정을 위하여 영아 Q-set검사와 Slough와 Greenberg의 유아용 SAT 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 대모애착은 성인애착 척도(AAS)를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이윤진의 척도를 이용하여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대모애착이 영유아 애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경제적 수준이 영아 애착형성에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교사의 반응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teachers respectively and teachers' responsiveness)

  • 김숙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15-22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과 교사의 반응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D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2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 64명과 어머니, 그리고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들이다. 연구도구로 애착 Q-set검사와 교사의 반응성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위해 Cronbach's ${\alpha}$와 연구문제를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일관성, 온정성, 민감성은 영유아의 교사에 대한 안정된 애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온정적인 태도와 민감한 반응은 영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된 애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민감하고 반응적인 특성이 영유아의 교사에 대한 애착뿐 아니라 어머니에 대한 애착 형성에도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말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애정적인 신체접촉과 함께 긍정적인 정서로 일관되고 민감하게 영유아에게 상호작용하는 반응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검증함과 동시에, 이러한 교사의 특성이 영아-교사간의 관계에 대한 영향을 넘어 영아-부모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혀주었다.

애착의 평가 (THE MEASUREMENT OF ATTACHMENT)

  • 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글에서는 애착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평가도구들에 대해 발달연령적 접근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성, 타당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영유아기의 애착평가도구로는 낯선상황절차(SSP), 애착Q-Set(AQS)을, 유아/아동기 도구로는 $3{\sim}4$세 유아용 애착평가도구인 Cassidy-Marvin의 애착유형체계, Crittenden의 PAA, Main과 Cassidy의 애착유형평가와 인형놀이기법을 이용한 MSSB와 애착유형별 가족그림분석을 소개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도구로는 부모와 또래와의 애착을 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IPPA를, 청소년기/성인기 도구로는 성인애착면접(AAI)과 성인들간의 낭만적 애착을 재는 ASQ를 소개하였다.

  • PDF

복합애착유형에 따른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문제행동 (Preschooler's Internal, External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Multiple-Attachments to Both Mothers and Teachers)

  • 김진경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5
    • /
    • 2010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multiple-attachments exhibited to both mothers and teachers. The subjects were 120 preschool children (between 4 to, -5 years ol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attachment classification of these 120 preschoolers was evaluated by an attachment Q-set.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means of one-way ANOVA, and the Duncan test with the SPSS Win 13.0 program.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nternal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multiple-attachment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external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multiple-attach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may compensate for insecure relationships with mothers.

나레이티브를 통한 유아의 애착 표상 측정의 타당화 연구 : 애착 안정성,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 행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 : Links to Attachment Securit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

  • 박경자;권연희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7-247
    • /
    • 2005
  • The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40 36- to 52-month-old upper-middle class children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ir attachment securit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Instruments were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Bretherton, Ridgeway, & Cassidy, 1990), the Attachment Q-set, and the Vocabulary test of the K-WIPPSI.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were observed at home during semi-structured problem-solving situations.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classified Korean preshoolers from these upper-middle class families as securely attached to their mothers. Girls' representation of their attachment relationship was more secure than boys. Preschool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vocabulary ability. Attachment secur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preschool children's attachment representation.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related significantly to preschool children's attachment representation.

  • PDF

애착 Q-set의 국내 준거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terion Scores for the Attachment Q-set in Korea)

  • 이영;박경자;나유미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4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riterion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achment Q-set. It further examined distribution of security of attachment scores of Korean infants and differences in attachment scores by the cultural background. The criterion scores of attachment security were developed by 8 judges who are knowledgable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They used the Q-set to describ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ideally secure infants of 12 and 36 months of age. Distribution of the attachment scores was analyzed with 191 infants, compiled from 4 studies including infant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attachment security criterion scores developed for Korean infants correlated highly with the Waters' criterion scores (1987) for American infants, .90 for 12 months and .88 for 36 months of age. Correlations between attachment scores developed for 12-and 36-month-olds was .89. The attachment security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was a little higher and more negatively skewed than scores calculated using the American criter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curity of attachment scores by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infants, but not with employment status of the mothers. Infants of nonemployed middle class mot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ecurity of attachment scores than infants of nonemployed lower class mothers. Infants from lower class families had higher "difficulty" scores, and "enjoying physical contact" scores were higher among infants from the middle class.

  • PDF

애착의 지속성에 관한 단기종단적 연구 : 영아기의 낯선상황 애착유형과 유아기의 애착안정성 (The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Mother Attachment across 3 Year Periods)

  • 박응임;유명희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46
    • /
    • 1997
  • This article reports the developmental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attachment qualities with their mother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24 infants were observed with mothers in the Strange Situation to assess the infant-mother attachment patterns at 16 months of age. After 3 years, attachment security was assessed using Attachment Q-Set, and the modified IPBI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other Form) was administered to mothers to assess their parenting behavior.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scores by infancy attachment patterns. That is 11 of 12 children's attachment to mothers qualities were stable across the 3 year periods. The attachment security scores related positively to the respons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Changes in child-mother attachment quality over time were related to maternal responsiveness. Collectively,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predictions from attachment theory.

  • PDF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a Child Care Teacher and Peer Play Process)

  • 신동주;김소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4명의 만 2세 영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영아들은 애착 Q-set를 통해 측정한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에서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 각각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36회에 걸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비디오 촬영 전사본, 교사 면담 전사본, 보육계획안, 현장 일지 등이 분석과 해석에 활용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를 놀이의 흐름에 따라 시작 전개 마무리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놀이의 시작에서 영아가 또래를 놀이에 초대할 때, 안정애착영아는 적합한 놀이 파트너를 선정 하거나 구체적인 놀이 행동을 요구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즉흥적으로 놀이 파트너를 선정하거나 불분명하고 미숙하게 또래를 놀이에 초대하며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또래가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기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을 파악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에 대한 파악 없이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에서 안정애착영아는 상호보완적으로 협조를 하고 놀잇감을 공유하며 놀이를 진행하였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협조를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사만 표현하고 또래와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또래갈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중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래놀이의 마무리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공동의 끝맺음을 보였으나, 불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함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놀이가 단절되거나 보육교사와의 놀이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