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동기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생이 인식한 부모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연구 (Parent attachme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 마지순;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33-936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아버지에 대한 애착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는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았지만 성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은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신뢰감의 애착과 정적상관이 있었지만 아버지의 소외감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애착유형 하위요인 중 어머니의 소외감 애착이 높으면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낮았다. 반면 어머니의 소외감 애착이 높으면 아버지의 소외감도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착은 부모됨의 동기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요소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됨의 동기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부모와의 애착은 자신이 부모가 되고자하는 동기에 영향을 미침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은 대학생이 미래의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와 애착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 PDF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동기 간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s Peer Attachment on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 유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63-27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 동기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S시 소재의 남녀 중학생 457명(남학생 225명, 여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또래애착, 내재적 학습동기의 수준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자존감과 또래애착, 내재적 학습동기 사이의 상관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존감은 또래애착과 내재적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또래애착도 내재적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한편 또래애착은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동기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학년에 따른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중학생들의 자존감은 또래애착에 영향을 주며, 자존감의 영향을 받은 또래애착은 내재적 학습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 마지순;박정환;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00-206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어머니 및 아버지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W대학교의 부모-자녀관계론을 수강하는 대학생 223명이다. 연구도구는 부모애착(IPPA)와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아버지에 대한 애착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는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았지만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은 부모됨의 동기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됨의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은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부모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와 애착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Eating Habit among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 박문경;이윤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중재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총 125명이다. 자료는 SPSS/WIN 26.0,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식습관과 자율적 동기, 부모 애착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제적 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 애착은 자율적 동기와 식습관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고, 자율적 동기는 식습관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율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𝛽=.09, p=.003, 95% CI: 0.29~0.19).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부모 애착과 더불어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기혼 직장인의 성인애착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f Married Employees on Job Motivation: Mediating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 정지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85-2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직장인의 성인애착, 직무동기, 부부관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의 기혼직장인 370명을 연구 대상으로 2016년 9월 10일~10월 14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령대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직무동기, 학력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결혼기간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직책에 따라 직무동기, 가계의 연평균 소득에 따라 부부관계, 근무형태에 따라 부부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애착회피와 직무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애착회피와 부부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직무동기와 부부관계 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직무동기의 관계에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애착불안이 직무동기에 주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직무동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상담 개입이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개개인의 이러한 특징 또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 플로우(Flow), 커뮤니티 동일시, 브랜드 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Motivation Of Online Brand Community And The Flow, Community Identification, Brand Attachment)

  • 한광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27-52
    • /
    • 2010
  •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이용 동기(정서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적 동기)가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며, 플로우를 매개하여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는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중에서 두 경로 간 크기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위계적 카이스퀘어 분석(hierarchical chi-squal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가 플로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를 정서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적 동기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사회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가 플로우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정보적 동기가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두 이용 동기보다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둘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를 통해 형성된 플로우는 커뮤니티 동일시와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커뮤니티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를 통해 형성된 플로우는 커뮤니티 동일시를 통해 브랜드에 애착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즐거움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 (Continued Usage with Attachment on Mobile Devices Influencing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Enjoyment)

  • 권순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9-14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 정보시스템간(예: 모바일디바이스)의 애착동기(attachment)를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특히 사용자경험(user's experience)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가치(perceived value), 지각된즐거움(perceived enjoyment), 애착동기(attachment)의 요인들이 모바일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continuos usage)과의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경주하여, 사용자의 과거경험(user's past experience)이 모바일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착동기(attachment)는 지각된즐거움(perceived enjoyment)과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에서 지속적인 사용(continuos usage)에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로서의 위치를 검증하였다. 또한, 지각된즐거움(perceived enjoyment)과 지속적인 사용(continuos usage)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지각된가치(perceived value)에서는 조절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생의 친밀대상에 대한 애착과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for Intimate Relation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 김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45-25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친밀한 관계이면서 주요 애착대상인 부, 모, 또래에 대한 애착 수준과 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 모, 또래 애착 질문지와 자기조절학습 질문지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부, 모, 또래 애착과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모든 주요 애착대상과의 애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으로는 동기조절의 외현적 목표지향 변인이 배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대한 부, 모, 또래 애착의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는 또래 애착과 모 애착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적 정서인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높은 동기조절의 시험 불안과 행동조절의 시간과 공부조절 변인은 부 애착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상대방에 대한 비교 우위가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반영하는 애착과는 관련성이 낮으며, 둘째, 아버지와 자녀와의 관계형성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요소의 유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for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on Expectation, Community Attachment and Tourism Satisfaction in Festival Event)

  • 김재곤;송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34-448
    • /
    • 2011
  • 본 연구는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험이벤트에서의 음식체험관광 관광동기가 관광상품에 대한 기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류성, 교육성, 심미성, 탈일탈성, 모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역애착에는 교류성, 교육성, 심미성, 탈일탈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상품에 대한 기대도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애착이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축제이벤트를 통한 전통음식의 관광자원화가 얻을 수 있는 관광적 가치로 음식관광자원을 다양하게 개발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고유한 음식문화를 소개하고, 동시에 미식의 즐거움이나 관광의 즐거움을 더해 줄 수 있으며, 지역의 향토음식을 보존, 계승 및 발전시킬 수 있어 향토애가 높아지고 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표애착동기 유형에 따른 의복관여와 의복행동 (The Brand Attachment Motive Segments: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Behavior)

  • 황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46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segmenting consumers by brand attachment motives and discover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relation to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behavior (ready-to-wear satisfaction, brand loyalty, purchased items, and purchased pla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consumers, who were residents in Seoul, Korea. The data had been collected during May, 2007, and statistical analyses used for the study wer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brand attachment motive is composed of two factors: brand personality/individuality expression and conformity/status improvement. Based on cluster analysis, there were two brand attachment motive groups: individuality expression and status improvement segments. T-test showed that brand attachment motive seg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behavior (ready-to-wear satisfaction, brand loyalty and purchased items). For example, the individuality expression group was more interested in clothing, was more satisfied with ready-to-wear clothing, had higher brand loyalty, and usually purchased casual wear. Meanwhile, the status improvement group had a higher perceived risk in clothing involvement, was less satisfied with ready-to-wear clothing, had a lower degree of brand loyalty, and preferred to purchase formal wear. The results implied that brand attachment motiv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market segmentation, in which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for each targeted consum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