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환자 간호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31초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여성 암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Hope and Quality of life in Woman Cancer Patients)

  • 태영숙;윤수정
    • 종양간호연구
    • /
    • 제6권2호
    • /
    • pp.111-12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a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hope and quality of life in woman with cancer. Methods: The used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Thirty patients diagnosed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Korea. An experimental group (n=15) was given the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15) was done a common nursing intervention.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ne 10 to September 10, 2004.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hope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F =16.967, p = .000).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quality of life stat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 =4.850, p =.036). Conclusion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hope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cancer. Therefore, this program may be used for a nursing practice for cancer patients who are suffering from emotional distress.

  • PDF

항암화학요법환자의 오심.구토 및 자가간호 실태 (Nausea/Vomiting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ancer on Chemotherapy)

  • 김혜진;김희승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0-185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self care practice for nausea/vomiting in patients with cancer during chemotherap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0 patients with cancer over 20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r were hospitalized for chemotherapy Self care in the case of nausea and vomiting was measured by the Dodd's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and the following statistics were used frequency, percentage, unpaired 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ratio of the occurrence of nausea/ vomiting in the participants was 70.0%.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was also higher for patients with cancer not in the gastro-intestinal system (GIS) compared to that for patients with GIS cancer.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orexia, skin injury, and fatigue. Conclusion: The ratio of occurrence of nausea/ vomiting for the participants was 70.0%.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was higher fur women and patients with cancer not in the GIS.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orexia, skin injury, and fatigue. The results indicate that nausea/vomiting is a frequent symptom, particularly in women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terventions to decrease the effects of this symptom.

  • PDF

대장암 환자를 위한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Mobile Navigation Program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based on Uncertainty Theory)

  • 김경진;박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4-28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obile navigation program on uncertainty, resilience, and growth through uncertaint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Metho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bile navigation program, 61 participants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undergoing surgery were selec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program. Uncertainty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growth through uncertainty was measured using the Growth through Uncertainty Scale.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atients in the mobile navigation program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for uncertainty (F=7.22, p=.009) and resilience (F=4.31, p=.042), but not for growth through uncertainty (F=2.76, p=.10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bile navig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uncertainty and increasing resilience among colorectal cancer patients. The mobile navigation program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assisting colorectal cancer patients in regard to the continuity and usability of the program.

입원 암환자의 피로와 삶의 질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Cancer Inpatients)

  • 변혜선;김경덕;정복례;김경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2호
    • /
    • pp.98-108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의 삶의 질, 피로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과 피로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D, Y, A시에 소재한 대학부속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 입원환자 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07년 5월 8일부터 8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명지로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피로는 FACIT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www.facit.org)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인 한국어판 FACIT-Fatigue Scale인 13개 문항과 삶의 질은 FACIT에서 개발한 한국어판 FACT-G (Version 4) 27개 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환자의 피로 정도는 22.48로 중간 정도의 상태를 보였다. 암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평균 55.52로 중간 정도였고, 삶의 질의 하위영역에서는 신체적 영역이 평균 15.96로 가장 높았고, 기능적 영역이 평균 11.3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암환자의 피로는 피로의 정도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며, 피로의 정도에 차이를 보인 질병관련 특성은 치료형태(F=3.216, P< 0.05), 체중변화(F=9.094, P<0.001), 일상생활 수행상태(F=7.297, P<0.001), 운동(F=5.919, P<0.05), 수면(F= 4.546, P<0.05) 등이었다. 암환자의 삶의 질 정도에 차이를 보인 질병관련 특성은 치료목적(F=4.392, p<0.05), 체중변화(F=23.118, P<0.001), 일상생활 수행상태(F= 9.886, P<0.001), 운동(F=7.699, P<0.001), 수면(F=5.893, P<0.001)이었다. 암환자의 삶의 질은 피로(r=-0.752, P<0.001)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로는 삶의 질 하부 영역 중 신체적 영역(r=-0.834, P<0.001), 정서적 영역(r=-0.610, P<0.001), 기능적 영역(r=-0.560, P<0.001)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암환자의 삶의 질에 피로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암환자의 삶의 질과 피로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암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과 하부영역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암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간호사의 질문 및 설명 전략 (Nurses' Question and Explanation Strategi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ancer Patients)

  • 이화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7-25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munication principles for nurses in cancer units according to Grice's theory. Method: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using conversational analysis. Results: The principles consisted of four maxims: Quality, quantity, relevance and manner and 14 strategies. For the quality maxim, 'asking what you believe to be true' and 'saying the facts you know' strategies were identified. In the quantity maxim, the strategies were 'asking single questions', 'asking open questions' and 'asking optimistic questions'. In the relevance maxim, 'asking about the same theme' and 'giving relevant explanations' strategies were identified. In manner maxim, the strategies were 'using clear expressions in asking questions', 'asking in an orderly way', 'verifying answers', 'using clear expressions in explanations', 'explaining in an orderly way' and 'verifying understanding'.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strategies will help and increase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nurses in effectively communication with cancer patients.

암 환자의 피로에 관한 문헌 분석 (An Analytical Review on Fatigue of Cancer Patients)

  • 이윤정;김달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97-90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nd address the state of the knowledge development and the nature of knowledge regarding fatigue.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63 fatigue related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1. The analysis schema was 'Alternative linkages among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for nursing science' (Kim, 1993). Result: The 63 articles had been studied only within 5 types among all 96 types of linkages. Most of the articles (59 among 63 articles) had been studied within scientific realism and deductive logic. Fifty-three articles among 59 articles were the type of explanatory and predictive theory, grasping reality by the etic method on the controlled sett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more development of knowledge regarding fatigue with various logics, especially with discovery logic such as inductive and retroductive or methods in multiple designs on various subjects under various philosophy needed for nursing practice.

혈액 암 환자의 영적건강과 우울의 관계연구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 정상옥;장순복;이원희;김주형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56-67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depression with the hematological malignancies patients in an isolated room. Metho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For the statistical anays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ean scores of the status of spiritual health, depression were 111.62 and 29.78, respectively. The score of spiritual health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faith (F=19.65, p=0.000). Depression sco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F=4.561, p=0.002) and spiritual state (F=4.843, p=0.004). Spiritual health and depression was moderately correlated (r=-.681, p=.000).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oncology nurse should consider spiritual health and depression when caring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 PDF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Sleep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the Outpatient Settings)

  • 최윤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62-570
    • /
    • 2019
  • 본 연구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B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외래로 통원하며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20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면의 질 정도는 가정경제상태(F=4.363, p=.014), 신체적 불편 증상(t=3.398, p=.001), 동반질환(t=2.634, p=.009), 유방암 진단 전 수면장애 경험(t=3.55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은 스트레스(r=-.369, p=.001), 피로(r=-.565, p=.001), 우울(r=-.526, p=.001)과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피로(${\beta}=-.387$, p<.001), 유방암 진단 전 수면장애 경험(${\beta}=-.178$, p<.002), 우울(${\beta}=-.231$, p<.004)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의 질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총 37.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피로를 감소시키고, 유방암 진단 전 수면장애 경험 유무를 미리 파악하여 항암치료 전 조기에 적절한 약물적, 비약물적 수면중재를 제공하고,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통합적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암환자의 요구 조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Patients with Cancer)

  • 김기연;최상순;박소미;송희영;허혜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36-145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요구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면서 실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 기존의 문헌들과 함께 Wingate와 Lackey(1989)의 내용분석 결과를 근거로 정보요구, 이용가능한 자원, 신체적 요구, 정서적 요구, 영적 요고, 그리고 법적/경제적 요구의 6개 영역을 선정하였고, 각 영역에 대한 문항 내용은 암환자 대상의 요고, 조사연구들를 참고로 하여 작성한 후 간호학 교수 3인의 자문을 받아 문항의 내용을 수정, 추가 또는 삭제하면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요구 7문항, 이용가능한 자원 5문항, 정서 요구 4문항, 영적요구 5문항, 법적/경제적 요구 4문항, 신체적 요구 7문항의 총 32문항의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예비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강원도 소재 대학병원의 간호사 중 평균 경력 10년 이상인 암환자를 간호하고 있거나 간호한 경험이 있는 수간호사와 책임 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강원도 충정도 및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16명을 편의표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0.0 WI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Cronbach ${\alpha}$값을 구하였다. 결과 : 1) 내용 타당도 분석 결과, 전문가 합의률이 55.4%로 낮은 '유언장 쓰는 방법을 알고싶다'는 문항이 삭제되어 31문항이 선정되었다. 2)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 요구, 정보 요구, 영적 요구, 정서 요구, 이용가능한 자원, 그리고 법적/경제적 요구의 6요인이 추출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61.840%였다. 제 1요인인 신체적 요구와 제 2요인의 정보요구는 각각 25.354%와 10.903%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암환자 요구의 주요 영역으로 규명되었다. 3)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 ${\alpha}$값은 .90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간호사로 하여금 암환자의 요구를 포괄적으로 사정할 수 있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암환자의 요구에 맞는 총체적이며 포괄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 PDF

발반사마사지가 여성암환자의 활력징후, 코티졸,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the Vital Signs, Blood Cortisol, Lymphocytes and Natural Killer Cell of Female Cancer Patients)

  • Kim, Keum-Soon;Won, Jong-Soon;Jeong, Ihn-Sook;Choi, Wan-Hee;Kang, Ji-Yeon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6권1호
    • /
    • pp.5-15
    • /
    • 2004
  • 목적 : 이 연구는 항암제를 투여받는 여성암환자에서 발반사마사지가 스트레스반응(활력징후, 코티졸)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 11명의 여성암 환자를 임의로 표출한 후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종속변수는 스트레스 반응으로 활력징후(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수, 호흡수)와 혈중 코티졸, 면역반응으로 림프구 아군(CD3, CD4, CD8, CD19)과 자연살세포(NK cells)이며, 독립변수는 발반사마사지이었다. 중재 전후 종속변수의 변화를 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수, 혈중 코티졸치, CD4와 CD19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호흡수, CD3, CD8, 그리고 자연살세포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이러한 연구결과는 발반사마사지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암 환자의 스트레스 호르몬과 면역관련세포에 영향을 보였지만 표본수가 작고 중재가 1회에 그쳤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추후연구를 통해 발반사마사지의 효과를 좀더 잘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