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향(安珦)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95초

CEO essay

  • 안향자
    • 벤처다이제스트
    • /
    • 제9호통권122호
    • /
    • pp.43-43
    • /
    • 2008
  • PDF

원(元) 간섭기(干涉期) 성리학(性理學)의 고려(高麗) 유입(流入)과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역할(1)

  • 김병기
    • 중국학논총
    • /
    • 제53호
    • /
    • pp.37-58
    • /
    • 2017
  • 鑒於性理學傳入韓國的時期, 有學者主張是北宋時期, 也有部分學者對此持否定意見, 指出是南宋時期經由高麗末期的安珦傳入韓國.筆者認爲與其說是某一時期由特定人物將性理學'導入'韓國, 不如說是時代潮流下諸多人士關心與努力的結果, 這一自然而然的'流入'說更爲妥當.本文以此爲前提, 指出止浦金坵正是奠定性理學'流入'礎石的代表性人物, 並對此加以論證. 本文首先考察了止浦金坵初赴大都時中國的儒學即性理學的具體展開情況, 其次對元朝儒臣王鶚這一人物進行了了解, 不管是采取何種方式, 總之王鶚與止浦之間有著交流, 論文對其在學問上直接或間接影響止浦的可能性進行了判斷. 通過以上的考察與辨析.

소수서원(紹修書院) 건립의 문화적 토대 연구 -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선비정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oundations of culture established the Sosu Seowon)

  • 이정화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41-63
    • /
    • 2012
  • 회헌(晦軒) 안향(安珦)은 우리나라 선비들이 성현(聖賢)의 학문을 잘 실천하여 수기(修己)의 공을 이룰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선지자(先知者)였다.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은 선비의 학문을 좋아하여 오래도록 배움과 교육에 힘썼는데, 특히 백운동서원을 건립하여 선비들의 마음을 학문으로 진작(振作)시켰다는 점에서 학자의 소임에 충실하였다. 또한 서원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조정에 상소를 올림으로써 백운동서원의 입지를 최초의 사액(賜額) 서원인 소수서원으로 재정립한 퇴계(退溪) 이황(李滉) 역시 학자의 소임에 충실하였다. 회헌은 생전에 왕명에 의해 초상화를 갖게 되는데, 가문에서 소장해오다가 백운동서원이 건립되면서 이곳에 봉안하게 된다. 후학들이 영정에 찬문(贊文)과 시를 헌정(獻呈)하기 시작하면서 회헌의 학문정신을 근간으로 한 소수서원의 선비문화가 구축된다. 회헌의 시대는 장기간의 무인(武人) 집권과 몽고군의 침입 등으로 인하여 국운이 쇠망하고 있었다. 태평성세를 간절히 염원하였던 회헌은 도탄에 빠진 백성들의 힘겨운 삶에 주목하게 된다. 궁핍한 백성들이 오가는 사찰이 황금과 보석 등으로 치장한 것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형상화한 것이 회헌시에 나타난 사실주의적 기법이다. 회헌은 백성들의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이것이 곧 주자학을 국내에 수입한 까닭이다. 나라와 백성의 안녕을 염려한 회헌의 충심(忠心)이야말로 실천하는 선비상(像)의 발로였다. 회헌은 우리나라 지성사에 획기적인 역할을 한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그가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의 임무를 띠고 합포에서 공무를 수행할 때 조정에서 지공거(知貢擧)를 맡으라는 명이 내려진다. 회헌의 염원은 태평성세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빼어난 자질과 학문을 갖춘 선비들을 기르는 것도 태평성세를 실현하기 위함이었다. 이로써 보면 회헌에게 있어 '교학(敎學)이란 인재를 기르는 힘의 원천이며 백성들을 구제하여 나라를 살릴 수 있는 원동력이다.

정신보론(鄭臣保論) - 남송 성리학의 고려 전래와 관련하여 - (Theory of Jeong, Sin-bo(鄭臣保論) -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from Southern Song Dynasty)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7-42
    • /
    • 2013
  • 본고는 한국 성리학의 전래와 기원에 관한 것이다. 고려 고종 24년(1237)에 남송(南宋) 출신의 학자 정신보(鄭臣保)가 오늘의 서산 간월도(看月島)에 정착하여 고려 학인들에게 이정(二程)의 성리학을 전파하였다는 자료를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으로 고려에 전해졌다고 알려진 1290년보다 53년 앞선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학계에서 공인을 받으면 성리학사는 고쳐 써야 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려 유학사의 변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어 정신보의 생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정신보가 남송의 명문 포강정씨(浦江鄭氏) 가문의 후예라는 점과 포강정씨의 후손답게 춘추사상(春秋思想)과 의리정신에 투철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이밖에 정신보 학통의 전승 과정과 후세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