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

Search Result 37,407, Processing Time 0.073 seconds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Habitat Sui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able Channel Design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서식처 특성 분석)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8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 16 km 구간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의 변동과 그에 따른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영향을 분석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구간별 안정경사관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현재 하도의 구간별 경사와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을 판단하였다. 원주천 대상구간은 총 20개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한 하상경사로 나타났으며, 하류부 2개 지점과 상류부 1개 지점에서 불안정 경사로 나타났다. 불안정 구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하상변동의 유도로 안정경사를 설계하는 방법과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경사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개의 구간에서 추가적인 안정하도의 설계로 총 19개 구간이 안정하도로 설계되었으며,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0개 구간 전부에서 안정경사로 설계되었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천의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와 물리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대상으로 평수량에 대한 서식적합도 (HS, habitat suitability)와 가중가용면적 (WUA, weighted usable area)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상태와 5년의 하상변동 모의 후의 평가 분석결과를 하천시설물 도입과 하도의 준설에 따른 5년경과 후의 예측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현재상태보다 소폭 개선되었으며,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 보다는 감소하나, 현재의 5년경과 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도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미약하게 감소하였다.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의 5년경과 후 보다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및 물리서식처 분석을 통한 하천의 안정성과 건강성 증대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Update of Stability Evaluation Program for Levee Revetment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의 개선)

  • Kim, Ki-Tae;Jeon, Jae-Ryung;Yoon, Moon-Sang;Kim, Sang-Mun;Choi, H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6-416
    • /
    • 2011
  • 최근 하천의 생태성이 강조된 식생, 사석, 목재 등의 자연 재료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호안이 고안되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호안들은 홍수시 유실에 따른 안정성의 확보와 생태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어진 돌망태호안, 식생호안 및 식생블록호안의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에 개발한 사석안정성 산정식을 이용하여 사석호안공에 대한 안정성평가를 추가하였다. 각각 호안에서의 밑다짐공의 최대세굴심과 폭의 산정으로 밑다짐공의 안정성평가를 추가하여 호안 안정성평가에 대해 폭 넓은 평가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에 사석호안공과 밑다짐공의 안정성을 추가하여 김상문, 최흥식(2008)에 의해 Data-Base를 기반으로 개발된 Menu-Driven방식의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을 통하여 호안의 축조는 물론 생태성이 강조된 호안설계에 의한 자연형 하천복원 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신규항암제 DA-125의 액상 안정화

  • 박양환;박광신;권종원;차봉진;정비환;정기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09-309
    • /
    • 1994
  • DA-125에 당류로서 Inositol, Dextrose, Iactose, Mannitol 및 Sorbitol을 첨가하여 DA-125 단독으로 용해한 시료와 비교 평가하였을 때 DA-125의 안정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아미노산 중 L-lysine첨가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컷으로 나타났다. 염류를 사용하였을 때는 NaCl, MgSO$_4$첨가시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NaCl의 첨가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DA-125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안정화제로 Sodium Bisulfite 첨가시 안정성이 증가되었다. 안정성 시험 중 pH및 용액상태는 변화하지 않았다.

  • PDF

인간 동력 항공기의 2차원 익형을 이용한 정적 안정성 및 동적 안정성 해석

  • Go, Dong-Jae;An, Yeong-M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593-597
    • /
    • 2016
  •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정적(static)안정성과 동적(dynamic)안정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EDISON_CFD의 KFLOW_EDISON_2D3DOF, 2D_Com_P해석자를 이용해 2차원익형의 정적(static)계수와 동적(dynamic)계수를 구해 항공기 전체형상의 정적 안정성 및 동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중 2015년도 인간 동력 항공기대회 건국대학교 참가 기체를 예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익 익형 SG6043과 미익 익형 NACA0012을 EDISON_CFD를 이용하여 각 익형의 모멘트계수를 구하고 그 결과값을 이용하여 기체의 무게중심에 대한 각 익형의 감쇠계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주익과 미익의 면적비율과 코드길이의 비율을 고려해 전체 항공기형상의 안정성과 비행 형태를 분석하였다.

  • PDF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table Cannel Analysis and Design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방법의 개선과 적용)

  • Jang, Eun-kyung;Ji, Un;Ahn,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14
    • /
    • 2017
  • 안정하도란 하도형성유량이 발생하는 조건에 대해 단면내에서 발생하는 유사량과 유입되는 유사량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단면을 의미하며,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란 현재 단면을 안정하도 단면과 비교하여 평가하거나 안정하도를 만족하는 하상경사와 하폭, 수심을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는 하천을 정비하거나 복원하는 과정에서 장기적인 하상 평형상태를 고려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으며, 하상 침식 혹은 퇴적에 대해 지점별 평가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다. 안정하도 단면은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대상구간의 발생 유사량의 평형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사량 자료의 정확성과 대상구간 발생 유사량 산정의 정확도가 전체 평가 결과의 신뢰도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활용되어 온 안정하도 단면 계산 방법의 경우 대상구간 발생 유사량 결정을 위한 유사이송공식의 선택이 특정 공식으로 한정되어있어 국내 하상과 적합한 유사이송공식의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유사이송공식의 적용이 가능한 안정하도 평가 모델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실무자가 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 친화적인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Stable Channel Analysis and Design, SCAD)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정하도 단면 계산 방법인 Copeland 방법을 분석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단면 유사량 분석 계산과정에서 자갈하상 공식을 포함한 총 다섯 가지의 유사이송공식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개발된 SCAD 프로그램은 정확도 및 적용성 향상을 위해 청미천과 내성천 모래하상 구간 그리고 원주천 자갈하상 구간에 대해 시험계산을 수행하였고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웹 포팅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서 프로그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사이송공식 선택에 따른 안정하도 산정 결과 값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범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for the Improvement in Power Systems Stability with Real-time transient stabilizing algorithm (실시간 과도안정도 알고리즘을 적용한 전력계통 안정도 향상방안)

  • Jang, Sung-Ik;Cho, Si-Hyung;Min, By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91-92
    • /
    • 2006
  • 전력계통의 안정도는 계통에 외란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이겨내고 새로운 안정운전 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전력계통의 중요한 특성을 의미한다. 향후 전력부하 성장은 필연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수송하는 전력계통 송전망을 복잡화시키며, 이는 송전망에 중대고장이 초래될 개연성이 과거보다 높아짐을 의미하고 그에 따른 과도안정도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중대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정도 관련 보호계전기들이 안정도 측면보다는 설비보호 측면에서의 검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적안정도 기법을 실 계통에 응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 다기계통 적용 알고리즘 보호계전기를 이용하여 안정도 측면도 함께 고려하였다.

  • PDF

무주지역 안정 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분포

  • 한원식;이병선;정성욱;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2-245
    • /
    • 2003
  • 본 연구는 무주군 적상산 부근에 위치하는 소유역에서 지표수와 인접한 천층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조사는 2001년 8월과 10월, 2002년 4월 세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각 계절에 따라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은 이 지역 지표수와 지하수사이에는 배수와 충진이 지속적으로 생기고 있음을 암시한다. 조사지역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북쪽에 위치하는 한강의 안정동위원소 조성보다는 무거우며, 남쪽에 위치하는 섬진강의 안정동위원소 조성보다는 가벼운 위도효과를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료를 채취한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의 고도차가 400m인 작은 소유 역에서도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동위원소의 고도효과는 잘 나타나고 있다. 선행된 연구에서 우리나라 강우가 우량효과를 반영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강우의 영향을 직접 받는 8월 지표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10월과 4월보다 더 가벼운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LED Driver Compatible with Both Electronic and Magnetic Ballasts (전자식 및 자기식 안정기 동시 호환 가능한 LED 구동회로)

  • Gu, Hyun-Su;Choi, Yoon;Kang, Jeong-il;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391-3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자식 및 자기식 안정기 동시 호환 가능한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제안 LED 구동회로는 여러 종류의 안정기가 접속 되었을 때, 어떤 안정기가 접속되었는지 자동으로 감지하여 안정기의 동작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동작 듀티비로 제안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기존의 형광등 구동을 위한 안정기를 입력 시스템으로 사용함으로써 안정기의 철거 및 교체 없이 모든 안정기에 호환이 가능하다. 제안 LED 구동회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15W급 시작품을 제작하고, 전자식 및 자기식 안정기와의 호환성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Stable Channel Design Analysis of Cheongmi Stream Using the Copeland Analytical Method (Copeland의 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청미천의 안정하도 설계 분석)

  • Ji, Un;Pierre Y, Julien;Yeo, Hong-Koo;Kang, Joon-Gu;Kim, Kw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28-733
    • /
    • 2009
  • 지금까지의 하천 설계는 하천의 유량, 유사량, 하상토 입도분포, 강턱의 입자 또는 하도 표면의 특성, 하곡의 경사 등을 고려하여 안정한 횡단면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하지만, 하천 복원에 있어서 이동 하상의 안정 하도 및 하천을 설계하는 작업은 수리학적, 하천 형태학적, 그리고 유사 수리학적 측면에서 매우 복잡한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생태서식처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측면까지도 고려하도록 요구되어 지고 있다. 자연하천 복원 설계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복원하고자 하는 현재의 하천 및 하도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평형 하천의 개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안정하도 및 평형하천 형태를 계산하는 방법들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어 왔고 여러 해석적 방법들 중 Copeland의 방법은 실제로 충적하천에서의 안정 하도 평가 및 설계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미공병단에 의해 개발된 SAM(Stable Channel Analysis Model) 모형에서 채택하고 있는 해석적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opeland의 해석적 안정하도 분석 방법을 기본 모듈로 채택하고 있는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SAM(Stable Channel Analysis Model)의 기본적인 특성과 활용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남한강 제1지류인 청미천의 구하도 복원 예정 구간에 적용시켜 현재하도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안정하도 경사는 현재 하도 경사보다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SAM에서 예측하고 있는 청미천의 안정 하폭은 현재 하도의 하폭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청미천의 복원 구간에서 사주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를 뒷받침 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안정수심은 현재 하도의 수심보다 깊은 것으로 계산되었다. SAM을 이용한 계산 결과들은 현재하도의 안정성 평가뿐만 아니라 복원 구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a 2 arch tunnel considering excavation sequence (굴착단계를 고려한 2 아치 터널의 안정성 해석)

  • You, Kwang-Ho;Park, Yeon-Ju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4 no.2
    • /
    • pp.167-174
    • /
    • 2002
  • In this study, a numerical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large tunnel considering excavation sequence. In most cases, stability of a tunnel is analyzed based on the stability of the final excavation stage only. In this study, stability analysis of a tunnel was performed at each excavation stage. In summary,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no problem in stability of the tunnel. However, thorough and careful measurements are recommended. Also, it is found that the stability of the tunnel at the 5th excavation stage when the right half of the main tunnel is excavated is rather lower than that of the tunnel at the final excavation s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