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성 종양

Search Result 1,22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xcision of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of Distal Esophagus and Stomach using Thoracoabdominal Incision (흉복부 절개를 이용한 식도와 위에 발생한 거대 악성 위장관 간질 종양의 절제)

  • Hwang Jin Wook;Son Ho Sung;Jo Jong Ho;Park Sung Min;Lee Song Am;Sun Kyung;Kim Kwang Tai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8 no.7 s.252
    • /
    • pp.514-517
    • /
    • 2005
  •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is documented on every part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develops in the stomach and the small intestine most commonly, and also in the esophagus. A 44 yea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due to dysphagia and weight loss. Chest CT showed about $15\times11\times11cm$ sized, well-defined, and lobulated soft tissue mass with central necrosis was noted in the posterior wall of lower esophagus throughout the lesser curvature of upper stomach. We performed the distal esophagectomy and total gastrectomy using thoracoabdominal incision. The tumor was positive at CD117 (c-kit) and CD 34, and was diagnosed as malignant GIST of the distal esophagus and upper stomach. The patient is on routine follow up at the out patient department for nineteen months up to now.

Surgical Treatment of the Primary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원발성 종격동종양 및 낭종의 외과적 치료)

  • 김병구;오태윤;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6
    • /
    • pp.632-638
    • /
    • 1996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rimary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was performed on 42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our institution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95. The patients consisted of 27 males and 15 females. The mean age was 40 years with a range of 10 month to 76 years. The patients were composed of thymlc tumor 12 cases (28.6 %), germ cell tumor 8 cases (19.0 %), primary cyst 7 cases (16.7 %), neurogenic tumor 6 cases (14.3 %) and other miscellanious tumor 9 cases. Overall, 3) (78.6 %) of the tumors were histologically benign, and 9 (21.4 %) were malig- nant. The noted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hest pain, dyspnea and coughing. All of the patients with malignancy and 55 oyo of the patients with benign tumor were symptomatic on presentation. All of the patients were operated for tis ue diagnosis and curative resection. All the benign tumors ex- cept two cases of sarcoidosis were performed adequate curative resection. A few patients with malignant unresectable tumors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There were 7 (18 %)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out mortality. In conclusion, Mediastinal tumors have long fascinated the thoracic surgeon because of their variety and unpredictability of diagnosis prior to exploration. We consider that active surgery and various combined modality can be accomplished with satisfactory result.

  • PDF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양성 거대 세포종의 악성 변화)

  • Kong, Chang-Bae;Hong, Yun-Suk;Lee, Kwang-Youl;Cho, Sang-Hyun;Song, Won-Seok;Cho, Wan-Hyeong;Koh, Jae-Soo;Jeon, Dae-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8 no.1
    • /
    • pp.14-19
    • /
    • 2012
  • Purpose: We analyzed the oncologic outcome of the malignant transformed benign giant cell tumor of bon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February 2012, 5 cases were referred with suspicious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No patients underwent radiation therapy. Results: After referral, all patients received the wide excision of the tumor and its' pathologic diagnosis were osteosarcoma. As classified by the location of tumor lesion, 3 cases were located in the distal femur, 1 case was in the distal radius and 1 case was in the proximal femur. The average latent period between diagnosis of benign giant cell tumor and diagnosis of secondary malignant giant cell tumor was 49.2 months. (range, 24-126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1.6 months. There were subsequent local recurrence in 2 cases and 3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is. All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were dead. Conclusion: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of bone can be occurred within 5 years. Therefore, when benign giant cell tumor suspicious malignant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do more aggressive treatment.

Imaging and Clinical Findings of Primary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Urinary Bladder: A Case Report (방광의 일차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영상 및 임상 소견: 증례 보고)

  • Yoon Jung Lee;Eun Ji Lee;Jae Heon Kim;So Young Jin;Seong Sook Hong;Jiyoung Hwang;Yun-Woo 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5 no.3
    • /
    • pp.654-660
    • /
    • 2024
  • Primary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FH) is a malignant tumor of mesenchymal origin that rarely occurs in the urinary tract, particularly in the urinary bladder. Unlike urothelial carcinoma, which accounts for most bladder cancers, it occurs in the submucosal portion of the bladder wall and consists of the lamina propria, muscularis propria, and adventitia. It is presumed to originate from poorly differentiated pluripotent mesenchymal cells in which fibroblasts and histiocytes are partially differentiated. Radiologically, it is known as the "non-papillary tumor" and is commonly diagnosed as a large mass without necrosis, which shows invasion beyond the muscularis propia. Although the prognosis of this rare malignancy depends on pathological parameters, it generally has a poor prognosis with high local tumor recurrence. Here, we present a case of primary MFH in the urinary bladder with clinical symptoms of lower abdominal pain without gross hematuria that recurred rapidly and showed an aggressive disease course.

Epithelial origin의 악성종양

  • Go, Gwa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7 no.8 s.243
    • /
    • pp.697-702
    • /
    • 1989
  • 악성종양은 상피성의 암종(carcinoma)과 결체직성의 육종(sarcoma)으로 분류된다. 최근 암환자의 발생은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사망원인 중 뇌졸증 다음으로 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이러한 암은 침윤성(infiltrative)인 성장으로 인하여 인접 정상조직을 급격히 파괴시키며, 해당 임파절을 따라 신체 다른 부위로 전이(metastasis)된다. 임파절에 전이되기 전에 조기발견된 암은 70%의 5년 생존률을 보이는 반면, 임파절에 전이된 후에 발견된 암은 30%의 5년 생존률을 보인다. 따라서 암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이의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많은 환자가 이미 병소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내원하기 때문에 이의 근치가 어려우며, 예후 또한 좋지 않다. 이러한 암을 조기발견하기 위해서는 환자 자신의 관심뿐만 아니라 치과의사의 세심한 검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OTOTOXICITY ASSOCIATED WITH CISPLATIN (Cisplastin 투여에 따른 청력변화)

  • 이종철;고의경;왕수건;전경명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5.1-5
    • /
    • 1987
  • Cisplatin (cis-dichlorodiamine platinum II)은 두경부 및 고환의 악성종양에 아주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은 이독성 및 신독성이 이미 임상연구로 발표되어 있으며 신독성은 cisplatin 투여시 이뇨제 및 수액의 투여로 그 정도 및 빈도는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독성은 감소시키지 못한다. Cisplatin에 의한 이독성은 보통 자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내이 와우각의 회전중 저부에서 일어나며 또한 외유모세포의 최외측열에서 일어난다고 동물실험에서 밝혀진 바 있다. 본 교실에서는 cisplatin의 이독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1회에 cisplatin 60~80 mg/$m^2$을 투여한 두경부 악성종양환자를 대상으로 투여전후의 청력을 비교 관찰하였다. 1) 청력은 대부분 10㏈ 이내의 손실례가 많았다. 2) 최대청력손실이 있는 주파수는 8KHz, 4KHz의 순으로 주로 고음역에서 발생하였다. 3) 신독성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한국인의 사망원인 구조, 1983~1993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67-193
    • /
    • 1995
  • 사망원인통계연보는 사망발생 당년에 신고된 사망 자료만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수록된 사망(당년신고, 또는 비지연신고)은 물론 수록되지 아니한 사망(지연신고)의 사인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차적으로, 사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연신고의 다양한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신고된 모든 사망신고를 기초로, 지연신고와 당년신고라는 신고행태에 따라 사인별 사망구성비, 사망률, 사망률성비를 구하였다. 지연신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지연신고율은 다른 집단보다 여성, 젊은층, 의사진단사망자, 병원사망자에게서 더 높다. 당년신고 사망자의 성별 사인구조와 비교해 볼 때, 지연신고 사망자의 주요 사인구조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데, 남성에게는 감염성질환, 순환기계질환, 호흡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여성에게는 감염성질환, 호흡기계질환 및 소화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진다. 1983~1993년 동안 신고된 모든 사망에 대한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손상 및 중독이 남녀 모두에게 주요 3대 사인이다. 둘째, 만성 간질환, 각종 사고, 폐암, 자살은 남성에게 치명적인 사인으로서 남녀의 성별 사망력 차이를 넓혀주는 원인이다. 세째, 손상 및 중독, 특히 교통사고는 45세 이하의 젊은 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되는데 반해,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소화기계질환은 고령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된다.

  • PDF

A Clinical Study on Nodular Thyroid Disease (결절성 갑상선 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 Lee Gyu-Joon;Park Soon-Tae;Ha Woo-Song;Kwon Soo-In;Choi Sang-Kyeon;Hong Soon-Chan;Lee Young-Joon;Lee Young-Ja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4 no.2
    • /
    • pp.244-252
    • /
    • 1998
  • The thyroid nodules are the most common endocrine disease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We perfomed a clinical study of 298 cases with thyroid nodules, who were admitted to and operated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from January 1987 to April 1997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atients were composed of 214 cases(71.8%) of benign nodule and 84 cases(28.2%) of malignant nodule. Benign and malignant nodules were prevalent in fifth decade. 2) The sex distribution showed a preponderance of females with ratio of 5.88:1 in benign nodule and 11:1 in malignant nodule. 3) The nodules were located in the right lobe(134 cases, 44.9%), the left lobe(121 cases, 40.6%), both lobes(34 cases, 11.4%), and isthmus(8 cases, 2.7%). The possibility of malignancy was higher in the solid rather than cystic lesions. 4) Radioactive iodine scintiscans were perfomed in 273 cases and revealed cold nodules in 237 cases(86.8%), 58 of these cases(24.4%) were malignant. 5)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benign nodules included follicular adenomas 136 cases(63.5%), adenomatous goiters 67 cases(31.3%), Hurthle cell adenomas 4 cases(1.9%), cysts 3 cases(1.4%) and thyroiditis 4 cases(1.4%). In malignant nodules, papillary carcinomas 72 cases(85.7%), follicular carcinoma 8 cases(9.5%), undifferentiated carcinoma 2 cases(2.4%), medullary carcinoma 1 case(1.2%) and malignant lymphoma 1 case(1.2%). 6) The most commonly performed operative procedure was a lobectomy with isthmusectomy(85.5%) for bengn nodules and a total thyroidectomy(51.2%) for malignant nodules. 7) The rate of complications was higher in the cases with malignant nodules(20.2%) than in the benign cases(0.5%). The recurrence rate was 8.3%(7 cases).

  • PDF

Application of a Split-thickness Skin Graft after the Removal of Hug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on the Right Lower Posterior Neck and Right Shoulder: Case Report (목과 오른쪽 어깨 부위에 발생한 거대 편평세포암에 대해 피부이식술로 치험한 증례보고)

  • Kim, Jong Chan;Hong, In Py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2 no.1
    • /
    • pp.45-48
    • /
    • 2016
  • 거대한 피부편평세포암은 드문 피부 종양이다. 편평세포암은 모든 피부 악성 종양 중 20%을 차지한다. 피부편평세포암은 주로 햇빛의 노출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피하층을 침범을 하는 경향이 있다. 편평세포암이 흔한 종양인 것과는 다르게, 5cm 이상의 거대 편평세포암은 보고된 바가 드물다. 이에 저자는 경부에 발생한 $14.5cm{\times}11.5cm{\times}9.5cm$ 크기의 거대한 피부편평세포암을 피부이식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이에 대해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