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말감 충전물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아말감 충전물의 크기와 표면 처리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s and sizes of amalgam restorations)

  • 김현희;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1-391
    • /
    • 2001
  • 상, 하악 구치의 협면은 아말감으로 수복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접착 술식과 재료의 발달로 아말감에 교정용 브라켓의 직접 접착 술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말감은 치아 협면의 일부분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주변의 법랑질에서도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통상의 교정용 레진을 사용하여 직접 접착 술식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말감 충전물이 있는 치면에 대한 교정용 레진의 직접 접착 술식의 접착강도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이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상, 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지름 1.5mm, 2.0mm, 2.5mm, 3.0mm의 아말감 충전물을 형성한 후 sandblasting 시행군과 비시행군으로 나누었다. no-mix type의 교정용 레진인 Ortho-one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 형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아말감 크기에 따른 비교 시 아말감 크기 1.5mm군의 전단 강도가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2.0mm, 2.5mm, 3.0mm군간에는 전단 강도의 차이가 없었다. (p<0.05) 2. Sandblasting 시행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p<0.05) 3. 각 군간의 비교시 아말감 충전물의 면적이 브라켓 기저부 면적의 약 $61\%$를 차지하는 G군, H군의 전단결합강도는 대조군의 $50-60\%$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p<0.05) 4. 브라켓 접착 파절 형태의 관찰 시 sandblasting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sandblasting시행군의 mARI score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05) 이상의 실험결과는 아말감 충전물의 크기가 브라켓 기저부 면적의 약 $50\%$이하일 때 sandblasting시행여부에 관계없이 통상적인 교정용 레진을 사용하여 직접 접착 술식을 시행하여도 임상적으로 적절한 전단강도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일부 대도시지역 혼합치열기 아동의 아말감 충전물과 뇨중 수은농도: 1년 추적조사 (Correlation between amalgam restorations and urinary mercury level in children for 1 year)

  • 백혜진;정성화;최연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25-430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malgam restorations and urinary mercury levels in children for 1 year. Amalgam restor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over 200 years. But released mercury from amalgam can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n the body. Methods : The subjects were 463 elementary school children. Oral examination, urine sampling,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t baseline and after 1 year. Results : Amalgam restoration increased the urinary mercury level to $0.55{\pm}0.13{\mu}g/g$ creatinine. In the regression analysis, variation of urinary mercury excre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malgam surfaces and fish consumption. Conclusions : Small amount of mercury release from amalgam restor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ing urinary mercury level.

어린이의 구강 내 아말감 노출이 요중 수은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Amalgam Exposure an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in Children)

  • 전은숙;진혜정;김은경;임상욱;송근배;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4
    • /
    • 2014
  • 구강 내 아말감 충전물에 의해 인체에 유리되는 수은이 요중 수은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대도시 일부지역의 2개 초등학교 1~4학년 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격으로 총 4번의 구강검진과 소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를 수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각 조사 시점별 아말감 충전 여부에 따라 요중 수은농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연구시기에서 아말감 충전한 대상자에서 아말감 비충전군에 비해 요중 수은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차 추적조사와 3차 추적조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혼합모형 분석한 결과 아말감 한 치면이 증가할수록 현재 요중 수은농도에서 $0.028{\mu}g/g$ creatinine 증가하였다(p<0.001).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0.065{\mu}g/g$ creatinine (p<0.001), 생선섭취 빈도에서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군에서 $0.099{\mu}g/g$ creatinine 증가하였다(p=0.001). 누적 요중 수은농도에서 아말감 한 치면이 증가 할수록 누적 요중 수은농도에서 $0.017{\mu}g/g$ creatinine 증가 하였다(p<0.001).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0.071{\mu}g/g$ creatinine (p<0.001), 생선섭취 빈도에서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군에서 $0.110{\mu}g/g$ creatinine 증가하였다(p<0.001). 구강 내 아말감 충전물은 미량이라도 수은을 유리시켜 체내 요중 수은농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강 내 수은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준이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말감 충전물 제거와 뇨중 수은농도의 관련성 평가: 예비연구 (Association between amalgam removal and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a pilot study)

  • 백혜진;사공준;안서영;이희경;송근배;최연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31-438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assessment of the variation of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s after removal of amalgam fillings in children. Methods : 10 elemental school children with amalgam filling tooth surfaces were took part in this study. One dentist recorded the number of amalgam filling surfac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Each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after 24 hours amalgam removal.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Results : The mean concentration urinary mercury immediately after amalgam removal was higher ($5.70{\pm}1.20{\mu}g/g$ creatinine) than before amalgam removal ($5.28{\pm}1.53{\mu}g/g$ creatinine). The mean concentration urinary mercury level whose have 1-10 amalgam removal surfaces was increased after amalgam removal compared with before. Conclusions : Mercury concentration in urine was influenced by amalgam removal.

Sealed amalgam restoration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OF SEALED AMALGAM RESTORATION)

  • 이상헌;이재천;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4-61
    • /
    • 2000
  • 아말감은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 치과재료이지만 치질과의 접착성이 없어 와동의 형태에 의해 유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아말감 수복물은 산화물에 의한 변연봉쇄가 일어나기 전까지 초기에 큰 미세누출을 보이며 수복초기에 이를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으면 타액이나 미생물이 와동내에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복 후의 과민반응, 충전물의 용해 및 파괴, 변연 변색과 2차 우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되며 치수 병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최근 기존 아말감 수복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질삭제를 줄이고 변연을 봉쇄하며 소와열구에 예방적 처치를 함께 할 수 있는 수복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이른바 sealed amalgam이라 한다. 이 술식은 예방적 확대 없이 병소만을 제거한 뒤 수복물 변연과 인접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함으로서 소와열구의 예방적 충전은 물론 수복물 변연과 치질사이의 틈을 봉쇄하여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아말감 수복후 수복물의 마무리 처리와 전색재 적용시점을 달리 하여 sealed amalgam 수복과 기존의 아말감 수복과의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30개의 상, 하악 소구치를 준비하여 V급 와동을 소구치의 협, 설측에 형성하고 통상적 아말감 수복을 시행한 후 다음의 각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제 1 군 : 24시간 후 연마 (대조군) 제 2 군 : 연마하지 않음, 즉시 전색재 적용 제 3 군 : 연마하지 않음, 열순환(thermocycling) 500회 후 전색재 적용 위의 처리 후 각 군을 $5^{\circ}C$$55^{\circ}C$의 온도변화를 30초씩 번갈아 주며 총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한 후 1%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서 100% 습도가 유지된 $37^{\circ}C$ 항온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치아를 레진에 매몰한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여 stereomicroscope를 사용해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미세누출은 연마하지 않고 바로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한 2군이 가장 낮았고, 연마만 시행한 1군이 가장 높았다. 2. 실험군간의 미세누출 비교에서 연마만 시행한 1군은 2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군은 1군보다 평균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군은 3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아말감충전물(充塡物)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ICROSTRUCTURE TRANSFORMATION IN SPHERICAL-DISPERSED TYPE AMALGAM)

  • 장상건;민병순;박상진;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9권1호
    • /
    • pp.81-87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identify the phases of amalgam and to know the transformation of microstructure in the set amalgam by lapse of time. In this study, shofu spherical-D alloy was used. After trituration of amalgam alloy and mercury (Wig-L-Bug), it was filled in the stone dies. This specimens being polished and etched by usual method was observed under optical microscope using metallurgical microscope. And then X-ray diffractometer was used to analyze the phases contents and transformation of microstructure at $2{\frac{1}{2}}$ hours, 15 hours, 28 hours and 2 years after being amalgam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hofu spherical-D alloy powder was composed of ${\gamma}$ phase, ${\epsilon}$phase and Ag-Cu eutectic phases. 2. ${\gamma}_2$ phases were appeared at $2{\theta}$ values ($32.0^{\circ}$ and $43.8^{\circ}$) in the amalgam which was analyzed at $2{\frac{1}{2}}$ hours and 15 hours after trituration with mercury. 3. In the amalgam at 28 hours, ${\gamma}_2$ phase was found at $2{\theta}$ value ($43.8^{\circ}$) at 35 hour, $r_2$ phase was appeared at $2{\theta}$ value $32.0^{\circ}$. 4. No ${\gamma}_2$ phases were observed in the 2 years old amalgam. But ${\eta}$ ($Cu_6Sn_5$) phases were found at $2{\eta}$ values $29.4^{\circ}$ and $42.4^{\circ}$.

  • PDF

아말감 충전물간(充塡物間)의 결합강도(結合強度)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JOINED AMALGAM RESTORATION)

  • 정인영;민병순;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0권1호
    • /
    • pp.153-160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tensile and bonding strength of the joined amalgam restoration. Amalgam alloys of fine-cut (F-type), spherical (S-type), and dispersed type (D-type) were selected in this study, and all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ondensation methods as follows. Group I : the control group which condense the same kinds of mixed amalgam into the whole part of the mold respectively. Group II : the group which condense a mix of amalgam into one half of the mold, and then condense a new mix of amalgam into the rest half of the mold 15 minutes later. Group III : the group which condense a mixed amalgam into one half of the mold, and then condense a new mix of amalgam into the rest half of the mold 7 days later.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incubator at $37{\pm}1^{\circ}C$ for seven days with immersing in saline solution before testing. The tensile and bonding strength of them were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roup I, the order of tensile strength was F-type, S-type, and D-type. 2. In case of bonding of S-type + S-type, the difference of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Group II and III was not significant. (P> 0.05) 3. The bonding strength of F-type + S-type of Group II was marked the highest in value, and the lowest bonding strength was showed in bonded D-type + D-type of Group III. 4. In case of bonding with the different kinds of amalgam alloy in Group II, the specimen bonded to F-type was marked the highest bonding strength, and the specimen bonded with F-type was marked the lowest one. In Group II,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bonded with the same kinds of amalgam alloy was presented as the same order as that of Group I. 5. In Group III, the specimen connected with D-type marked the lowest bonding strength of all specimens. In Group III,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connected with the same kinds of amalgam alloy was the order of S-type + S-type, F-type + F-type, and D-type + D-ty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