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말감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8초

치과용 아말감합금 및 아말감의 마세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STRUCTURES OF THE AMALGAM ALLOYS AND AMALGAMS)

  • 연상흠;이정식;이명종;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87-10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s and phases of amalgam alloys and amalgams by using EMPA and X-ray diffractometer. Each specimen was made from Caulk Fine Cut Clow copper lathe cut amalgam), Caulk Spherical (low copper spherical amalgam), Tytin (high copper unicorn position amalgam), Dispersally (high copper admixed amalgam) and Valiant (Palladium enriched amalgam). For preparing amalgam alloys, Tytin and Valiant were used as powder forms and the others were used as tablet forms after being polished with polishing machine. For preparing amalgams, each amalgam alloy and Hg were measured, and triturated by mechanical amalgamater according to user's instructions. After triturating, the triturated mass was inserted to cylindrical metal mold and simultaneously adapted by cylindrical condenser with same diameter and condens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80kg pressure & 1mm/min speed. Each specimen was removed from the metal mol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 week. The specimen was polished with the same polishing machine for amalgam alloy. For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 and analysis of composition of amalgam alloys and amalgams, EMPA was used to get secondary electron images, backscattered images and characteristic X-ray images of Ag, Sn, Cu, Zn, Hg. To analyze compositions of amalgam alloys and amalgams, X-ray diffractometer was used. Amalgam alloys were scanned at the range of 2${\theta}$ of 30-$85^{\circ}$ and the speed of $4^{\circ}$/min with Cuka line and amalgams were scanned at the range of 2${\theta}$ of 28-$44^{\circ}$ and the speed of $4^{\circ}$/min with Cuka line. By comparing obtained d(distance between surfaces) and d of expected phases and atoms in amalgam alloys and amalgams in ASTM card, phases and atom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ulk Fine Cut amalgam alloy typical ${\gamma}$ phase was shown, and in amalgam, ${\gamma}$, ${\gamma}_1$ and ${\gamma}_2$ phases were observed. 2. In Caulk Spherical amalgam alloy ${\gamma}$, Ag, Cu and $\varepsilon$ phases were shown, and in amalgam ${\gamma}$, ${\gamma}_1$, ${\gamma}_2$ and $\eta$ phases were observed. 3. In Tytin amalgam alloy ${\gamma}$, Cu and $\varepsilon$ phases were shown, and in amalgam ${\gamma}$, ${\gamma}_1$, $\eta$ and $\varepsilon$ phases were observed. 4. In Dispersalloy ${\gamma}$, Ag, Cu and $\varepsilon$ phases were shown, and in amalgam ${\gamma}$, ${\gamma}_1$, $\eta$ and $\varepsilon$ phases were observed. 5. In Valiant alloy ${\gamma}$, Cu and e phases were shown, and in amalgam ${\gamma}$, ${\gamma}_1$, $\eta$ and $\varepsilon$ phases were observed.

  • PDF

한반도 출토 청동거울의 표면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Surface Treatments of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Korean Peninsula)

  • 전익환;이재성;백지혜;박장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2권
    • /
    • pp.87-98
    • /
    • 2008
  • 본 연구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총 24점의 청동거울을 대상으로 합금의 화학조성과 경면처리법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석기로 분석한 내용이다. 고려 고분군에서 출토된 2점의 유물을 제외하면 이들에 관련된 출토지나 제작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청동거울의 경면처리법으로는 주석함량이 높을 경우 합금자체가 은백색을 띠는 점을 이용하여 연마만으로 마무리하는 방법과, 주석과 수은을 이용하는 주석칠도금법이나 주석아말감도금법, 그리고 수은도금으로 피막처리를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일부 거울에서는 경면뿐 아니라 문양면에도 피막처리가 수행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일부에서는 경면과 문양면에 서로 다른 처리가 적용된 예가 관찰되었다. 적용된 피막처리법을 추정함에 중요한 단서가 되는 수은의 존재는 거울의 표면에서는 물론 단면에서도 황화물 형태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도금층이 결실된 경우에도 표면처리 여부는 물론 그에 적용된 방법에 관한 추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앞으로 청동거울의 경면처리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경우 기술의 시대별 또는 지역별 특성이 밝혀지게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청동거울의 제작시기나 제작지에 대한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선원사지 출토 금동축수의 표면색과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urface color and the making technique of the Gilt-bronze roller knobs excavated from the Seonwonsa temple site)

  • 백승희;한민수;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52-63
    • /
    • 2004
  • 본 연구는 사적 259호 고려 선원사지 출토 금동축수를 통하여 기존의 기술사, 야금사로 제한되어 왔던 국내연구에서 벗어나 고대에도 현대 금속공예에서와 같이 경제적, 장식적인 목적 등으로 금 합금이 이루어 졌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고대 금동유물들과 선원사지 출토유물과의 연관성과 함께 표면색에 따른 금 함량비의 차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원사지 출토유물은 금 도금층의 표면색에 따라 육안관찰에 의한 Gold, White-Gold. Red-Gold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금도금의 표면색에 따라 금 함량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가지의 표면 색중 금 이외의 물질인 Cu가 많게는 $43.0\%$ 정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Red-Gold type은 Cu를 합금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금된 금동시료의 피복기술은 수은이 $0.92\~19.04\%$가 검출됨으로써 수은을 사용한 수은아말감 도금법이 적용되었으며, 금 알갱이가 관찰되고 도금피막 두께는 $2.5\~25{\mu}m$로 도금기법 및 광쇠질의 차이로 인해 부분적으로 매우 불균일한 것으로 보아 금분 아말감을 하고 광쇠질로 광택을 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지금속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제작되었는데 하나는 순수한 Cu를 주조하여 제작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거의 순수한 동판을 말아 연접되는 곳에 주석땜을 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주석땜을 하는 과정에서 주석땜이 외부에 묻어있는 곳은 도금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축수의 모양을 만든 후 금도금 작업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치아우식 예방 및 충전 재료 현황에 관한 조사 (Current status of the types of dental filling and preventive materials among children in mixed dentition)

  • 오애영;최연희;진혜정;박지혜;김영숙;권호장;송근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83-149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치아우식 충전 및 예방재료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의 4개 대도시 지역 7개 초등학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부모의 동의를 얻은 9세와 10세 어린이 711명을 대상으로 한 명의 검진자가 구강검진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식경험유치면수는 $7.9{\pm}8.0$ ($ds=1.3{\pm}2.5,\;fs=6.6{\pm}7.6$)이고 우식경험영구치면수는 $1.4{\pm}2.2\;(DS=0.2{\pm}0.8,\;FS=1.1{\pm}2.1$)로 나타났다. 아말감, 레진, 실란트, 및 기타재료의 평균 충전 치면수는 각각 $2.8{\pm}3.9,\,1.6{\pm}2.8,\;2.9{\pm}3.2$, 및 $4.5{\pm}7.0$이었다. 지역별 충전 재료의 사용에 있어 아말감의 사용은 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레진은 부산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의 치아우식 충전 및 예방 재료의 사용은 치아우식예방을 위한 치면열구전색재의 총 치면수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여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고 충전재료로는 레진이 약 20%, 아말감은 약 10%의 비율을 보였다.

안압지 금동판불의 과학적 분석 (Scientific Analysis of Gilt-Bronze Plaquettes with Buddhist Images(Panbul) from Anapji Pond, Gyeongju)

  • 유혜선;박학수;신용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8권
    • /
    • pp.49-69
    • /
    • 2007
  •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10점의 금동제 판불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이다. 우선 X-선 형광분석(XRF)기를 이용하여 판불의 성분을 확인하였고, X-선회절분석기(XRD)를 사용하여 판불 표면을 덮고 있는 부식물의 종류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실체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EDS)을 이용하여 판불의 미세부분 및 도금 층 조사를 수행하였고, 판불의 내부 상태 조사를 위하여 X-선 투과 촬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안압지 판불의 재질은 구리(86~95%)와 주석(4~12%)이 주성분인 Cu-Sn 이원계 청동합금제이며, 금이 도금된 금동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금동판불의 붉은색 부식물은 산화구리(cuprite, Cu2O), 검은색 부식물에서는 황화구리(chalcocite, Cu2S)가 검출되었다. 현미경을 통한 미세 구조 관찰 결과 밀랍주조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도금층의 두께가 불균일하며, 바탕의 패인 부분을 메운 것으로 보아 아말감도금 기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수은이 검출되지 않은 점은 의문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X-선 투과 조사로 주조과정에서 발생한 기공으로 추정되는 작은 원형의 반점들이 존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ermography와 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한 하악 제2유구치의 열확산도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DIFFUSION IN LOWER End PRIMARY MOLAR WITH THERMOGRAPHY AND FINITE ELEMENT ANALYSIS)

  • 박희승;김용기;권순원;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9-528
    • /
    • 2002
  • 임상에서 설비의 노후나 고장 등으로 인해 고속 핸드피스의 물 분사에 의한 냉각이 종종 불완전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성인에 비해 치료에 관한 공포가 심하여 비협조적인 소아환자의 경우에는 물의 분사나 고속 흡인기의 사용을 거부하거나 지극히 혐오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이처럼 냉각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술식은 치수조직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 수복 술식을 시행하는 동안 각 치아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이 치수 내부로 전달되는 양상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석고 블록에 식립된 90개의 하악 제2유구치를 대상으로 수종의 수복 술식을 시행하였고, 해당 치아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적외선 카메라와 therm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유한요소 분석을 통한 치질내 열전도에 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임상 술식의 주수 하 최고 표면 온도는 $30.8^{\circ}C{\sim}43.6^{\circ}C$, 비 주수 하에서는 $51.2^{\circ}C{\sim}103.4^{\circ}C$의 범위를 보였다. 술식 중에서는 치관 형성과정이 가장 높은 온도를, 아말감 제거 과정이 가장 낮은 표면온도를 보였다. 동일 술식 내에서의 주수와 비 주수 조건간에는 모든 술식이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p<0.05). 유한요소 분석에서 나타난 치수각의 온도변화는 모든 비 주수 조건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주수 하에서는 전반적으로 미약한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고속 절삭기를 사용한 수복 과정에 주수에 의한 충분한 냉각이 치수 생활력의 유지를 위해서 필수적임을 시사해준다. 향후 보다 다양한 술식과 조건을 부여한 유사 분야의 연구가 추천된다.

  • PDF

최근 5년간 광주지역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의 분포와 진료 내용에 대한 조사 (A STUDY ON THE CHANGES OF PATIENT DISTRIBUTION AND TREATMENT PATTERN FOR THE LAST 5 YEARS IN PEDIATRIC DENTAL PRACTICE OF GWANGJU)

  • 김하나;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8-356
    • /
    • 2012
  • 최근 사회 경제적인 변화로 소아치과의 진료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미래에 소아치과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와 광주의 소아전문 개인치과의원 두 곳에 내원한 모든 신환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신환의 수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고, 이 중 남아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연령별 분포에서는 3~4세군의 내원율이 가장 높았다.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의 경우 방학 중 내원율이 높았으나, 소아전문 개인 치과의원은 특정 기간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주소 분포에서는 충치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예방 및 검진을 위한 내원율의 증가와 함께 불소도포가 증가하였다. 치료 중에서는 수복치료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중 레진과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수복이 가장 많았고, 아말감 수복은 감소하였다. 진정치료의 비율은 약간 감소하였고, 소아전문 개인치과의원과 비교해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에서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Potentiostat를 이용한 타액에서의 아말감부식에 대한 전기화학적 연구 (AN ELECTROCHEMICAL STUDY BY USING A POTENTIOSTAT ON THE CORROSION OF AMALGAMS IN SALIVA)

  • 손윤희;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534-54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seven dental amalgams (CAULK FINE CUT, CAULK SPHERICAL, OPTALLOY II, DISPERSALLOY, HI VERALOY, TYTIN, VALIANT) through the anodic polarization curve obtained by using a potentiostat. After each amalgam alloy and Hg being triturated, the triturated mass wa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metal mold, and condensed by hydrolic pressure(160 kg/$cm^2$). Each specimen was removed from the metal mold. 24 hours after condensation, specimens were polished with the emery paper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week. The anodic polarization curves were employed to compare the corrosion behaviours of the amalgam in 0.9% saline solution, Fusayama's artificial saliva, and stimulated parotid saliva at $37^{\circ}C$ with 3-electrode potentiostat. After the immersion of specimen in electrolyte for 1 hour, the potential scan was begun. The potential scan range was. -1700m V ~ + 400m V(vs. S. C. E) in the working electrode and the scan rate was 50m V /se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rrosion potential, the potential of anodic current peak, and transpassive potential in the stimulated parotid saliva shifted to more anodic direction than those in saline solution, and the current density in the stimulated parotid saliva was lower than that in saline solution. Those in Fusayama's artificial saliva was similar to those in stimulated parotid saliva. 2. The anodic polarization profiles in Fusayama's artificial saliva and stimulated parotid saliva indicated a region of slow slope current density, which is extending from the corrosion potential to the potential of anodic current peak, but that in 0.9% saline solution indicated no region of slow slope. 3. The corrosion potentials for CAULK FINE CUT, CAULK SPHERICAL, and OPT ALLOY II had the similarity in 0.9% saline solution, Fusayama's artificial saliva and stimulated parotid saliva, but those for high coper amalgam and VALIANT had no similarity. 4. The current density for TYTIN amalgam in stimulated parotid saliva was the lowest among the others. 5. As for current dens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lladium enriched VALINAT and other high copper amalgams.

  • PDF

아말감 와동의 파절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STUDY ON AMALGAM CAVITY FRACTURE WITH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 김한욱;엄정문;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345-371
    • /
    • 1994
  • Restorative procedures can lead to weakening tooth due to reduction and alteraton of tooth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prevent fractures to conserve tooth. Among the several parameters in cavity designs, cavity isthmus and depth are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MO amalgam cavity was prepared on maxillary first premol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 by serial photographic method and cavity depth(1.7mm, 2.4mm) and isthmus (11 4, 1/3, 1/2 of intercuspal distance) were varied. linear, eight and six-nodal, isoparametric brick elements were used for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ooth were excluded in these models. Three types model(B, G and R model) were developed. B model was assumed perfect bonding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Both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were distributed directly to the adjacent regions. G model(Gap Distance: 0.000001mm) was assumed the possibility of play at the interface simulated the lack of real bonding between the amalgam and cavity wall (enamel and dentin). When compression occurred along the interface, the forces were transferred to the adjacent regions. However, tensile forces perpendicular to the interface were excluded. R model was assumed non-connection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No force was transferred to the adjacent regions. A load of 500N was applied vertically at the first node from the lingual slope of the buccal cusp tip. This study analysed the displacement, von Mises stress, 1 and 2 direction normal stress and strain with FEM software ABAQUS Version 5.2 and hardware IRIS 4D/310 VGX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 model showed stress and strain patterns between Band R model. 2. B model and G model showed the bending phenomenon in the displacement. 3. R model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the displacement of the buccal cusp followed by G and B model in descending order. G model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the displacement of the lingual cusp followed by B and R model in descending order. 4. B model showed no change of the displacement as increasing depth and width of the cavity. G and R model showed greater displacement of the buccal cusp as increasing depth and width of the cavity, but no change in the displacement of the lingual cusp. 5. As increasing of the width of the cavity, stress and strain were not changed in B model. Stress and strain were increased on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opulpal line angle in G and R model. The possibility of the tooth fracture was increased. 6. As increasing of the depth of the cavity, stress and strain were not changed in B and G model. Stress and strain were increased on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opulpal line angle in R model. The possibility of the tooth fracture was increased.

  • PDF

부여 쌍북리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 용융물질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Quantitative Analysis and Archaeometric Interpretation for Molten Glass and Bronze Materials within Baekje Crucibles from the Ssangbukri Site in Buyeo, Korea)

  • 이찬희;박진영;김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9
    • /
    • 2010
  • 이 연구는 부여 쌍북리유적에서 출토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용융물질과 금동보살입상의 재료학적 특성 및 고고과학적 상관관계를 규명한 것이다. 도가니 내부의 유리질 용융물질은 주로 황록색과 적갈색을 띠는 PbO-$SiO_2$계의 납유리로서 바륨과 안정제의 함량이 낮은 특징이 있다. 금속용융물질은 Cu, Sn, Pb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청동으로 밝혀졌으며, 낮은 불순물 함량으로 미루어 고순도로 정련된 구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석의 원광석으로는 석석이 이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동보살입상의 청동소지도 구리의 함량이 높고 불순물의 함량이 낮아 고도로 정련된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쌍북리 유적의 공방에서 숙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표면에는 고순도의 금을 아말감기법으로 도금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도가니 내 납유리와 청동물질 및 금동보살입상의 납동위원소비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보아 납광석의 원산지 해석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