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of the types of dental filling and preventive materials among children in mixed dentition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치아우식 예방 및 충전 재료 현황에 관한 조사

  • Oh, Ae-Young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un-Hee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in, Hye-Jung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Hye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uk (Dept.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Kwon, Ho-Jang (Dept.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Song, Keun-Bae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오애영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최연희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진혜정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박지혜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김영숙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권호장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송근배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Received : 2010.02.02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the types of dental filling materials and preventive materials among Korean children in mixed dentition. Seven elementary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four metropolitan regions in South Korea. The total of 711 children aged 9-10 years old were examined with their parents’ informed consents. Oral examination was conducted by one trained dentist. The mean number of dfs was $7.9{\pm}8.0$ ($ds=1.3{\pm}2.5,\;fs=6.6{\pm}7.6$) and DMFS was $1.4{\pm}2.2$ ($DS=0.2{\pm}0.8,\;FS=1.1{\pm}2.1$). The average of filled surfaces using amalgam, composites, sealants, and others were $2.8{\pm}3.9,\;1.6{\pm}2.8,\;2.9{\pm}3.2$, and $4.5{\pm}7.0$, respectively. The use of dental filling material according to region, the amalgam was the highest in Daegu and the resin was the highest in Pusan. In permanent teeth, about 70% of total filling surfaces had sealant and about 20% was resin fillings, and the proportion of amalgam filling surfaces was less than 10%.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치아우식 충전 및 예방재료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의 4개 대도시 지역 7개 초등학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부모의 동의를 얻은 9세와 10세 어린이 711명을 대상으로 한 명의 검진자가 구강검진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식경험유치면수는 $7.9{\pm}8.0$ ($ds=1.3{\pm}2.5,\;fs=6.6{\pm}7.6$)이고 우식경험영구치면수는 $1.4{\pm}2.2\;(DS=0.2{\pm}0.8,\;FS=1.1{\pm}2.1$)로 나타났다. 아말감, 레진, 실란트, 및 기타재료의 평균 충전 치면수는 각각 $2.8{\pm}3.9,\,1.6{\pm}2.8,\;2.9{\pm}3.2$, 및 $4.5{\pm}7.0$이었다. 지역별 충전 재료의 사용에 있어 아말감의 사용은 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레진은 부산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의 치아우식 충전 및 예방 재료의 사용은 치아우식예방을 위한 치면열구전색재의 총 치면수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여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고 충전재료로는 레진이 약 20%, 아말감은 약 10%의 비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배, 최유진, "공중구강 보건학", pp. 43-52, 고문사, 1998.
  2. Harris NO, Garcia-Godoy F,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5th ed, pp. 44-45, STanford, Appleton& Lange, 1999.
  3. 서현석,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학교 계속 6세구치 관리사업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 16권, 제2호, pp. 400-418, 1992.
  4. 도영주, 신영림, 송근배, "치면열구전색의 우식예방효과 및 탈락율에 관한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 21권, 제1호, pp. 73-66, 1997.
  5. Anusavice, "'필립스 치과재료학", pp 7, 참윤, 2006.
  6.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Public health ststement mercury" [online] http://www.atsdr.cdc.gov, 2008.
  7. 김재찬, 김철위, "치과용 콤포짓트 레진의 물성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치과기재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179-195, 1990.
  8. 나종찬, "충전 가능 콤포짓트 레진의 마찰력 및 마모량 비교[석사학위논문]", pp. 1-8,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9. Michelsen VB, Lygre H, Skalevik R, Tveit AB, Solheim E, "dentification of organic eluates from four polymer-based dental filling materials", Eur J Oral Sci, 제111권, 제3호, pp. 263-271, 2003. https://doi.org/10.1034/j.1600-0722.2003.00033.x
  10. Ferracane JL, Condon JR, "Rate of elution of leachable components from composite", Den Mater, 제6권, 제4호, pp. 282-287, 1990. https://doi.org/10.1016/S0109-5641(05)80012-0
  11. Spahl W, Budzikiewicz H, Geurtsen W, "Determination of leachable components from four commercial dental composites by gas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Dent, 제26권, 제2호, PP. 137-145, 1998. https://doi.org/10.1016/S0300-5712(96)00086-3
  12. Geurtsen W, "Substances released from dental resin composites and glass ionomer cements", Eur. J Oral Sci, 제106권, 제2호, pp. 687-695, 1998. https://doi.org/10.1046/j.0909-8836.1998.eos10602ii04.x
  13. Moharamzadeh K, Van Noort R, Brook IM, Scutt AM, "HPLC analysis of components released from dental composites with different resin compositions using different extractionmedia", J Mater Sci Mater Med, 제18권, 제1호, pp. 133-137, 2007. https://doi.org/10.1007/s10856-006-0671-z
  14. Lee SY, Huang HM, Lin CY, Shih YH, "Leached components from dental composites in oral simulating fluids and the resultant composite strengths", J Oral Rehabil, 제25권, 제8호, pp. 575-588, 1998. https://doi.org/10.1046/j.1365-2842.1998.00284.x
  15. Sharif MO, Catleugh M, Merry A, Tickle M, Dunne SM, Brunton P, Aggarwal VR, "Replacement versus repair of defective restorations in adults: resin composit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
  16. Wilson AD, Kent BC, "A new transluscent element for dentistry. glass ionomer cement", Br Dent J, 제132권, 제4호, pp. 133-135, 1972. https://doi.org/10.1038/sj.bdj.4802810
  17. Hicks MJ, Flaitz CM, silverstone LM, "Secondary caries formation in vitro around glass ionomer restorations", Quintessence Int, 제17권, 제9호, pp. 527-532, 1986.
  18. Maldonado, "An in vitro study certain properties of a glass ionomer cement.", JADA, 제96권, 제5호, pp. 785-791, 1978.
  19. Anusavice, "필립스 치과재료학", pp 481, 참윤, 2006.
  20. Sipahier M, "Glass-ionomer-silver cermet cements applied as fissure sealants 1.in vitro evaluation", Quintessence Int, 제26권, 제1호, pp. 37-42, 1995.
  21. Hatibovic-kofman S, Wright GZ, braverman I, "microleakage of sealants after conventional ,bur, and air-abrasion oreparation of pits and fissures", dediater dent, 제11권, 제6호, pp. 409-416, 1998.
  22. Cueto EL, bonocore MG "Sealing of pits and fissures with an adhesive resin", JADA, 제7권, 제1호, pp. 121-128, 1967.
  23. Waggoner WF, "Pit and fissure sealant application", JADA, 제127권, 제3호, pp. 351-361, 1996.
  24. 단국대학교, "도시.산단 등 유형별 환경성 질환 조사.감시 3차년도 최종보고서", 2008.
  25. 장기완, 김진범,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구강건강 조사법". pp. 27-65, 고문사, 2000.
  26. 보건복지부, 2006년 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7.
  27. 이향숙, "한국 건강보험의 치과진료수가 항목변화와 요양급여비용 지급현황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8. 최은정, 정태련, 김종철, 김영재, "최근 5년간(2000-2005)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진료현황 변화 및 신환 분포에 대한 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3권, 제4호, pp. 673-677, 2006.
  29. 김종배, 김신규, 이영수, 손광진, 전재규, 장기완, "전주시 일부 초.중학생에서 치면열구전색이 필요한 치아종류 및 치면",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 29권, 제1호, pp. 33-42, 2005.
  30. 김선창, 이선미, 김지영, 김진범, "합천군 치면열구 전색사업의 영구치 우식증 예방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3권, pp. 471-486, 2003.
  31. 천기탁, 송현정, 류연정, "2003년도 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치면열구전색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0권, 제2호, pp. 204-211, 2006.
  32. Espelid I, Tveit AB, "Restorative treatment decisions on occlusal caries in Scandinavia." Acta Odontol Scand, 제59권, 제1호, pp. 21-27, 2001. https://doi.org/10.1080/000163501300035724
  33. Vidnes-Kopperud S, Tveit AB, "Factors influencing dentist' choice of amalgam and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for Class II preparations in younger patients", Acta Odontol Scand. 제67권, 제2호, pp. 74-79, 2009. https://doi.org/10.1080/00016350802577800
  34. 조재웅, "구멍 또는 이종재료를 가진 재료에서의 크랙의 전파 거동",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6권, 제6호, pp. 531-535, 2005.
  35. 조대철, 이원규, "전자재료 산화박막에 대한 Ti표면처리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6권, 제3호, pp. 270-272, 2005.
  36. 조재웅, "이종재료의 알루미늄 이중 외팔보 복합재의 충격 거동",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8권, 제3호, pp. 421-426, 2007.
  37. 김태완, 김동학, "플라스틱 직물 코팅재료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4권, 제1호, pp. 42-46, 2003.
  38. 전재규, 장기완, "전라북도 일부 시 지역 청소년의 치면열구전색 실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8권, 제3호, pp.362-371, 2004.

Cited by

  1. Association between amalgam removal and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a pilot study vol.12, pp.2,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2.431
  2. Correlation between amalgam restorations and urinary mercury level in children for 1 year vol.14, pp.3,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