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쓴맛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2초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소비자 기호도 및 관능적 특성 (Consumer Acceptan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of Subsidiary Ingredients)

  • 박소희;이종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70-378
    • /
    • 2006
  •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가 기호도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외관 기호도에서는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가 가장 싫은 기호도를 보였고, 젓갈, 마늘, 생강, 무, 파, 양파 등을 각각 첨가하지 않은 시료들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으며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마늘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싫은 정도가 가장 높아 김치의 기호도에 마늘의 영향력이 가장 큼을 알 수 있었다. 고춧가루는 김치의 향미 특성 중 매운맛에만 영향을 주었고, 젓갈은 김치의 감칠맛, 단맛, 짠맛을 상승시켰으며 마늘은 신맛, 감칠맛, 단맛, 탄산미, 상큼한 맛 등 전반적인 향미를 상승시키면서 군덕맛을 억제해 주었다. 생강은 매운맛과 상큼한 맛에, 무, 파, 양파 등은 김치의 상큼한 맛에 영향을 주었다. 마늘은 김치, 깍두기, 열무김치인 김치 종류와 5, 10, $20^{\circ}C$의 숙성온도에 상관없이 김치의 관능적 특성 중 마늘의 유무는 군덕맛, 쓴맛에, 마늘 첨가량의 차이는 신맛, 단맛, 상큼한 맛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탈지 인삼씨박 분말을 첨가한 영양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utrition Bar Substituted with Defatted Ginseng Seed Meal)

  • 조성아;유경미;이슬;김경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압착추출방법으로 착유한 후 얻은 탈지 인삼씨박 분말의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탈지 인삼씨박 분말의 첨가량(밀가루 중량의 0, 5, 10, 20%)을 달리하여 영양바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영양바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죽의 pH와 밀도, 영양바의 비용적, 손실률과 팽창률, 색도, texture, 관능검사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바 반죽의 밀도와 pH는 인삼씨박 첨가 수준 증가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인삼씨박 분말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인삼씨박 분말무첨가군 대비 비용적, 손실률과 팽창률 모두 감소하였다. 영양바의 crust와 crumb 모두 L값(명도)와 b값(황색도)는 인삼씨박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a값(적색도)과 대조군 대비 총 색차(${\triangl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바의 texture 특성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경도(hardness)는 인삼씨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통해 인삼씨박 분말 첨가 영양바의 갈색의 정도, 인삼씨의 향과 맛, 쓴맛, 경도와 입안에서 알갱이가 느껴지는 정도에 대한 특성 강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특성 강도에 따른 각 시료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5-10% 첨가군에서 각 항목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10% 인삼씨박 분말 첨가 영양바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영양바에 인삼씨박 분말을 첨가는 관능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써 식품 소재로써 탈지 인삼씨박의 이용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설탕과 타가토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머핀의 저장기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Tagatose and Sugar during Storage)

  • 황자영;김영재;이선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6-182
    • /
    • 2015
  • 타가토스의 함량을 달리한 머핀의 저장기간에 따른 수분 함량, 색도, 조직감을 분석하였으며,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2일째까지는 T25와 T50의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3일째에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이 T5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관능평가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 타가토스가 설탕에 비해 갈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감 분석결과, 경도, 씹힘성, 깨짐성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실험군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타가토스 함량이 높을수록 그 값이 높게 분석되었다. 탄력성과 응집성의 경우 T0과 T25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평가의 경우 껍질의 갈색 정도가 T25와 T50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도와 쓴맛의 경우 T0이 낮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내부색, 촉촉한 정도, 단맛, 향에 있어서는 실험군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전체적 기호도 역시 실험군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타가토스는 설탕 대비 50%까지 머핀 제조 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쑥 추출물의 기능성과 쑥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 박찬성;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7
    • /
    • 2006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쑥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암활성과 쪽을 첨가한 쑥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sim}1,000ppm$에서 물 추출물은 $73{\sim}81%$, 에탄올 추출물은 $74{\sim}92%$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쪽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의 유방암세포 (MDA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30, 27% 였으며 폐암세포(A549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22, 23% 였다. 쑥을 첨가한 국수 생면을 $5^{\circ}C$에서 4주일간 저장하였을때 쪽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낮았으며 쑥 첨가에 의하여 국수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쑥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와 적색도(a)는 건면과 삶은 면 모두 쑥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p<0.05). 쑥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건면은 뒷맛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2%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삶은 면은 쓴맛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2%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쑥국수 제조시에 쑥의 최적 첨가농도는 2%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Pale ale류에 속하는 맥주 신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Pale Ale Beer)

  • 김기화;박수지;김지은;동혜민;박인선;이재환;현소양;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2-147
    • /
    • 2013
  • Pale ale류에 속하는 수입산 시판 맥주 3종과 신제품 맥주를 대상으로 일반적 품질특성과 향기패턴 및 맛의 성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은 4.35%의 알콜 함량을 나타냈으며 B.U.는 3.5, 색도는 34.43(EBC), sweetness는 $2.28^{\circ}P$, pH는 3.96, 총산은 5.21, 폴리페놀은 181.22 mg/L의 함량을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의 경우 시판 맥주와는 구분되어 다른 향기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C를 이용한 총 14종의 휘발성분 중 ethyl acetate, isobutanol, isoamyl acetate, isoamyl alcohol, ethyl hexanoate 함량의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물질들은 시판 맥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 분석에서는 시판 맥주에 비하여 NB의 신맛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맥주의 주요한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 중 하나인 quinine을 정량 한 결과 시판 맥주에서의 농도는 1.5-1.8 mg/L 사이로 나타났다.

강황을 첨가한 팬 프라잉 화전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an-fried Hwajeon added with curcuma as a functional ingredient)

  • 한아름;서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6-303
    • /
    • 2017
  • 산화방지활성을 부가한 건강한 먹거리 개발을 위하여 화전의 주재료인 찹쌀가루의 일부(1-5%)를 강황가루로 대체한 강황화전을 제조하였다. 화전의 수분함량은 강황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온수 조건에서 찹쌀가루와 강황 가루의 물 결합력이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던 결과로 해석하였다. 한편, 강황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황 고유의 색소인 쿠쿠민에 의해 반죽의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화전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는 전형적인 갈색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반죽을 지지는 동안 가속화된 비효소적 갈변 반응과 유지의 갈변 반응의 결과로 해석하였다. 강황 첨가로 화전의 경도는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현상은 찹쌀가루를 강황가루로 대체함으로써 아밀로오스 함량은 증가하고 아밀로펙틴 함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총 환원력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측정된 화전의 산화방지활성이 강황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함으로써, 강황가루에서 관찰된 산화방지활성이 화전에 실질적으로 부가되었음을 시사해주었다. 강황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한 강황 고유의 향미와 쓴맛은 기호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으로써, 첨가량이 낮은 강황 화전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종합적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기능성 소재로 강황을 첨가한 식품을 개발할 경우 영양성과 산화방지활성 부가에도 불구하고 관능적 요인이 최종 첨가량 설정에 결정적 인자임을 시사해주었다.

된장 숙성중 정미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I) - 유리아미노산과 핵산 관련물질 -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 김미정;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4호통권13호
    • /
    • pp.1-8
    • /
    • 1990
  • 일상 조미료로서 된장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Asp. oryzae를 이용한 개량식 제조 된장에서 숙성에 따른 효소역가의 변화, 일반성분과 맛성분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1. 물에 담근 것과 삶은 콩의 경우 효소활성은 거의 없었으나, 된장 담금 직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은 0일에서 10일 사이에 크게 증가한 뒤 계속 증가하였으나 amylase활성은 45일을 고비로 감소하였고 celluase는 45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다음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된장의 총질소는 숙성중 거의 일정하였으나 아미노태 질소는 20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로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숙성이 진행되면서 단백질의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환원당의 함량은 숙성에 따라 일정치 않았으나 숙성완료시기에 증가추세를 보여 180일 숙성시에는 약 700u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pH는 된장담금 뒤 5.6에서 180일 숙성때는 4.97까지 떨어졌다. 3. 맛성분으로서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숙성 10일을 고비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30{\sim}60$일 사이에서 $3.53g/100g{\sim}3.65g/100g$으로 일정하다가 60일이후 180일까지는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숙성에 따라 단백질로 부터 아미노산의 생성이 계속 진행되어 맛성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겼다. 유리아미노산중 glutamic acid는 acid보다 더 많이 존재하였고 phenylalanine, leucine, arginine의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비교적 많으며, proline은 숙성 180일째 크게 증가하였다. Methionine과 cystine은 숙성 180일에 최저 비율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된장의 지미성분인 aspartic acid는 숙성이 시작되면서 계속 증가하였고 glutamic acid는 3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일정한 수치를 보였다. 총유리 아미노산중 단맛을 내는 glycine, alanine, serine, threonine, typtophan의 백분율은 숙성에 따라 크게 증가하여 180일 숙성시 27%를 차지하였고 MSG like 아미노산은 18.5%를 차지하였고 MSG like 아미노산은 18.5% 차지하였으며, 쓴맛 아미노산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arginine)의 백분율은 43%를 차지하였는데 그 비율은 숙성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IMP는 숙성 10일 부터 생성되었고 GMP는 숙성 30일부터 나타났는데 그 함량은 숙성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숙성 180일때 총량은 0.05g/g이었으며, 된장의 지미는 숙성에 따라 더 깊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진쑥을 기질로 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과 흑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혼합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Mixed Drink using Extract of Hericium erinacium Cultivated with Artemisia capillaris and Black Garlic)

  • 정헌;김연숙;박표잠;최웅규;정재현;이웅수;최원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51-7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 배지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와 이 배양 추출물에 흑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의 간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배양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0.05 m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의 비율 5:5, $80^{\circ}C$의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가장 좋은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건에서 추출한 배양 추출물에 흑마늘을 혼합(배양 추출물:흑마늘 추출물=9:1, 8:2, 7:3)하여 간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간세포 보호 효과는 흑마늘 추출물 첨가 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산화력 측정 결과에서는 오히려 흑마늘 추출물 첨가 비율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 흑마늘 추출물의 경우, 적은 농도에서는 간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양 추출물만으로(1.9 Brix, 15%) 액상과당 농도를 달리하여(10, 15, 20%) 제조한 음료의 관능검사 실시 결과, 액상과당 농도 차이가 단맛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쓴맛, 향, 농도 및 전반적 기호도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국내 시판 막걸리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Preference for Commercial Makgeolli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전기숙;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5-126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막걸리의 개발 및 중국 시장에서 막걸리의 소비 증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중국 시장의 잠재적인 막걸리 소비자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막걸리의 음주 실태에 관한 설문 조사와 시판 쌀 막걸리(생 막걸리, 살균 막걸리)의 특성 및 기호도에 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막걸리 음주 경험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9일부터 10월 30일까지 조사하였으며, 11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71.8%가 막걸리를 좋아하며, 56.4%가 주 5-6회 막걸리를 마시고, 25.7%가 2병 이상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61.5%가 막걸리 구매 경험이 있으며, 막걸리에 관한 정보는 지인(66.7%)이나 언론매체(28.2%)를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쌀 막걸리 중 상큼한 향, 단맛, 신맛이 강하고, 후미가 좋으면서 청량감이 있는 살균 막걸리(BS)를 가장 선호한 반면 탁도, 누룩향, 쓴맛, 묵직한 바디감이 강한 생 막걸리(KD)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전통적인 생 막걸리보다는 청량감을 지닌 달달하고 상큼하면서 목넘김이 부드러운 막걸리가 중국인의 기호에 적합하며, 웰빙 저도주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음 기회의 확대를 통한 구전 마케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음나무 신품종 새순의 유용물질 함량분석과 항산화활성 (Bioactive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Fresh Sprout of New Kalopanax septemlobus Cultivar)

  • 송정호;김혜수;김문섭;김세현;이진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97-402
    • /
    • 2015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음나무 신품종으로 개발한 청산, 청송, 청순1 등 3개 신품종을 대상으로 새순의 영양성분 분석, 생리활성 물질분석 및 항산화활성 분석을 통하여 식품학적 가치의 확인과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3개의 품종에 대하여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미비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청산, 청송, 청순1에서 각각 26, 25, 28개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으며, 각각 6, 6, 7개의 필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기능성 분석을 위한 총폴리페놀 함량에서는 청산 품종이,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청송 품종이 높게 나타났다. DPPH 자유라디컬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분석에서는 100 ppm에서 청산과 청송의 70% 에탄올과 물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분석에서는 500 ppm에서 청순1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청산, 청송의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로 청산, 청송의 경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과 동시에 가시가 없거나 적은 형태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청순1의 경우 단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음나무 고유의 쓴맛과 동시에 단맛이 나는 맛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