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크스크린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천연염료 실크스크린 기법의 텍스타일 디자인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Friendly Jaquard Fabric Design Utilizing Natural Dyed Silk Screen Printing)

  • 이애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2-423
    • /
    • 2016
  •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suggests an experimental procedure,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xtile design techniques, such as hand silkprinting and natural dyeing. Theoretical and tradition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William Morris and his followers' Arts and Crafts Movemen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laid the philosophical as well as technical foundations of modern textile design tradition.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hilosophy, and starting from the design techniques of Morris and his successors, I made some experimental and systematic color plans reflecting and exploiting the physical traits and structure of jacquard woven silk material fabrics. And I applied hand silkscreen printing techniques on the jacquard silk fabrics of my own making, while testing various color combinations of natural dyes. After finishing final processing of design samples, I could get textile design products which met the criteria of my original expectation, i.e., eco-friendly and aesthetic design samples that can also be produced in automatized mass production system of contemporary textile industry. The conclusion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hat I can expect the natural dyeing techniques, jacquard silk fabrics design techniques, silkprinting techniques, and the basic processes used in this study to be safely applied for contemporary commercial textile industry utilizing automatized silkscreen printing system and digital printing devices.

실크 스크린 인쇄 및 점착력에 나노 입자가 포함된 UV 경화형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의 유변학적 특성 (Effects of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UV Cured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Nano-particles on the Silk Screen Printing and Adhesion)

  • 조민정;강호종;김동복
    • 접착 및 계면
    • /
    • 제18권1호
    • /
    • pp.25-32
    • /
    • 2017
  •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모듈 접합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PSA)에 실리카 나노 입자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실크 스크린 인쇄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유변학적 성질이 인쇄성 및 점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점착제(PSA) 중합을 위한 기본 처방으로 2-ethylhexyl acrylate(2-EHA)와 acrylic acid(AA)를 93:7 비율로 고정하고 butyl acylate(BA), 2-hydroxyethyl acrylate(2-HEA)를 첨가하였다. 추가로 나노 입자는 친수성 및 소수성을 가지는 AEROSIL R974 및 AEROSIL 200을 각각 사용하였다. 나노 입자 함량이 4 또는 7 phr 이상 사용함에 따라 G', ${\eta}^*$ 값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친수성 나노 입자 AEROSIL 200을 7 phr 이상 첨가했을 때에는 스크린 인쇄 시 투과성이 저하되었다. 점착력은 나노 입자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친수성인 AEROSIL 200의 경우 점착력이 더욱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보여지는 팝 아트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Pop Art Technique)

  • 김미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59-668
    • /
    • 2008
  • Today, Fashion illustration has been diversified in its usage and respotlighted in the significance of its artistry by artists' interpretation and subjective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oretical reestablishment of this extended expression sphere and possible expression coverage of Fashion illustration. First, based on the Fashion illustration works revealing expressive features of Pop Art, this study reviews major considerations of Fashion illustration, i.e. assemblage, silk screen and new possible perspectives respectively. Therefore, based on the reviews, this study seeks to deduce pop art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echnique found in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modes of Pop Art are represented broadly by assemblage, silk screen and new perspectives. Based on corresponding case analysis, this study could come to find out the following expressive features of pop art revealed in Fashion illustration: First, it is found that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pursues unbounded expressions and unprecedented styles owing to material variety. Second, it is found that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tries to adopt new and experimental techniques including computer program. Third, it is found that Fashion illustration characterized mainly by expressive features of Pop Art shows and pioneer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 spheres including commercials(ads), newspaper or magazine illustration and cartoon ads simply beyond designer's creative drawing.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Pop Art's expressive features shown in Fashion illustration will evolve through a fusion with various experimental techniques, and keep having cultural and artistic influence in the future as well.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연구 (Style of Retro Design Using Pop Art)

  • 유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85-196
    • /
    • 2011
  • 본 연구는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작업 시 어떻게 컨셉을 표현할 수 있을까를 이론적 고찰과 사례로 조사하고 작품제작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대중적인 이미지를 반영한 컨셉과 대중의 영웅을 표현한 컨셉에서는 팝아트의 특징을 단순하게 재현하였고, 정치적 삶에 드러난 상처를 표현한 컨셉은 조사된 사례가 없었다. 디자인의 각 영역에 대한 사례의 가장 큰 특징은 팝아트의 이념보다는 팝아트의 표현양식에 주로 치중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원색을 사용하여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표현하거나, 반복적인 표현, 컴바인과 콜라주 기법, 실크스크린, 만화, 과장된 오브제로 표현하는 것 등이 다양하게 재현되었다. 그러나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은 팝아트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팝아트의 이념과 조형적 재해석이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만나 현대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글로벌화 되어 있는 미디어나 이미지의 홍수 시대에 대중의 일상에 대한 탐색, 대중의 여가나 오락 및 환상의 결합을 활용하여 컨셉을 설정하고 팝아트의 표현양식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유전율의 BMT 기판을 이용한 소형 헤어핀 구조의 듀플렉서 설계 (The Compact Hairpin-Shaped Duplexer using a BMT Substrate with a High Dielectric Constant)

  • 권구형;한상민;남산;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044-105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고유전율의 BMT 물질을 기판에 적용하여 기판 위에 소형화된 평면형 구조의 마이크로웨이브 듀플렉서를 설계, 제작하였다. Ba(Mg$_{1}$3/Ta$_{2}$3/)O$_3$(BMT)는 품질계수, 온도계수 측면에서 뛰어난 유전 특성을 보이며 유전상수가 23인 고유전 물질로서 회로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기판에 적용하기가 적합하다. BMT 기판은 tape casting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회로 패턴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전극 패턴을 입혔다. Open-loop ring type의 듀플렉서를 BMT 기판 위에 설계, 제작하였으며 유전상수가 6.15인 상용 기판에 동일한 규격의 듀플렉서를 제작하여 비교한 결과, 특성의 저하 없이 약 80 % 정도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BMT 기판은 예시된 듀플렉서 소형화를 구현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수동 소자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물염색을 활용한 전통 문화상품의 개발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Using Persimmon Dyeing)

  • 이은진;김선경;조효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6호
    • /
    • pp.1053-1062
    • /
    • 2007
  • This study purposed to restructure representative traditional patterns formatively, manufacture actual cultural products with traditional dyeing technique using persimmon, and commercial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aditionally in Korea, the dying of natural fiber such as cotton, flax and silk with persimmon was called Galmul dyeing, and clothes made through Galmul dyeing were called Galot. Galot was very useful because it is strong, does not pick up dirt easily, dries easily, and is cool in summer. In addition, cloth dyed with persimmon becomes stiff, so it does not need to be starched or ironed after washing. Moreover, it does not transmit heat under direct rays and is highly air-permeable, so it is cool and useful for standing the heat. In this study, we used traditional persimmon dyeing technique, printing traditional patterns fit for contemporary people's aesthetic sense not through dip-dying but through printing. When persimmon dyeing is used in expressing patterns, it produces not only visual effect but also embossing effec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persimmon that makes printed patterns stiff, so we can obtain unique texture distinguished from other printing methods. We chose seven motive patterns, which were lotus pattern symbolizing eternal life, peony pattern symbolizing wealth and rank and prosperity, character Su(壽) pattern widely used as a symbol of health, bird and cloud pattern in the Goryeo Dynasty, Sahapyeoeuisohwa(四合如意小花) pattern printed on brocade in the Goryeo Dynasty, lattice pattern, cloth pattern on wall painting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From each pattern chosen as a motive was extracted unit patterns and the original pattern was restored using Adobe Illustrator. Restored patterns were restructured to be applied to cultural products fit for contemporary formative sense. Fabrics used in dyeing were cotton, linen, ramie, silk, and polyester. Although the same persimmon dyeing was applied, we produced different feelings of patterns using various fabrics and in some cases gold and silver powder was added for the effect of gloss in addition to the embossing of patterns. Using printed fabrics we manufactured tea pads, place mats, cushions, wrapping cloth for gifts, wallet, lampshades.

  • PDF

중국전통 전지공예와 현대도자장식의 융합에 대한 연구 (An Introductory Study on Convergence of Traditional Chinese Paper-cutting Art and Contemporary Ceramic Decoration)

  • 이신청;위정기;엄붕;김원석;노혜신;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51-356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전통 전지공예와 현대도예의 융합을 시론적으로 다룬 것이다. 전지공예는 중국인이 오랫동안 일상에서 즐겨온 팝아트적 예술이며, 현대도자는 이로부터 창작의 소재와 모티브를 공급받아 작가의 창의성을 자극하며 도예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순수한 평면예술인 전지공예는 도자기를 만나 3차원 공간으로 전이되어 새로운 예술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도자재료는 그 가소성과 수용성으로 말미암아 전지공예 내포하고 있는 음양허실의 조화는 물론 전지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양자의 융합에 대한 경향성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팝아트 기법을 활용한 현대 도자 장식 표현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of Contemporary Ceramic Decoration Using Pop Art)

  • 최정화;최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47-454
    • /
    • 2018
  • 팝아트는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시대 문화적 현상을 표현함으로써 대중과 소통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도자 분야에도 팝아트 표현 기법의 특성을 활용하여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팝아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적 배경과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팝아트 양식의 소재와 모티브의 표현특성을 규명하고 그 표현특성이 도자작품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작품분석결과 대중문화속의 일상적인 대상의 이미지를 밝고 화려한 색채, 실크스크린, 레터링, 포토몽타주, 만화적 표현, 오브제, 콜라주, 데쿠파주 등의 기법들을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도자작품들이 대중 속에서 예술문화를 실현하고 보다 대중적인 소재와 심리를 표현하는 것에 가치를 두었다 사료되며 앞으로 도자예술이 팝아트 표현기법 위주의 재현이 아닌 예술적 가치를 재해석한 창의적 작품으로 창출되어 대중과 소통하는 문화예술로 더욱 발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White electroluminescent device by ZnS:Mn, Cu, Cl phosphors

  • 김종수;박재홍;김광철;권애경;박홍이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5-231
    • /
    • 2006
  • .고상반응법 (solid state reaction)합성된 ZnS:Mn,Cu,Cl 형광체는 약 $20^{\sim}25{\mu}m$ 의 구형이고, Cubic/hexagonal 구조를 보였다. Electroluminescent device(ELD)는 실크 스크린된 형광층(ZnS:Mn,Cu,Cl)/유전체층 ($BaTiO_3$)으로 구성되었으며, 각층은 $30^{\sim}50{\mu}m,\;50^{\sim}60{\mu}m$ 정도로 도포 하였다. 100 V-400 Hz 의 구동조건에서, ELD 의 백색 발광은 450 nm, 480 nm 픽에서 각각 $Cl_s{\to}Cu^{+}\;_{Zn},\;Cl_s{\to}Cu^{2+}\;_{Zn}$ 전이에 의해 중첩된 청색, 녹색 밴드의 발광과, 580 nm 픽에서 Mn 의 $^{4}T_1{\to}^{6}A_1$ 전이에 의한 황색 밴드의 발광으로 이루어진다. Cu 농도의 증가에 따라 450 nm 의 발광 밴드의 휘도는 감소하며 580 nm 의 발광 밴드의 휘도가 증가하였고 발광 휘도가 향상되었다. 즉, 색온도가 높은 cold white(10000 K)에서 색온도가 낮은 Warm white(3000 K) 로 변한다. 이것은 450 nm 의 발광 밴드가 580 nm 의 발광 밴드에 흡수되는 에너지 전이 (Energy transfer) 현상에 기인한다. ZnS:Mn,Cu,Cl 의 Mn 1.5 wt %, Cu 2.5 wt.% 에서 최적 발광 휘도를 보이며, 100 V-400 Hz 에서 약 $12cd/cm^2$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