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측값

Search Result 1,05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n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for River in Korea based on Measured Sediment Discharge Databas (실측 유사량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국내 하천의 유사이송 특성 분석)

  • Jang, Eun Kyung;Ji, Un;Yeo, Woon 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
    • /
    • 2017
  • 하천에서 발생하는 유사량은 공급능력이 흐름의 이송능력보다 지배적인 경우 같은 유량이 발생하더라도 유사량이 다르게 관측될 수 있다. 특히 국내 하천과 같이 홍수기가 특정기간에 편중되어 연중 유량발생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한다. 즉, 대부분의 연중발생 유사량이 홍수시에 이동하고 홍수발생 초기와 후기의 유사 공급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국내하천의 경우 이를 기존의 유사이송공식으로 정량적인 유사량 값을 추정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에서 실측한 유사량 자료를 종합하고 주요 지점별, 연도별, 계절별, 하천 유역별로 분류한 후 이를 분석하여 국내하천의 유사량 발생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측 유사량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하천의 주요지점에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측정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6개 지점 1,283개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4대강의 본류 대표지점으로 선정된 여주, 왜관, 공주, 나주지점을 대상으로 유량-총유사량 관계를 비교한 결과, 여주지점의 유량 증가에 따른 총유사량 증가 폭이 다른 대표지점들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반면, 나주지점의 경우 제일 작은 값을 보인다. 또한 본류의 유량-유사량 관계식의 지수 값이 본류와 지류를 모두 포함한 관계식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류에서는 본류보다 적은 유량이 발생하더라도 유사 이송량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이유는 본류와 지류에서 유사 이송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유량범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추정할 수 있다. 대표지점별 부유사 농도를 분석한 결과, 7월과 8월 부유사 농도에 비해 9월에 발생하는 부유사 농도가 현저히 낮은 값을 보이는데 이는 연중 홍수기 전반기에 유사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Soil Moisture Using Sentinel-1A/B SAR and Deep Learning Regression Model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Sentinel SAR 기반 고해상도 토양수분 산정)

  • Lee, Taehwa;Kim, Sangwoo;Chun, Beomseok;Jung, Youngh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4-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 SAR 센서 기반 이미지자료와 딥러닝기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토양수분을 산정하였다. 입력자료는 지표특성(모래함량, 점토함량, 경사도), 인공위성 기반의 강우와 LANDSAT 기반의 이미지자료(NDVI, LST, 공간분포 토양수분)를 사용하였다. 강우자료의 경우 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일강우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관측일 기준으로 5일전까지의 강우자료와 5일평균강우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LANDSAT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자료와 지점관측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검·보정 이후 딥러닝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는 30m × 30m 해상도로 Resample 하여 딥러닝 모형의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에 사용된 모형을 이용하여 Sentinel-1 기반의 고해상도(10m × 10m) 토양수분이미지를 산정하였다. 검증지점은 거창군 거창읍, 계룡시 두마면, 장수군 장수읍 및 무주군 무주읍 토양수분 관측지점을 선정하였다. 거창군 거창읍의 산정결과, LANDSAT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와 DNN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모의값(DNN 기반 토양수분)이 실측값(LANDSAT 기반의 토양수분)을 잘 반영한 것(R: 0.875 ; RMSE: 0.013)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모형을 토지피복이 유사한 지역에 적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한 결과 검증지점 계룡시(R: 0.897 ; RMSE: 0.014), 장수군(R: 0.770 ; RMSE: 0.024) 및 무주군(R: 0.909 ; RMSE: 0.012)의 모의값이 실측값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Seninel-1 SAR센서 이미지자료와 딥러닝기법을 연계한 고해상도 토양수분자료가 농업, 수문,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mulation of RVM characteristics using equivalent electrical circuit of transformer Oil and Paper (변압기내부 절연유의 전기적 등가회로 및 회복전압특성 해석)

  • Lee, Sei-Hyun;Han, Sang-Ok;Park, Ka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b
    • /
    • pp.55-57
    • /
    • 2007
  • 오일 변압기 내부의 절연물은 절연지, 프레스보드, 광유 또는 식물유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 기간과 과부하 조건에 따라 열화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내부 절연물의 열분해 및 가수분해로 인해 수분은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수분은 절연을 약하게 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해 기기의 고장 또는 정전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 내부 절연물의 주파수응답 특성과 절연상태 값을 바탕으로 변압기 내부를 전기적 소자로 등가화하였다. 그 후 등가화된 회로를 이용해 회복전압법의 원리에 따라 EMTP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극특성을 모의하였다. 실제 측정 값과의 비교를 위해 보고된 문헌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RVM을 이용한 실측값과 유사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따라서 본 시뮬레이션에 활용된 전기적 소자값을 변경함으로서 내부 절연물의 열화정도에 대한 기대 파형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omputation of Total Sediment Discharge with Measured Bed Load (소류사 실측에 의한 총유사량 산정)

  • Kang, Kyu-Sang;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47-751
    • /
    • 2009
  • 국내에서 비교적 널리 이용되고 있는 유사량 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왜관 수위관측소에서 부유사, 소류사, 하상토를 각각 채취하였다. 총유사량 산정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부유사, 소류사, 하상토, 수리량 등이며, 이로부터 실측 유사량과 모의 유사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 총유사량(세류사량 제외)을 부유사량과 소류사량의 합으로 산정하였으며, 추정 값은 Modified Einstein(1955), Engelund & Hansen(1967), Yang(1973, 1979), Ackers & White(1973)의 모형으로 각각 모의하였다. 실측치와 모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Ackers & White에서 비교적 가장 낮은 불일치율을 보였으며, Engelund & Hansen, Yang, Modified Einstein의 모의 결과는 Ackers & White 보다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 또한 불일치율이 가장 낮은 모델을 이용하여 유랑-유사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하여 연간 총유사량과 비유사량을 추정하였다.

  • PD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Irrigation Reservoir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관개특성 분석)

  • Kim, Dong-Ju;Park, Ki-Wook;Jo,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10-8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국내 적용을 위해 농업용저수지의 관개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 구축과 적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SWAT 모형의 입력자료는 토지이용도, 토양도, 강우관측자료를 사용하였으며 HOMWRS의 입력자료는 토지이용도, 강우 자료로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소규모의 관개용 저수지와 논농사가 주로 행하여지는 전형적인 우리나라의 농촌용수지구인 이동저수지 상부유역인 농업소유역에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지구는 관개지구의 환원수량, 저수지의 여수로 방류량 및 용수 사용량 등에 따라 저수지의 유입하천 및 하류하천의 장기유출량에 복잡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복잡한 농업용 소유역에서의 장기유출량 해석 기술을 정립하고자 이동저수지 유역을 12개의 대표적인 소유역으로 분할하였으며 우선적으로 저수지의 영향이 있고 없느냐에 따라 4개의 소유역인 미산교, 묵방교, 덕성교, 재인교의 소유역을 선정하였고 이 지점에서 관측된 장기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월별 장기유출량추정을 실시하였다. 추정한 결과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미산교, 묵방교에서의 일별, 월별장기유출량은 실측치와 매우 가까운 값을 보였다. 그러나 상류지점에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는 덕성교와 재인교에서의 장기유출량은 관측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실측값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에 이루어질 연구는 저수지의 영향, 환원수량, 관개수량이 장기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Advanced Gravity Model Using Accordance Rate Of Observed O-D Value and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실측 O-D값과 중력모형 재현 O-D값의 일치비율을 이용한 개선 중력모형 개발)

  • Ryu, Yeong-G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1
    • /
    • pp.287-295
    • /
    • 2013
  • This paper developed advanced gravity model for higher estimation accuracy, that deals with residuals. Previously studied paper using gravity model's residual, residual calculated that observed O-D value minus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and this residual added to the target year's estimated value from gravity model. In this paper, residuals calculated on gravity model parameter estimation process, and this residual is revealed the same value that observed O-D value devided by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And case study resulted that developed new gravity model that applied accordance rate of observed O-D value and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has higher estimation accuracy than other gravity models as basic gravity model and residual plused gravity model.

Evaluation of Reliability of Strain Gauge Measurements for Geosynthetics (토목섬유 보강재에 적용한 스트레인게이지 실측값의 신뢰성 평가)

  • Cho, Sam-Deok;Lee, Kwang-Wu;Li, Zhuang;Kim, Uk-Gie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4 no.4
    • /
    • pp.87-96
    • /
    • 2015
  • Geosynthetics are widely used in different ways such as reinforcement of structures in road, railway, harbor and dam engineering, drainage, separation and erosion prevention. They are especially applied to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slope or ground reinforcement. Recently, geosynthetics reinforced pile supported (GRPS) embankment was developed to improve stability and construability of embankments in railway engineering. Extension strains are usually measured by strain gauges adhered to geosynthetic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geosynthetics. However, the measurements are influenced by manufacturing method and stiffness of geosynthetics and also adherence of strain gauge. In this study, wide-width tensile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on three types of geosynthetics including geogrid, woven geotextile and non-woven geotextile. During the test, strains of geosynthetics were measured by both video extensometer and strain gauges adhered to the geosynthetics and the measured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show that the measured results by strain gauges have high reliability in case of large stiffness geosythetics like geogrid and woven geotextile, whereas they have very low reliability for small stiffness geosythetics like non-woven geotextile.

Arm Span-Height Relationship for Prediction of Spirometric Values in Korean Adult Women (우리나라 성인여성에서 정상 폐활량 예측을 위한 양팔벌린 손끝길이와 신장과의 관계)

  • Koh, Won-Jung;Ju, Young-Su;Kim, Tae-Yub;Park, Jae-Sung;Yu, Seung-Do;Choi, Kwaung-Soo;Paek, Do-Myung;Han, Sung-Koo;Shim, Young-S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6 no.6
    • /
    • pp.786-794
    • /
    • 1999
  • Back ground : Arm span measurements provide a practical substitute for standing height to predict normal spirometric values in subjects unable to stand or those with a skeletal deformity such as kyphoscoliosis. The relationship between arm span and height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as either a fixed ratio unaffected by age or as a regression equation in which the ratio varies as a function of age. The fixed ratio or regression equation is known to be specific for sex and race. Methods :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height, arm span, and age in 381 Korean adult female subjects (ages 20 to 69 yrs) sampled in a general population. Results : The mean ratio for arm span to height is 1.004. Multiple linear analysis found arm span and age to be predictive of standing height (p=0.0001, $r^2$=0.76). We performe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height using either fixed ratio or regression equation and actual height. At the extremes of arm span and age, the ratio method either underestimated(at smaller arm span or younger age) or overestimated(at larger arm span or older age) as compared with actual height (p=0.0001).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imated height using the fixed ratio method provides a less acceptable method of estimating height for the prediction of lung volumes in the Korean adult women when compared with the regression equations, especially at the extremes of stature or age.

  • PDF

Estimation of Friction Coefficients Based on Field Data (실측값에 근거한 마찰계수의 추정)

  • Jeon, Se Jin;Park, Jong Chil;Park, In Kyo;Shim, By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5A
    • /
    • pp.487-494
    • /
    • 2009
  • Friction coefficients of the prestressing tendon are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to control the prestressing force introduced to PSC structure during jacking. However, the friction coefficients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causing much confusion to designers. In this study, the ranges of the friction coefficients presented in domestic and foreign specifications are compared together to clarify the differences. Then, a procedure is proposed that can be used to estimate the wobble and curvature friction coefficients from field data such as elongation and prestressing force and from theory related to the friction. The procedure is applied to various tendon profiles of several PSC bridges constructed by ILM, FCM and MSS. The resulting values are compared with those presented in some specifications and assumed in jacking and a reasonable range of the friction coefficient is discussed. Lift-off tests are also performed in some bridges to further verify the results. The resulting wobble friction coefficients are not as small as those presented in AASHTO specifications but range from the lower limit to mid point of domestic specifications, while the curvature friction coefficients approach or slightly exceed the upper limit.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Geothermal Resources Assessment Using Landsat 7 ETM+ (Landsat 7 ETM+를 이용한 지열자원 평가 가능성 연구)

  • Oh, Il-Hwan;Lee, Tae-Jong;Kim, Kwang-Eun;Suh, Man-Cheol;Hong, Suk-Yo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13-118
    • /
    • 2008
  • 본 연구는 Landsat 7 ETM+를 이용한 지열자원 평가 가능성 연구로써, 위성영상의 열적외 밴드에서 추출된 지표온도와 지열자료의 비교를 통해 위성영상이 초기 지열 탐사에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열자원 부존 가능성 평가를 위해 경상도지역(114-35)의 여름시기영상(2001년8월24일)과 겨울시기영상(2000년3월14일)사이의 DN(Digital Number) 값을 이용하였으며, 두 시기영상은 시추공 온도자료 및 지형자료와 함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상에서 지표온도 추출을 위해 1) NASA에서 제공하는 지표온도 산출 경험식 ( T = K $_2$ / ln ( K $_1$ / L $_{\lambda}$ + 1 ) )을 이용한 방법과 2)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실제 지표면온도 관측자료(n=7)를 이용해 영상의 화소(Pixel) 값을 계산하여 실측값과 비교하였다. 3월과 8월 모두 Ground Truth 방법에 따라 추정한 지표면 온도값이 실측값과 더 가깝게 나타났고, 특히 3월은 NASA의 경험식을 이용했을 때 보다 실측 지표면 온도에 훨씬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온도의 일변화(Diurnal ${\triangle}$T)는 지표 열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일변화(Diurnal ${\triangle}$T) 보다는 지열의 영향이 더 클 것으로 기대되는 계절변화(Seasonal ${\triangle}$T)를 이용하여 지열 자료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계절변화(Seasonal ${\triangle}$T)는 고도에 영향을 받으며, 일사량에 의한 차이는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위성영상에서 계절변화(Seasonal ${\triangle}$T)와 심도 20m 온도를 비교해 본 결과결정계수(R$^2$)는 0.46으로 낮지만 심도 20m 온도가 높을수록 계절변화(Seasonal ${\triangle}$T)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지열자원 탐사에 있어 위성영상 적용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기초단계로서 두 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초기 지열자원탐사에 가능성만을 연구했지만, 지형과 특히 토지피복(함수량 등)에 의한 영향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