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천학

검색결과 1,781건 처리시간 0.027초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Archival Activism :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Case of Occupy Wall Street Movement)

  • 이현정
    • 기록학연구
    • /
    • 제42호
    • /
    • pp.213-243
    • /
    • 2014
  • 최근 기록학계에는 배제된 소수의 기록화와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공동체, 일상, 정치사회적 운동, 인권 등에 대한 다양한 기록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학 실천주의는 근래 들어 새로이 형성되었다기보다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학문적 사회적 영향에 따라 변모되어왔다. 최근의 기록학 실천주의는 디지털 환경과 맞물려 기관, 지역을 넘어서 전세계적, 주류/비주류를 아우르는 모양새로 다방면에서 진행중이다.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4.16참사는 우리나라 기록공동체에게도 여러 과제를 안겨주었다. 증거, 치유의 기록에 대한 성찰적 접근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 글은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사례를 통해 동시대 기록화에 대한 과제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록학 실천주의의 개념, 그 기원과 의미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활동 사례를 통해 기록학 실천주의를 수행하는 기록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 구축에 관한 질적 연구 (Building a Community of Practice of Research Data Curators: A Qualitative Study)

  • 한나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19-152
    • /
    • 2022
  •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주요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하여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 구축 및 유지 활동을 포함한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활동 및 해당 실천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도전 과제, 그리고 실천공동체를 성공적으로 구축 및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해당 연구는 다중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사례 연구 방법은 문서 분석과 인터뷰 자료 분석을 포함한다.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의 활동에는 크게 큐레이션 활동, 교육 활동 및 의사소통 활동이 존재한다.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참여자들은 크게 기관으로 가입하는 경우와 개인 자격으로 가입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뉘며, 이들이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동기는 외적 동기에서 내적 동기까지 다양하게 파악된다.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가 갖는 3가지 유형의 모순 및 도전 과제를 파악하고 총 14가지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는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를 구축 및 유지하기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며, 특정 집단을 기반으로 구성된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활동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천공동체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확장한다.

김만두 비평 -그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 중심으로- (A Critique on Kim, Mandoo -Based on His Social Work Practice and Literatures-)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271-294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발전 상황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천과 연구를 겸비한 김만두를 선정하여 그의 인물비평을 실시하였다. 이 인물비평 방법은 문학비평에서 빌려와 김만두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김만두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에서 각기 5개와 6개 주제를 도출하고, 이들 주제를 결합해 다시 5개 주제(통합적 접근 강조, 미국과 일본 사회복지의 아우름, 사회복지학의 선순환적 형성, 사회복지학의 패러다임 전환, 실천과 연구 조화의 미완)를 도출 해석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김만두의 사회복지실천이 사회복지제도를 넘나들며 정제됨, 1960-90년대 한국 사회복지의 한 단면이 드러남, 1960년대 아동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짐, 당시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사회복지학의 구성을 달리함 들을 논의하였다.

  • PDF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와 실천 사례 (Exploring Self-Study and Its Application to Enhance Instructional Expertise in Mathematics)

  • 박영은;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467-488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의 자기연구를 소개하고 그에 따른 연구 사례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자기연구의 개념과 특성, 방법을 소개하고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신장 방법으로써 자기연구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교사들이 수학수업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기연구 실천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연구 실천 매뉴얼을 따라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연구를 실천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례를 통하여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자기연구를 실천하려는 교사들에게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지식경영의 실천 : H사 정도통신 운영팀의 경우 (Practice of Knowledge Management: A Cas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Operation Department of H Company)

  • 김두섭;배재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520-52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업 구성원들이 지식경영을 실천하는데 필수적인, 구체적 방안과 그 사례연구를 제시한다. 그 실천방안은 현업에서 쓰고 있는 암묵지를 명시지로 변환하고 이를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식경영이론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H사 지식경영의 방식을 전사적 차원의 접근방식이라면, 본 논문에서는 실무자중심에서 상향식으로 지식경영을 실천해 가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H사의 정보통신운영부의 통합배선과 업무에 지식경영을 적용하여 실제의 부서 지식경영 방침을 수립하였다. 이로써 발전된 전사적 지식경영시스템에 대한 향후 과제도출과 이해를 도모하였다.

  • PDF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위한 PCK 구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Developed by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 양정은;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5-5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한 5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1년간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과학 실천 수업에 관한 어떠한 PCK를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협력적인 수업 설계, 수업 실행 공유 및 성찰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을 시행하고,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에 참여 관찰 및 녹음을 하고, 수업계획안, 과학 실천 수업 녹화 영상, 수업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PCK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고 수정하여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실천 교육과정, 과학 실천 교수 전략,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 과학 실천 학습평가의 네 가지 PCK 요소에 포함된 총 11개 하위 요소의 PCK를 구성한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과학 실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교육과정 자료에 관한 지식, 핵심 개념 선정 및 교육과정 구조화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고, 과학 실천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특이적 전략, 과학 실천 활동 선정 및 구조화 전략, 과학 실천 학습 가이드 전략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다.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선지식, 과학 실천 수행 어려움, 과학 실천 동기, 과학 실천 수행 다양성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고, 과학 실천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학습 평가내용, 과학 실천 학습 평가 방법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구성한 과학 실천 수업 PCK는 학생들의 과학 실천을 통한 핵심 개념 학습을 위해 고도로 구조화된 지식으로 사료된다.

기억의 기록학적 의미와 실천 (Meaning of Memory in Archival Activism)

  • 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67호
    • /
    • pp.267-318
    • /
    • 2021
  • 이 연구는 기록학에서의 기억 접근법을 기록전문직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국내외 기록학계의 기억 연구들을 토대로 실천 영역별로 나누고 이를 모형화하였다. 기억 연구들이 제시하는 실천 영역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 기억기관(사회적 기억의 형성자 역할), 둘째, 기억투쟁(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기록활동), 셋째, 회복적 기억(사회적 참사나 인권침해 피해자들의 트라우마 기억 치유를 기록활동), 넷째, 기억과정(공동체 정체성을 추구하는 기록활동)이다. 또한 각 범주 별로 의미와 쟁점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실천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기록전문성의 개입을 통한 실천과 정치사회적 실천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A Critical Study on the Three Models of Practical Theolog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

  • 장신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25-48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비판적 상관관계신학 유형"(쉐릴, 힐트너, 브라우닝), "해석학적 유형"(그룸, 거킨), "신앙공동체적 형성 유형"(웨스터호프, 켐벨) 등과 같은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실천신학의 대표적인 세 가지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먼저, 각 유형별로 기독교교육학, 목회상담학, 그리고 설교학 분야에서 2-3명의 대표적 학자를 선별하여 중심 사상을 유형별 특징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응답, 신학과의 관계, 학제적 대화, 그리고 실천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각 유형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결론 및 제언 : 각 유형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실천신학으로서 오늘의 기독교교육의 핵심 과제는 포스트 시대의 여러 도전에 대한 적극적 응답, 오늘의 다양한 신학과의 상호적 대화, 횡단적 합리성에 기초한 학제적 대화, 개인적, 교회적, 사회적, 공적, 생태적, 더 나아가 디지털 차원까지 포괄하는 기독교적 실천 개념의 정립 등임을 제안하였다.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The nature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 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3-206
    • /
    • 2006
  • 2006년 현재 제 7차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5년 12월 개최된 공청회 안에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이 일부 수용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접근방법은 현장에 널리 확산되지 못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접근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정과교육에서 다루는 문제는 어떤 본질을 갖는지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틀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주제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문제해결 교수 학습모형이나 실천적 추론 모형과 동일한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 종래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요소는 동일한데 왜 새로운 접근방법의 교육과정이 필요한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부정적 문제만을 다루는가?; 실천적 문제중심 교육과정은 개념, 원리, 지식, 이론 등을 간과하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기능이나 기술적인 측면은 다루지 않는가?; 전통적인 가정과의 내용을 간과하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통합적 교육과정만을 추구하는가?; 제 7차 부분 개정의 공청회 안에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가정과의 성격이나 내용을 도덕과나 사회과와 유사하게 변화시키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소수의 학자들만이 선호하는 교육과정인가? 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지 그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