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Archival Activism :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Case of Occupy Wall Street Movement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9.29
  • Accepted : 2014.10.18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Recently in the field of archival science, a variety of documentation issues about community, everyday life,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and human rights are under discussion focusing on minorities' docu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justice. Those issues are especially focused on documentation about minorities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justice. These Archival Activism is evolved from academic and social influence since the late 1960s rather than recent changes. The recent Archival Activism is under way in various fields and forms that encompasses both aspects of the mainstream/fringe groups over the world beyond organizations and areas. 4.16 disaster put archival community in korea many challenges. Now is the time to approach with reflections on records of evidence and heal. This study seeks contemporary documentation's assignments through the documentation case of Occupy Wall Street Movement. Firstly, it examines on concept of Archival Activism, origins, and developments. And Based on the documentation case of Occupy Wall Street Movement, it investigates a role of the archival profession carrying out Archival Activism.

최근 기록학계에는 배제된 소수의 기록화와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공동체, 일상, 정치사회적 운동, 인권 등에 대한 다양한 기록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학 실천주의는 근래 들어 새로이 형성되었다기보다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학문적 사회적 영향에 따라 변모되어왔다. 최근의 기록학 실천주의는 디지털 환경과 맞물려 기관, 지역을 넘어서 전세계적, 주류/비주류를 아우르는 모양새로 다방면에서 진행중이다.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4.16참사는 우리나라 기록공동체에게도 여러 과제를 안겨주었다. 증거, 치유의 기록에 대한 성찰적 접근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 글은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사례를 통해 동시대 기록화에 대한 과제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록학 실천주의의 개념, 그 기원과 의미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활동 사례를 통해 기록학 실천주의를 수행하는 기록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3. 1970년대 여성 노동자 아카이빙 방법론 연구 전시 <Women & Work :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를 중심으로 vol.63, pp.None,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45
  4. '다큐멘터리 아카이빙' 연구 서울기록원의 수집 사례를 중심으로 vol.65, pp.None,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0.65.227
  5. 기록과 기억의 재현 삼중의 미메시스로 실재읽기 vol.69,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21.69.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