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선주. 2009. 미국 교과서의 1,2차 대전과 베트남전쟁 기억 만들기. 기억과 전쟁 : 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전진성, 이재원 엮음. 서울: 휴머니스트, 59-91.
- 곽은희. 2020. 재난의 기록, 기억을 통한 연대. 인문연구(인문과학연구소), 92, 59-94.
- 권기숙. 2001. 제주 4.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 35(5), 204-205.
- 김동춘. 2013.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 한국전쟁과 학살, 그 진실을 찾아서. 서울: 사계절.
-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기록학연구, 42, 3-35. https://doi.org/10.20923/kjas.2014.42.003
- 김지아. 2018. 공동체아카이빙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 기록학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진경.김유승. 2017. 사회적 기억을 위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이해관계자 면담 연구. 기록학연구, 54, 249-287. https://doi.org/10.20923/kjas.2017.54.249
- 박찬승 엮음. 2017.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 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 박현선. 2020. 재난, 아카이브, 이미지: 재난 기억의 문화적 실천. 한국극예술연구, 68, 231-257.
-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https://doi.org/10.20923/kjas.2014.42.287
- 설문원. 2020. 북한의 일상생활과 '문화 아카이빙'. 기록학연구, 65, 321-363. https://doi.org/10.20923/kjas.2020.65.321
- 설문원, 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 송에스더. 2020. 중대한 인권침해시의 배상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20(2), 79-127.
- 신동희, 김유승.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41
- 엄기호. 2018.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 : 고통과 함께함에 대한 성찰. 서울: 나무연필.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세계기록유산. 검색일자 : 2020.12 20. https://heritage.unesco.or.kr/
-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03
- 윤은하, 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57
- 윤지환, 김숙진. 2020. 기억의 선택적 재현과 다층적 기억 해석을 둘러싼 갈등 :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유네스코 등재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2(2), 116-132.
- 이경래. 2015.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기록학연구, 46, 5-44. https://doi.org/10.20923/kjas.2015.46.005
- 이경래, 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045
- 이승억. 2013. 경계 밖의 수용 :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록학연구, 38, 189-223. https://doi.org/10.20923/kjas.2013.38.189
- 이승억. 2013.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진상규명과 기억을 둘러싼 투쟁(서평: 김동춘저,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기록학연구, 38, 311-316. https://doi.org/10.20923/kjas.2013.38.311
-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21-254. https://doi.org/10.20923/kjas.2008.18.221
-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https://doi.org/10.20923/kjas.2012.31.003
- 이영남. 2019.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기록학연구, 59, 207-275.
- 이영남. 2020. 홍동허스토리의 방법과 의미, 기록학연구, 65, 253-319. https://doi.org/10.20923/kjas.2020.65.253
- 이정연. 2015. 인권기록유산 가치와 지평의 확산: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5, 121-153. https://doi.org/10.20923/kjas.2015.45.121
- 이종흡. 2018. 서양 기록학계의 기억담론 : 아카이브 병을 전후로. 역사와 경계(부산경남사학회), 109, 453-487.
-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https://doi.org/10.20923/kjas.2014.42.213
- 이현정. 2017, 참여와 개입 : 공동체 아카이빙 윤리의 모색. 한국기록학회 제117회 월례연구발표회 발표문.
- 임지현. 2019. 기억 전쟁 : 가해자는 어떻게 희생자가 되었는가. 서울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 장대환, 김익한. 2019.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기록학연구, 59, 277-320.
- 전진성. 2009. 트라우마의 귀환. 기억과 전쟁 : 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전진성, 이재원 엮음. 서울: 휴머니스트, 13-55.
- 정근식. 2013.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 정근식. 2014.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 정은진. 2017. 치유로서 기록관리 제안. 한국기록학회 제117회 월례발표회 <기록학과 전문직 종사자의 정체성 모색> 발표문
- 정원옥. 2018. 다음세대에 의한 과거청산 : 의문사유가족 아카이브 작업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74, 65-88.
- 정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편. 2010.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 조민지. 2011. 기억의 재현과 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 담론의 새로운 방향. 기록학연구, 27, 89-118. https://doi.org/10.20923/kjas.2011.27.089
- 최정은. 2011.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그리고 아키비스트. 기록학연구, 30, 3-55. https://doi.org/10.20923/kjas.2011.30.003
- 한국기록학회 엮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
- 홍은성. 2019. 기록학의 지식구조 분석 : 전문용어사전과 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astian J. A. 2003. Owning Memory: How a Caribbean Community Lost its Archives and Found its History. Westport(CT), Libraries Unlimited.
- Bastian, J. A. 2006. Reading Colonial Records through an Archival Lens: the Provenance of Place Space and Creation. Archival Science, 6(3-4), 267-284. https://doi.org/10.1007/s10502-006-9019-1
- Bastian, J. A. 2009. Flowers for Homestead: a Case Study in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American Archivists, 72(1), 113-132. https://doi.org/10.17723/aarc.72.1.k751734304667050
- Brothman, B. 2001. The Past that Archives Keep: Memory, History and the Preservation of Archival Records. Archivaria (51): 48-80
- Caswell, M. 2010. Khmer Rouge Archives: Accountability, Truth, and Memory in Cambodia. Archival Science, 10(1), 25-44. https://doi.org/10.1007/s10502-010-9114-1
- Cox, R. J. 1993. The Concept of Public Memory and its Impact. Archivaria 36:122-135
- Cox, R. J. 2005. Public Memory Meets Archival Memory: The Interpretation of Williamsburg's Secretary's Office. American Archivists, 68, 279-296. https://doi.org/10.17723/aarc.68.2.a4434884785t2h88
- Flinn, Andrew. 2007. Community Histories, Community Archives: So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8(2), 151-176. https://doi.org/10.1080/00379810701611936
- Flinn, Andrew. 2011. Archival Activism: Independent and Community-led archives, Radical Public History and the Heritage Profession. interActions: UCLA Journa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7(2). 검색일자 : 2020. 12. 1. https://escholarship.org/uc/item/9pt2490x
- Foote, K. 1990. To Remember and Forget: Archives, Memory, and Culture. American Archivists, 53(3), 378-392. https://doi.org/10.17723/aarc.53.3.d87u013444j3g6r2
- Halbwachs, Maurice. 1992. On Collective Memory. Translated and edited by Lewis A. Cos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Harris, Verne. 1997. Claiming Less Delivering More: a Critique of Positivist Formulations on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ria, 44, 132-141.
- Harris, Verne. 2002. The Archival Sliver: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l Science, 2(1), 63-86. https://doi.org/10.1007/BF02435631
- Hedstrom, Margaret. 2010.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More than a Metaphor, Less than an Analogy. In: Eastwood, Terry and MacNeil, Heather. eds.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Libraries Unlimited. 163-179.
- Hedstrom, Margaret. 2002. Archives, Memory, and Interfaces with the Past. Archival Science, 2(1-2), 21-43. https://doi.org/10.1007/BF02435629
- Jacobsen, Trond; Punzalan, Ricardo L.; Hedstrom, Margaret L. 2013. Invoking ''Collective Memory'': Mapping the Emergence of a Concept in Archival Science. Archival Science, 13, 217-251. https://doi.org/10.1007/s10502-013-9199-4
- Jimerson, Randal.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n.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 적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Josias, A. 2011.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Archival Science, 11(1-2), 95-112. https://doi.org/10.1007/s10502-011-9136-3
- Ketelaar, Eric. 2008. Archives as Spaces of Memory. Journal of Society of Archivists, 29(1), 9-27. https://doi.org/10.1080/00379810802499678
- Ketelaar, Eric. 2014. Archives, Memories and Identities. In: Brown, Caroline. eds. Archives and Recordkeeping : Theory into Practice. London: Facet. 131-170.
- Millar, Laura. 2006. Touchston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Archives. Archivaria, 61, 105-126.
- Nannelli, E. 2009. Memory, Records, History: The Records of the Commission for Reception, Truth, And Reconciliation in Timor-Leste. Archival Science, 9(1), 29-41. https://doi.org/10.1007/s10502-009-9103-4
- Nora, Pierre. 1989.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emoire. Representations, 26(Special Issue: Memory and Counter-Memory), 7-24. https://doi.org/10.2307/2928520
- Procter, Margaret. 2017. Protecting Rights, Asserting Professional Identity. Archives and Records, 38(2), 296-309. https://doi.org/10.1080/23257962.2017.1285754
- Schwartz, Joan and Cook, Terry.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the Making of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1-2), 1-19. https://doi.org/10.1007/BF02435628
- Taylor, Hugh A. 1982. The Collective Memory: Archives and Libraries As Heritage. Archivaria, 15, 118-125.
- UCL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2020. Student Handbook, 2020-21. 검색일자 : 2021. 1. 20. https://is.gseis.ucla.edu/media/StudentHandbook2020-2021.pdf
- Valderhaug, G. 2011. Memory Justice and the Public Record. Archival Science, 11(1-2), 13-23 https://doi.org/10.1007/s10502-010-9110-5
- Wallace DA. 2011. Introduction: memory ethics-or the presence of the past in the present. Archival Science, 11, 1-12. https://doi.org/10.1007/s10502-011-9140-7
- Weitekamp, Elmar G. M. et al. 2006. How to Deal with Mass Victimization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A Restorastive Justice Approach. NATO Security through Science Series-E: Human and Societal Dynamics, Volume 13: LargeScale Victimisation as a Potential Source of Terrorist Activities, 217-241.
- Wilson, Ian. 1990. Toward a Vision of Archival Services, Archivaria, 31, 9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