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ning of Memory in Archival Activism

기억의 기록학적 의미와 실천

  •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20.12.31
  • Accepted : 2021.01.22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emory approach" has affected archival methodology and activities, and suggest the directions of archival activities in each fiel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the memories and collective memories in Archiv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m more practically from the viewpoint of archival activism. In this study, the memory approaches in archival discourse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erms of archival activism; i) the role of archives as social memory organizations, ii) the memory struggle for finding out the truth of the past, iii) archival activities of restorative justice for people who suffer from trauma memories after social disaster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v) the memory process of communities' archiving for strengthening community identities. The meaning and issues are analyzed for each category, and the practice based on archival expertise and political and social practices are examined together as necessary competencies for archival activism.

이 연구는 기록학에서의 기억 접근법을 기록전문직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국내외 기록학계의 기억 연구들을 토대로 실천 영역별로 나누고 이를 모형화하였다. 기억 연구들이 제시하는 실천 영역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 기억기관(사회적 기억의 형성자 역할), 둘째, 기억투쟁(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기록활동), 셋째, 회복적 기억(사회적 참사나 인권침해 피해자들의 트라우마 기억 치유를 기록활동), 넷째, 기억과정(공동체 정체성을 추구하는 기록활동)이다. 또한 각 범주 별로 의미와 쟁점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실천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기록전문성의 개입을 통한 실천과 정치사회적 실천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주. 2009. 미국 교과서의 1,2차 대전과 베트남전쟁 기억 만들기. 기억과 전쟁 : 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전진성, 이재원 엮음. 서울: 휴머니스트, 59-91.
  2. 곽은희. 2020. 재난의 기록, 기억을 통한 연대. 인문연구(인문과학연구소), 92, 59-94.
  3. 권기숙. 2001. 제주 4.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 35(5), 204-205.
  4. 김동춘. 2013.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 한국전쟁과 학살, 그 진실을 찾아서. 서울: 사계절.
  5.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기록학연구, 42, 3-35. https://doi.org/10.20923/kjas.2014.42.003
  6. 김지아. 2018. 공동체아카이빙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 기록학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진경.김유승. 2017. 사회적 기억을 위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이해관계자 면담 연구. 기록학연구, 54, 249-287. https://doi.org/10.20923/kjas.2017.54.249
  8. 박찬승 엮음. 2017.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 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9. 박현선. 2020. 재난, 아카이브, 이미지: 재난 기억의 문화적 실천. 한국극예술연구, 68, 231-257.
  10.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https://doi.org/10.20923/kjas.2014.42.287
  11. 설문원. 2020. 북한의 일상생활과 '문화 아카이빙'. 기록학연구, 65, 321-363. https://doi.org/10.20923/kjas.2020.65.321
  12. 설문원, 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13. 송에스더. 2020. 중대한 인권침해시의 배상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20(2), 79-127.
  14. 신동희, 김유승.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41
  15. 엄기호. 2018.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 : 고통과 함께함에 대한 성찰. 서울: 나무연필.
  16.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세계기록유산. 검색일자 : 2020.12 20. https://heritage.unesco.or.kr/
  17.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03
  18. 윤은하, 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57
  19. 윤지환, 김숙진. 2020. 기억의 선택적 재현과 다층적 기억 해석을 둘러싼 갈등 :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유네스코 등재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2(2), 116-132.
  20. 이경래. 2015.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기록학연구, 46, 5-44. https://doi.org/10.20923/kjas.2015.46.005
  21. 이경래, 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045
  22. 이승억. 2013. 경계 밖의 수용 :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록학연구, 38, 189-223. https://doi.org/10.20923/kjas.2013.38.189
  23. 이승억. 2013.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진상규명과 기억을 둘러싼 투쟁(서평: 김동춘저,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기록학연구, 38, 311-316. https://doi.org/10.20923/kjas.2013.38.311
  24.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21-254. https://doi.org/10.20923/kjas.2008.18.221
  25.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https://doi.org/10.20923/kjas.2012.31.003
  26. 이영남. 2019.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기록학연구, 59, 207-275.
  27. 이영남. 2020. 홍동허스토리의 방법과 의미, 기록학연구, 65, 253-319. https://doi.org/10.20923/kjas.2020.65.253
  28. 이정연. 2015. 인권기록유산 가치와 지평의 확산: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5, 121-153. https://doi.org/10.20923/kjas.2015.45.121
  29. 이종흡. 2018. 서양 기록학계의 기억담론 : 아카이브 병을 전후로. 역사와 경계(부산경남사학회), 109, 453-487.
  30.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https://doi.org/10.20923/kjas.2014.42.213
  31. 이현정. 2017, 참여와 개입 : 공동체 아카이빙 윤리의 모색. 한국기록학회 제117회 월례연구발표회 발표문.
  32. 임지현. 2019. 기억 전쟁 : 가해자는 어떻게 희생자가 되었는가. 서울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33. 장대환, 김익한. 2019.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기록학연구, 59, 277-320.
  34. 전진성. 2009. 트라우마의 귀환. 기억과 전쟁 : 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전진성, 이재원 엮음. 서울: 휴머니스트, 13-55.
  35. 정근식. 2013.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36. 정근식. 2014.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37. 정은진. 2017. 치유로서 기록관리 제안. 한국기록학회 제117회 월례발표회 <기록학과 전문직 종사자의 정체성 모색> 발표문
  38. 정원옥. 2018. 다음세대에 의한 과거청산 : 의문사유가족 아카이브 작업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74, 65-88.
  39. 정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편. 2010.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40. 조민지. 2011. 기억의 재현과 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 담론의 새로운 방향. 기록학연구, 27, 89-118. https://doi.org/10.20923/kjas.2011.27.089
  41. 최정은. 2011.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그리고 아키비스트. 기록학연구, 30, 3-55. https://doi.org/10.20923/kjas.2011.30.003
  42. 한국기록학회 엮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
  43. 홍은성. 2019. 기록학의 지식구조 분석 : 전문용어사전과 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astian J. A. 2003. Owning Memory: How a Caribbean Community Lost its Archives and Found its History. Westport(CT), Libraries Unlimited.
  45. Bastian, J. A. 2006. Reading Colonial Records through an Archival Lens: the Provenance of Place Space and Creation. Archival Science, 6(3-4), 267-284. https://doi.org/10.1007/s10502-006-9019-1
  46. Bastian, J. A. 2009. Flowers for Homestead: a Case Study in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American Archivists, 72(1), 113-132. https://doi.org/10.17723/aarc.72.1.k751734304667050
  47. Brothman, B. 2001. The Past that Archives Keep: Memory, History and the Preservation of Archival Records. Archivaria (51): 48-80
  48. Caswell, M. 2010. Khmer Rouge Archives: Accountability, Truth, and Memory in Cambodia. Archival Science, 10(1), 25-44. https://doi.org/10.1007/s10502-010-9114-1
  49. Cox, R. J. 1993. The Concept of Public Memory and its Impact. Archivaria 36:122-135
  50. Cox, R. J. 2005. Public Memory Meets Archival Memory: The Interpretation of Williamsburg's Secretary's Office. American Archivists, 68, 279-296. https://doi.org/10.17723/aarc.68.2.a4434884785t2h88
  51. Flinn, Andrew. 2007. Community Histories, Community Archives: So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8(2), 151-176. https://doi.org/10.1080/00379810701611936
  52. Flinn, Andrew. 2011. Archival Activism: Independent and Community-led archives, Radical Public History and the Heritage Profession. interActions: UCLA Journa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7(2). 검색일자 : 2020. 12. 1. https://escholarship.org/uc/item/9pt2490x
  53. Foote, K. 1990. To Remember and Forget: Archives, Memory, and Culture. American Archivists, 53(3), 378-392. https://doi.org/10.17723/aarc.53.3.d87u013444j3g6r2
  54. Halbwachs, Maurice. 1992. On Collective Memory. Translated and edited by Lewis A. Cos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5. Harris, Verne. 1997. Claiming Less Delivering More: a Critique of Positivist Formulations on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ria, 44, 132-141.
  56. Harris, Verne. 2002. The Archival Sliver: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l Science, 2(1), 63-86. https://doi.org/10.1007/BF02435631
  57. Hedstrom, Margaret. 2010.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More than a Metaphor, Less than an Analogy. In: Eastwood, Terry and MacNeil, Heather. eds.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Libraries Unlimited. 163-179.
  58. Hedstrom, Margaret. 2002. Archives, Memory, and Interfaces with the Past. Archival Science, 2(1-2), 21-43. https://doi.org/10.1007/BF02435629
  59. Jacobsen, Trond; Punzalan, Ricardo L.; Hedstrom, Margaret L. 2013. Invoking ''Collective Memory'': Mapping the Emergence of a Concept in Archival Science. Archival Science, 13, 217-251. https://doi.org/10.1007/s10502-013-9199-4
  60. Jimerson, Randal.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n.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 적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 Josias, A. 2011.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Archival Science, 11(1-2), 95-112. https://doi.org/10.1007/s10502-011-9136-3
  62. Ketelaar, Eric. 2008. Archives as Spaces of Memory. Journal of Society of Archivists, 29(1), 9-27. https://doi.org/10.1080/00379810802499678
  63. Ketelaar, Eric. 2014. Archives, Memories and Identities. In: Brown, Caroline. eds. Archives and Recordkeeping : Theory into Practice. London: Facet. 131-170.
  64. Millar, Laura. 2006. Touchston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Archives. Archivaria, 61, 105-126.
  65. Nannelli, E. 2009. Memory, Records, History: The Records of the Commission for Reception, Truth, And Reconciliation in Timor-Leste. Archival Science, 9(1), 29-41. https://doi.org/10.1007/s10502-009-9103-4
  66. Nora, Pierre. 1989.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emoire. Representations, 26(Special Issue: Memory and Counter-Memory), 7-24. https://doi.org/10.2307/2928520
  67. Procter, Margaret. 2017. Protecting Rights, Asserting Professional Identity. Archives and Records, 38(2), 296-309. https://doi.org/10.1080/23257962.2017.1285754
  68. Schwartz, Joan and Cook, Terry.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the Making of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1-2), 1-19. https://doi.org/10.1007/BF02435628
  69. Taylor, Hugh A. 1982. The Collective Memory: Archives and Libraries As Heritage. Archivaria, 15, 118-125.
  70. UCL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2020. Student Handbook, 2020-21. 검색일자 : 2021. 1. 20. https://is.gseis.ucla.edu/media/StudentHandbook2020-2021.pdf
  71. Valderhaug, G. 2011. Memory Justice and the Public Record. Archival Science, 11(1-2), 13-23 https://doi.org/10.1007/s10502-010-9110-5
  72. Wallace DA. 2011. Introduction: memory ethics-or the presence of the past in the present. Archival Science, 11, 1-12. https://doi.org/10.1007/s10502-011-9140-7
  73. Weitekamp, Elmar G. M. et al. 2006. How to Deal with Mass Victimization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A Restorastive Justice Approach. NATO Security through Science Series-E: Human and Societal Dynamics, Volume 13: LargeScale Victimisation as a Potential Source of Terrorist Activities, 217-241.
  74. Wilson, Ian. 1990. Toward a Vision of Archival Services, Archivaria, 31, 9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