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제와 형식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Application Method of Curvilinear Coordinate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River Network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의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

  • You, Ho Ju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5-195
    • /
    • 2019
  • 최근 센싱 기술과 정보화의 영향으로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점, 선, 면으로 구성된 자료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로 관리하는 레이어 형식으로 저장하여 자료를 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최근에는 영상자료, 시계열자료 등 기존의 자료와 다른 비구조적 형태의 자료가 발생함에 따라 하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하천공간정보를 관계형 구조로 설계하고 있다. 하천의 경우, 각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고유의 값을 활용하여 인접한 하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천의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하천공간정보들을 관계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성은 자료의 저장, 관리, 제공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기하학적인 고려가 없기 때문에 공간정보로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쉽게 설명하면, 1차원 점에 해당하는 공간좌표는 가장 가까운 하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관계성 부여가 가능하지만, 2차원 선과 3차원 면에 해당하는 도형을 대표하는 위치가 공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관계성을 부여하되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기하하적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하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천은 실제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직교좌표계를 활용하기 보다는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많은 수치해석 모형에서는 곡선좌표계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도로나 교통 분야의 공간정보에서도 공간적 고려를 위해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흐름방향 거리를 S, 횡방향 거리를 N으로 설정하여 곡선좌표계를 정의하였으며, 직교좌표계와 곡선좌표계간의 좌표변환을 위해 이차원 변환방법인 투영변환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할 경우,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자료 간의 관계성을 유지하며, 기하하적 고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ovel System Modeling and Design by using Eclect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based on Data-centric Analysis (전기차 충전인프라 및 데이터 연계 분석에 의한 시스템 모델링 및 실증 설계)

  • Kim, Hangsub;Park, Homin;Jeong, Taikyeong;Lee, Woongjae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0 no.2
    • /
    • pp.51-59
    • /
    • 2019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ging operation system and electricity charges connected with charging infrastructure among data of many demonstration projects focused on electric vehicles recently. At this point in time,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the electric charging infrastructure that will take place in the future, we can prepare for an upcoming era in the sense of forecasting the demand value. At the same time, demonstrating and modeling optimized system modeling centering on sites is a prerequisite. The modeling based on the existing small - scale simulation and the design of the operating system are based on the data linkage analysis.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new optimized system modeling and introduced it as a standard format to analyze time - dependent time - divisional data for each vehicle and user in each point and node. In order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optimization based on the data linkage analysis for the actual implemented electric car charging infrastructure and operation system.

A Study on Constructing Preferred Titles and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Religious Works (종교저작의 우선표제 및 전거형접근점 적용 방안)

  • Jee-Hyun R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4 no.4
    • /
    • pp.105-12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ferred title and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religious works with sample bibliographic data and authority data. To this end, this study (1) reviewed RDA and recently revised KCR as cataloging rules, (2) investigated the preferred titles and authorized access points of religious works in major national libraries as a case study, and finally (3) suggested a method for constructing preferred titles and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religious works in Korean libraries using sample data.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additional email inquiry with the catalog librarian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preferred titles and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religious works were proposed in the form of KORMARC bibliographic and authority data.

Experimental Vibration Analysis of Vehicle Body-Engine Systems by Transfer Function Synthesis Method (전달함수합성법에 의한 차체-엔진계의 실험적 진동해석)

  • 정의봉;안세진;김원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289-295
    • /
    • 1995
  • 구조물의 동적부하에 대한 동적변형 응답을 정확히 예측하고, Over Design이나 Under Design이 아닌 합리적인 설계방안의 개발은 중요한 과제이다. 동적강도해석이나 소음 승차감과 같은 진동 및 충격에 기인하는 제반 문제를 복잡한 구조물을 대상으로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Dynamic Design Analysis는 높은 신뢰성의 추구와 더불어 필요불가결한 기술이 되고 있다. 동적해석 방법으로는 현재 유한요소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범용 프로그램들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특히 동적문제에 있어서는 형상이나 거동이 복잡한 구조물의 경우, 또는 차량의 차체와 같이 많은 장착물이 부착된 경우에는 유한요소법의 적용이 곤란하여, 지금까지 대처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비교적 용이하고 간단하게 적용가능한 진동실험을 기초로 한 구조물의 동적 응답해석 및 설계 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시험으로 얻어진 부분구조물의 응답특성과 결합특성으로부터 결합 후의 응답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전달함수합성이론을 기초로하여 프로그래밍 package화 한다. 그리고 평판구조물에 대하여 진동시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개발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또한 실제 차량에서 차체만의 진동시험과 엔진의 자유진동시험에 의한 시험데이터로부터 차체와 엔진이 마운트 결합된 후의 진동특성을 예측한다. 진동시험시에 입력과 출력에 노이즈가 필연적으로 혼입되어 주파수응답함수의 크기(magnitude)와 위상(phase)을 왜곡시킨다. 특히 위상의 왜곡은 복소수연산을 하는 전달함수합성법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타 획득시 입력과 출력의 시간지연으로 생기는 위상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개선 정도를 조사한다.는 소견의 확실도로서 가능성을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진동진폭 스펙트럼상에 2X 성분이 상당히 크게 나타나 정렬불량의 가능성이 0.7 정도라고 판정하는 것 등은 이러한 수치적진리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수치적 표현만으로는 확실도를 한개의 수치로서 대표하게 하는 것은 진단의 정밀도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언어적진리치가 도입되어 [상당히 확실], [확실], [약간 확실] 등의 언어적인 표현을 이용하여 애매성을 표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간이진단 결과로부터 추출된 애매한 진단결과중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이상원인을 복수로 선정하고, 여러 종류의 수치화할 수 없는 언어적(linguistic)인 정보ㄷㄹ을 if-then 형식의 퍼지추론으로 종합하는 회전기계의 이상진단을 위한 정밀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한다. 존재하여도 모우드 변수들을 항상 정확하게 구할 수 있으며, 또한 알고리즘의 안정성이 보장된 것이다.. 여기서는 실험실 수준의 평 판모델을 제작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제어 구조물에 대 한 동적실험 및 FRS를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따름으로써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error를 실험실내의 차원에서 파악하여 진동원을 있는 구조 물에 대한 진동제어기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

  • PDF

A Method of Evaluating the Spatial Difference between Two Numerical Surfaces (두 개의 수치 평면에 대한 공간적 차이의 측정 방법)

  • Lee Jung-Eun;Sadahiro Yuki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2 s.113
    • /
    • pp.212-226
    • /
    • 2006
  • Surface data generally represent continuous distribution of geographical or social phenomena of a region in urban analysis. Instances includ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population of region, and various distributions related to human activities. When spatial data are given in the form of surface, surface comparison is required as a way of comprehending the surface change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urfaces. As for previous approaches of surface comparison, there are visualization, quantitative methods and qualitative method. All those approaches, however,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wo surfaces in a limited way. Especially, they are not able to distinguish spatial difference between two surfaces. To overcome such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comparing two surfaces in terms of their spatial structure. Main concept of the method comes from earth moving problem and the method is named minimum surface transformation, here. When a surface is transformed into another, total surface volume mov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should be the minimum. Both quantitative and spatial differences between two surfaces are evaluted by total surface volume moved and the distribution of moved surface volume of each cell respectively. The method is applied to hypothetical and actual data. From the former, it is understood that the method explains how two surfaces are quantitatively and spatially different. The result of the latter shows that moved total surface volume decreases as time goes by which fits the actual situation that population change rate gets smaller. Concerning the other measure of surface difference, the distribution of $X_{ij}$ describes detailed flow of surface volume than that of simply subtracting surface volume by indicating to what direction the population change occurs.

An Archaeology of Cinema as a Real/Imaginary Narrative Medium (상상적/실제적 서사 미디어로서 영화에 대한 미디어고고학)

  • Jeong, Chan-Cheol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4
    • /
    • pp.361-395
    • /
    • 2019
  • This paper take a media archaeological approach to cinema transformed into a narrative medium during its transitional period, 1903-1915. To accomplish this, I will explore the question of as which narrative medium cinema was imagined and also how it was institutionalized as a narrative medium with authorship. I will explain that the imaginary and real ideas and changes on cinema resonated with each other on the foundation of its technological aspects such as indexicality, 23 frames/sec. and montage. It wa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at cinema was transformed from a medium representing spectacle to a medium of nar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American film copyright law in 1912 was an institutional, real outcome from the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cinema as a narrative medium. At the same time, various ideas emerged that led to imagining of cinema as a complete narrative medium, incomparable to any other. From a media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imaginary ideas of media resonate with their actual course of development. These imaginary ideas are not just imaginary, but rather reflect the contemporary desire for the medium. This paper looks into the transitional period based on this media archaeological point of view. To this end, this paper will briefly introduce the notion of media archaeology as a media theory and then discuss Eric Kluitenberg's concept of 'an archaeology of imaginary media' and its methodologies. Second, it will explore literary and cinematic imagining of cinema as a powerful medium of storytelling, while discussing the ways in which cinema'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se imaginings. Also to show the techno-deterministic role of cinema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will explore how it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processes through which America's first motion picture copyright was institutionalized in 1912 after two historical copyright cases: one is Edison v. Lubin in 1903 and Kalem v. Harper Brothers in 1909. Ultimately, this paper will lead us to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inema as a medium and its developments in more multi-layed way, a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al and imaginary, and give us perspectives toward what cinema is.

The Development of Patient-Accessible EMR System (환자 접근형 EMR 시스템의 개발)

  • Kim, Jin-Ho;Kwon, Tae-Kyu;Won, Yong-Gwan;Kim, Jung-J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3
    • /
    • pp.595-602
    • /
    • 2010
  •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s being broadly used in general medical institution, but it could be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if patients could use it themselves. Because present EMR is the formula written by medical experts with professional words, the patient can not identify his detailed symptoms and even the name of disease. Otherwise, the patient should have many efforts for obtaining his medical recor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veloped Patient-Accessible EMR system, which was founded as one of patient-centric medical services, and it shows that the patient can take his medical information without medical experts.

Human Action Recognition by Inference of Stochastic Regular Grammars (확률적 정규 문법 추론법에 의한 사람 몸동작 인식)

  • Cho, Kyung-Eun;Cho, Hyung-J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7 no.3
    • /
    • pp.248-259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human action recognition scheme to recognize nonverbal human communications automaticall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human body action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ultiple articulation movements, we use the method of inferencing stochastic grammars to understand each human actions. We measure and quantize each human action in 3D world-coordinate, and make two sets of 4-chain-code for xy and zy projection plane. Based on the fact that the neighboring information among articulations is an essential element to distinguish actions, we designed a new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 to apply the neighboring information of hands. Our proposed scheme shows better recognition rate than that of other general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s. ures.

  • PDF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Age-adjusted Effective Modulus Method to Long-Term Behavior Estimation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재령보정 유효계수방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거더의 장기거동 실험 검증)

  • Bae, Doo-Byong;Oh, Chang-Kook;Choi, Sok-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4 no.5
    • /
    • pp.571-582
    • /
    • 2012
  •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provide efficient composite action by applying prestress to the sub-encasing concrete. In this study, an enhance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with forms suspended from the steel girder is utilized. Long-term behavior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is estimated using age-adjusted effective modulus method, which is verified experimentally using measurements obtained from an in-service bridge. Then, parametric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caused by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prestressing and concrete casting date.

The Effect of Web-Based Virtual Reality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ers'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웹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Kwak, Won-Kyu;Kim, Hong-R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75-484
    • /
    • 2004
  • 공간 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의 향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표현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실생활과 직업에 관련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한 조사, 실험, 탐구를 통하여 여러 위치에서 도형을 시각화하고, 그려보고, 비교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공간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으로 구체적 조작물과 학습지 사용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 기하는 공간적인 경험을 현실 상황이나 구체물 조작을 통하여 형성된 공간직관을 수학화하도록 하여야 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학교여건 등의 여러 실정으로 조작 자료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3차원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 시각화 학습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어떤 방향이든 상관없이 가상의 공간에서 물체를 옮기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요구에 의해 아동과의 상호 작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 웹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 분석을 통해 웹 기반 가상현실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