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재료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26초

현장탄성계수에 근거한 보조기층 다짐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the Subbase Compaction Control Method based on the In-situ Elastic modulus)

  • 최준성;김종민;한진석;김부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3-40
    • /
    • 2011
  •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보조기층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보조기층 다짐재료의 역학적 특성을 반영한 실내 회복탄성계수는 역학적-경험적 포장설계법에서 적용하는 설계 인자이다. 따라서, 역학적-경험적 포장설계법의 보조기층 현장에서 실시하여야 하는 다짐관리는 다짐 후 측정된 현장 탄성계수가 설계에 적용된 실내 회복탄성계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다짐관리 시험인 들밀도 시험과 평판재하시험(PBT)의 시험결과와 현장탄성계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현장에서 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소형 충격 재하시험(LFWD)을 통한 현장탄성계수와 실내 회복탄성계수와의 상관관계식과 시험간격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현장시험을 통한 보조기층의 다짐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산 홍조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의 형태와 생식 (Morphology and Reproduction of 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 (Rhodophyta, Rhodomelaceae) in Korea)

  • 최도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59-66
    • /
    • 1991
  • 홍조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의 형태적 식별형질들을 야외 및 실내배양 재료를 통해 검토하고 생활사를 밝혔다. 본 종은 엽체의 체장이 5-15 cm이고, 정단을 제외한 전 엽체에 피층이 발달하며, 주축과 측지의 유합정도는 5-7 절편에 달한다는 점에서 Symphyocladia속의 다른 종들과 구분된다. 생식기관의 형태와 발달과정은 속내의 다른 종들과 구분된다. 생식기관의 형태와 발달과정은 속내의 다른 종들과 유사하나 소측지의 변형에 의해 장상의 사분포자탁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종은 야외 및 실내배양 재료 모두에서 영양모상엽이 형성되어 S. pennata와 구분되었고, 따라서 지금까지 polysiphonieae족과 Pterosiphonieae족을 구별하기 위한 기본 식별형질로서 인식되어 왔던 영양모상엽의 존재 유무는 부류학적인 의의가 없음을 확인되었다. 실내배양에서 본 종의 Polysiphonia형 생활사를 반복하나 배우체의 체장이 포자체보다 상재적으로 작아 세대간 크기의 차이가 현저한 이형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종은 한국 전 해안의 조간대 중부 이하의 지역에서 전 계절에 걸쳐 흔히 채집되며, 하계에 배우체의 출현비율이 높았다.

  • PDF

실내공간에 사용되는 재활용 신재료의 소재 및 가공방법 연구 (A Study on the Base Material Specific and Processing Methods of Recycled New Materials in Space)

  • 서지은;정희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2-30
    • /
    • 2012
  • Nowadays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struction is not a simple issue but an important issue to be continuously considered. It is deemed that a study for recycled new materials is immediately required and this study is to analyze features and processing methods of new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interior space. We found the recycled new materials used for space through researching various web sits. And then we analyzed what the base materials are and classified that base materials are whether natural or artificial of the recycled materials. We classified processing methods of the recycled new materials after researching general processing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an important material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finishing materials with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and to the research for a guideline of applicable new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e could classify widely 2 categories into natural material and artificial material and then 10 subcategories into metal, glass, wood, rubber, stone, plastic, leather or fabric, ceramic, concrete and so on, and analyzed that which material is mostly used and whether it is single material or multiple material. In order to analyze the feature of processing method. Second, we could classify into 4 categories such as junction, surface process, molding, and insert, and found out which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based on objects of research. Third, as an analysis result of the recycled new material feature, in order to develop various new materials, it is required to study on combination and application of 2 materials or more rather than single material. Four, as a analysis result of the processing method featu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cessing methods are requi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grope for a way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for interior space through a systemic research and analysis of processing method of other fields. Furthermore, a way to reuse recycled new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in a stage of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processing method.

  • PDF

고유속흐름에서의 식생 유무에 따른 하상재료 유실변화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vegatation presence according to bed materials loss change in high velocity)

  • 김광수;정동규;김영도;박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6-276
    • /
    • 2017
  • 홍수 시 하천의 급격한 유량증가로 인하여 하상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저감하기 위한 하천사업에는 자연친환경적이고 고유속흐름에서도 변동되지 않는 하상재료를 도입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 제방보호 기능만을 가진 단순한 호안에서 식생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호안공법이 개발되어 각종 하천에 도입되고 있다. 호안공법을 도입할 때 고유속흐름과 식생의 유무에 따라 하천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하천설계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우강우가 많아지고 호안의 안정성을 위한 평가기법이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호안사면의 수리학적 안정성과 지반공학적 파괴거동의 적절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 유무에 따라 유속, 레이놀즈수, 바닥전단응력 등을 산정하여 흐름특성을 파악하고 호안 및 제방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모래, 식생점토. 본 연구를 위해 자체적으로 양생시킨 잔디를 이용하였으며, 실내 고속수로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유속의 변화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상태의 재료와 세굴 이후의 세굴심을 비교하여 고유속흐름에서의 식생 유무에 따른 하상재료 유실변화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PDF

온도 변색 도료의 지붕 적용 및 냉방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Cooling Effect of Applying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 to a Roof Surface)

  • 백상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5-123
    • /
    • 2022
  • 본 연구는 지붕 표면에 온도 변색 도료(Thermochromic paint) 적용에 따른 지붕 표면 온도 저감 및 실내 냉방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도료는 특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만약 본 도료를 적용함으로서 지붕 표면이 여름철에는 흰색으로, 겨울철에는 검정색으로 계절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면, 여름철에는 일사를 반사하여 실내 냉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일사를 흡수하여 난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본 도료에 의해 여름철에 지붕의 표면 온도와 실내 온도가 어느 정도 감소되는지에 대해 실증 실험 및 기존 도료와의 비교를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온도 변색 도료가 적용된 지붕의 표면온도는 기존 도료의 경우보다 대략 5~10℃ 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실내 기온 또한 기존보다 대략 3℃ 이상 낮게 분석되었다. 따라서 온도 변색 도료는 여름철 높은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지붕에 적용 될 시, 표면 온도를 크게 감소시켜 실내 냉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내대기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상온산화 촉매 기술의 동향과 전망 (Present Trend and Prospect of Catalyst Technology at Room Temperature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IAQ))

  • 이상현;김성수
    • 공업화학전망
    • /
    • 제19권5호
    • /
    • pp.1-11
    • /
    • 2016
  • 우리나라는 197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경제성장과 함께 주택의 보급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주택의 보급을 위한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의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사용하는 기구 및 건축재료가 매우 다양해졌으며, 이로 인한 새로운 오염물질의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 새로운 기술로 소개되고 있는 촉매 산화법의 경우 제거하려는 대상 실내대기오염물질을 촉매를 이용하여 CO2나 H2O 등으로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며, 최근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촉매를 이용하는 촉매 산화법은 광촉매 산화법과, 촉매의 성능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질을 산화하는 촉매산화법으로 구분된다. 광촉매 산화법은 특정 파장에서 반응하는 촉매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실내오염물질을 산화제거하는 방법으로, 산화성능이 우수하여 여러 가지 실내오염가스에 적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포름알데히드 산화 시 CO2와 H2O 이외에도 dichloroacetyl chloride (C2HCl3O), trichloroethylene (C2HCl3), phosgene (COCl2) 등과 같은 부수적인 2차 유해물질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대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반면, 촉매 산화법의 경우 별도의 광원이나 에너지원 없이, 촉매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완전 산화시키는 방법으로써, 최근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상온에서 구동 가능한 촉매가 개발되었고, 이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상온산화촉매기술의 연구동향 및 사례를 확인하고, 향후 상온산화촉매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부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2016000140004).

TV 뉴스센터 스튜디오의 실내 공간에 관한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Interior Spaces for TV News Centers)

  • 김동식;성이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97-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 interior spaces for TV news center studio. Based on eight channels including publi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the method for this research is to make differentiate existing relevant literature by creating analysis items for interior space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as well as find out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s, colors, materials, decorations, and etc.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spatial form of desk and ceiling are similar shapes but floor and wall are different comparing with publi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Secondly, preferred color for floor and ceiling is black, for wall and desk are blue and gray. Thirdly, various materials are preferred between publi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Fourthly, Flat and elevated floors are preferred as well as space and logos of broadcasting station are preferred for background images as decoration elements. Lastly, Soffit ceiling, desk accommodating more than 4 people, spotlight for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and architectural lighting for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are preferred.

카페트에서 방출되는 VOCs의 방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a Carpet)

  • 신동민;김창녕;김동술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0-49
    • /
    • 2003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emiss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a new carpet. The carpet sample consists of polypropylene cushion and latex backing. The VOCs have been sampled on sorbent tubes and analyzed by thermal desorption unit and GC/MSD. For over 240 hours, concentration of VOCs has been measured in a small chamber made of stainless steel. With the measured data, emission factor and mass balance have been considered. Th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STM D5116-97. The carpet has emitted a variety of VOCs, but in this study, 7 VOCs compounds have been considered: chlorobenzene, ethylbenzene, styrene, isopropylbenzene, bromobenzene, 2-chlorotoluene, and 1,2,3-trimethylbenzen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s of VOCs and the emission factors have exponentially decayed from relatively high level to low level with time. The gradients of the concentration of VOCs and emission factors are different for various components. It is found that styrene, 2-chlorotoluene are emitted more than others with higher concentrations.

실내사용 목재의 연소 특성 분석(I) (Combustion Properties of Woods for Indoor Use (I))

  • 손동원;강석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75-681
    • /
    • 2014
  • 최근 친환경 재료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사용목재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내사용 목재의 내화성 부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열특성 분석에 그 목적이 있다. 열방출률과 열방출량, 가스발생량, 중량감소 등의 연소성질을 열중량 분석(TGA) 및 콘칼로리미터(KS F ISO 5660-1)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재의 재질적 특성은 연소적 특성으로 발현되었으며, 열적성질과 연소가스 발생량과의 관계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탄화층 형성에 의한 연소억제 효과도 수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총열방출량과 중량감소량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점화시간과 총열방출량 등의 자료는 목재의 내화성능부여 등의 기초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리라 판단되었다.

실내디자인에 있어 경제적 디자인 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Economic design cases in interior design)

  • 김현정;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43
    • /
    • 2002
  • IMF situation in Korean society in 1997 gave huge shock to all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which were covered by bubble economy. It has passed 4 years since IMF but it is continued to increase of consumer price index and depression of the society. Receiving an order in interior design become more and more tense competition domestically as well as internationally, due to the open of WTO. In order to achieve economic design of low cost-high design which pursues the power of competition in cost and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fic methods for economic design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economic design in interior design field.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future interior design for economic design wit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for economic design.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ases, economic design is accomplished with the use of the materials. Interior designers should consider how they can use materials for economic design. Especially, use of cheap materials gives the reduction of the cost and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the spaces more. Therefore, experimentalism and knowledge of materials are needed and they should be more weighted as the method for achieving economic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