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Cooling Effect of Applying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 to a Roof Surface

온도 변색 도료의 지붕 적용 및 냉방효과 분석

  • Received : 2022.10.17
  • Accepted : 2022.12.0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temperature discoloration roof system and its cooling effect in the summer.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s can reverse their colors based on temperature changes. If these paints on the roof surface could color-shift between white in the summer and black in the winter, the indoor cooling and heating loads can be affected by the changes in reflection and absorption of solar radiation. Focusing on the summer period, the study analyzed the cooling effect of applying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 that color-shifts from white to black on the roof surface of a small experimental building module and compared it to commonly used gray and green roof colors.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of with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 was lower than the gray and green color roofs by a maximum of 10℃. Furthermore,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experimental module with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roof was lower than the gray and green roofs by approximately 3℃.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 to the roof can reduce indoor cooling loads.

본 연구는 지붕 표면에 온도 변색 도료(Thermochromic paint) 적용에 따른 지붕 표면 온도 저감 및 실내 냉방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도료는 특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만약 본 도료를 적용함으로서 지붕 표면이 여름철에는 흰색으로, 겨울철에는 검정색으로 계절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면, 여름철에는 일사를 반사하여 실내 냉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일사를 흡수하여 난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본 도료에 의해 여름철에 지붕의 표면 온도와 실내 온도가 어느 정도 감소되는지에 대해 실증 실험 및 기존 도료와의 비교를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온도 변색 도료가 적용된 지붕의 표면온도는 기존 도료의 경우보다 대략 5~10℃ 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실내 기온 또한 기존보다 대략 3℃ 이상 낮게 분석되었다. 따라서 온도 변색 도료는 여름철 높은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지붕에 적용 될 시, 표면 온도를 크게 감소시켜 실내 냉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 2020R1I1A1A01066797)

References

  1. 김경아.최정민.박경훈(2016), "지붕 색상 변화에 따른 건축물의 열환경 및 쿨루프 적용가능성 분석",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0(6): 409~69.
  2. 박민용(2020), "옥상방수도료와 진공세라믹 차열도료의 쿨루프에 대한 열적 특성 비교",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4(1): 32~41.
  3. 이기림.성지훈.한유경.이원희(2019), "옥상 색상에 따른 쿨루프 성능평가를 위한 여름철 옥상 표면 및 실내온도 비교 분석 : 무인항공기에 장착된 열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한국측량학회지」, 37(1):9~18. https://doi.org/10.7848/KSGPC.2019.37.1.9
  4. 이두호.이응직(2012), "옥상녹화 평지붕의 표면온도 저감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2(3): 83~88.
  5. Arulprakasajothi, M., B. Susanth, K. N. Kumar and A. M. M. Reddy (2021), "Thermal Management on External Surfaces by Thermochromic Materials", Materials Today: Proceedings, 47: 4666~4670. https://doi.org/10.1016/j.matpr.2021.05.523
  6. Gabriel, F., C. Davy, C. Francois, A. Loren, J. Hyewon, C. Rodica, T. Francois and B. Arnaud (2022), "Thermochromic Properties of Some Colored Oxide Materials", Optical Materials: X, 15: 100167. https://doi.org/10.1016/j.omx.2022.100167
  7. Huanghuan, L., J. Ting, W. Fajun, O. Junfei and L. Wen (2021), "Thermochromic Superhydrophobic Coating for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Energy & Buildings, 251: 111374. https://doi.org/10.1016/j.enbuild.2021.111374
  8. Luo, C. C., X. J. Wang, L. J. Han, Y. G. Jia, S. M. Ying and J. W. Wang (2019), "Preparation, 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rmochromic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g (-)-menthyl with Selective Reflection", Journal of Molecular Liquids, 275: 241~250. https://doi.org/10.1016/j.molliq.2018.11.088
  9. Nelson, C. B., K. Sivaprakasam, J. E. Sinko and T. Meahren (2020), "A Tigh Binding Model of the Bond Dissociation Mechanism in Thermochromic Leuco Dyes",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1222: 128930. https://doi.org/10.1016/j.molstruc.2020.128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