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존중감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5초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BMI and Body Image on Self-Esteem)

  • 홍금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8-357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BMI and body image of adult women affect their self-esteem.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in the survey and a total of 456 adult women were selected by way of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were shown in two factors of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The body image was shown in three dimensions of 'care for appearance', 'concern about weight', and 'appearance attractiveness'. 2. Internalization, recognition, and BMI influenced on 'care for appearance'. 'Concern about weight' was affected by internalization and BMI. Appearance attractiveness was affected only by BMI. 3. Adult women's self-esteem was influenced by appearance attractiveness, internalization, and care for appearance. 4. The behaviors of appearance management were differed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Therefore, adult women form a higher degree of self-esteem is formed when they accept what they are regardless of their actual BMI and when they evaluate their body positively.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가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irectional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 유태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0-269
    • /
    • 2013
  • This study verifies the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of sociocultural values related to appearance effect appearance evaluation, body area satisfac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self-esteem that are variables involved in body images. This paper is expected to empirically support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path and the relative influence among related-variables and their relational structur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women from the ages of 20 to 29 who live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rograms such as AMOS 19.0 and SPSS 19.0 for Windo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ocultural values relating to appearance affect directly body image - appearance evaluation, body area satisfaction, and appearance orientation. Appearance evaluation and appearance orientation were influenced positively; however, body area satisfaction received egative effects. In addition, sociocultural values related to appearance exert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on appearance orientation. Second, among body images, appearance evaluation and body area satisfaction directly effect self-esteem; however, appearance orientation did not show any direct influence. Appearance evaluation influenced relatively higher on self-esteem. Third, it appeared that appearance evaluation directly affected Appearance orientation. Forth, sociocultural values related to appearance affect self-esteem through body images-appearance evaluation, body area satisfaction, and appearance orientation - as mediators. This confirmed the mediator role of body image between sociocultural values related to appearance and self-esteem.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완벽주의,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by their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perfectionism, and self esteem)

  • 김혜옥;구윤정;박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57-2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완벽주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K도의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209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피어슨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정신건강은 지각된 스트레스, 과업중심 및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대학생의 사회성을 강화하고, 신체활동증진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다학제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대생의 BMI, 신체상, 식생활 습관 및 섭식태도 (BMI, Body Image, Food habit and Food Attitude in College Female Students)

  • 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389-395
    • /
    • 2012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비만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만도(BMI), 신체상, 생활습관 및 섭식태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1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 17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기보고식으로 실태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평균나이는 19.5세, 평균 $21.8kg/m^2$이었으며, 식생활 습관은 주거지(p=.004), 섭식태도는 BMI(p=.006), 지각적 신체상 중 현재체형과 BMI(p=.000), 상태 신체존중감도 BMI( p=.000), 섭식태도도 BMI(p=.006)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제 변수들간의 관계에서는 BMI가 높을수록 지각적 신체상 점수가 높게 나왔고, 섭식태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식생활 습관은 지각적 신체상과 상태 신체존중감이 높을수록 섭식태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양호한 것으로 나왔다. 현재 체형이 비만할수록 상태 신체존중감이 낮고, 섭식태도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여대생의 비만 및 체중관리시 병행되어야 할 사항은 긍정적 신체상을 확립하고 올바른 섭식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여대생의 신체존중감, 신체상 불일치 및 우울 (Body Esteem, Body Figure Discrepancy and Depression in Women College Students)

  • 이규은;김은주;염영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6-21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ody esteem, body figure discrepancy and depression in women college student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May, 2004 using a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364 women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Do. Results: The BMI for under 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for the college women were 49.2%, 48.3%, 2.5% respectively. But 52.6% of the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obese and only 11.5% described themselves as being 'thin'. The mean scores for BMI, body esteem, body figure discrepancy and depression were $20.11{\pm}2.20$, $2.36{\pm}.79$, $1.07{\pm}.58$ and $1.20{\pm}.48$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ody esteem score (F=26.389 p<.0001) and body figure discrepancy (F=64.167, p<.0001) according to BMI score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body esteem and body figure discrepancy (r=-.582, p=.0001), between body esteem and depression (r=-.120, p=.028), between body esteem and BMI (r=-.422, p=.0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figure discrepancy and BMI (r=.630, p=.0001). Factors such as body figure discrepancy, BMI and depression explained 36.7% of the valiance in students' body esteem.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for women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their body esteem.

  • PDF

괴롭힘 가해자의 환경적 요인, 괴롭힘 행동유형, 가해자의 심리.행동적 결과에 대한 연구 (Environmental Factors, Types of Bully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Outcomes for the Bullies)

  • 이명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29-61
    • /
    • 2002
  • 청소년들의 괴롭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괴롭힘 행동으로 인해 가해자에게 나타나는 결과를 조사하고자, 괴롭힘 가해자의 환경적 요인(부모와의 갈등, 부모의 지지결여, 교사의 지지결여, 친구로부터의 소외, 따돌림 및 괴롭힘에의 노출정도), 괴롭힘 행동의 유형(따돌림, 사회적, 언어적, 신체적, 도구적 괴롭힘)과 괴롭힘 행동으로 인해 가해자에게 나타나는 결과(쾌감, 죄책감, 피해자에 대한 비난적 태도, 자아존중감, 괴롭힘 행동의 정도)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할 수 있는 포괄적인 연구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괴롭힘 가해의 경험이 있는 177명의 학생들로부터 수직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사용하여 변인들간의 구조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이론구조모델이 선정되었다.(df=78, chi-square=57.266, RMSR=0.0514, GFI=0.953, CFI=1.00). 자료분석 결과, 의미 있는 인간관계(부모, 친구)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갈등을 경험할 때, 지속적으로 공격적 행동에 노출되어 있을 때 괴롭힘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지지결여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괴롭힘과 신체적 괴롭힘이 증가되며, 부모와의 갈등이 클수록 언어적 괴롭힘과 도구적 괴롭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로부터 소외된다고 느낄수록 따돌림행동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따돌림에의 노출정도가 클수록 신체적 괴롭힘이 증가되며, 괴롭힘에의 노출정도가 클수록 따돌림, 신체적 괴롭힘과 사회적 괴롭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괴롭힘 행동유형에 따라 가해자에게 나타나는 결과를 살펴볼 때, 따돌림은 가해자의 쾌감을 증대시키는 반면, 죄책감을 감소시키고, 피해자에 대한 비난적 태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괴롭힘과 신체적 괴롭힘은 쾌감을 증가시킨 반면, 도구적 괴롭힘은 쾌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괴롭힘은 죄책감을 증대시킨 반면, 도구적 괴롭힘은 죄책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따돌림과 도구적 괴롭힘은 자아존중감을 증대시키는 반면, 사회적 괴롭힘은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언어적 괴롭힘은 괴롭힘 행동의 정도를 증대시킨 반면, 도구적 괴롭힘은 괴롭힘행동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 중에서 부코의 지지결여와 친구로부터의 소외는 가해자의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며, 부모의 지지결여는 가해자의 죄책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따돌림과 괴롭힘에 노출되는 정도가 클수록 괴롭힘 행동의 정도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차원에서 가해자의 감정 및 태도의 변화를 위한 개입방안, 의미 있는 인간관계 개선 및 사회적지지 증진을 위한 대인관계 개선방안, 괴롭힘행동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학교환경을 총체적으로 재조직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개입전략이 제시되었다.

  • PDF

간호학생의 운동수행여부, 건강에 대한 생각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정도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elf Efficacy, Self-esteem and Vitality according to the Physical Exercise, Thinking about Health of Nursing Students)

  • 정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7-12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운동수행여부, 건강에 대한 생각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디자인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test, t-test가 사용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로 K시에서 수집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3.7살이었다. 대상자 중 187명(85.0%)은 여자, 99명(45.0%)은 운동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138명(62.7%)은 자신들이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변수들에 대한 점수는; 건강자기효능감 2.93±0.35점; 신체자기효능감 3.16±0.37점; 자아존중감 2.94±0.43; 활력 3.78±0.52이다.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신체자기효능감(t=3.68, p=<.001); 운동적 기능(t=5.39, p<.001); 정신적 기능(t=2.10, p=.037), 영양적 기능(t=2.50, p=.013); 건강관리 효능감(t=2.37, p=.019) 그리고 활력(t=12.6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건강자기효능감(t=3.73, p=<.001), 운동적 기능(t=3.29, p=.001); 정신적 기능(t=4.01, p<.001); 영양적 기능(t=2.62, p=.009), 건강관리 효능(t=2.51, p=.013); 건강자기효능감(t=2.59, p=.010); 자아존중감(t=3.91, p=<.001) 그리고 활력(t=2.92,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 수행이 건강자기효능감과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며,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신체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조절효과 (Self-respect Moderating Effects on Adolescents with Emotional Problems due to Neglect and Abusive Experiences)

  • 김숙향;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방임수준보다 학대경험 수준이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가정형편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학대경험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정서문제인 우울수준, 사회적 위축, 공격성, 신체증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중감의 강력한 조절 효과를 가지지는 못하지만, 학대경험과 정서문제 간에 응답자의 자아존중감 평균을 중심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기울기 검정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방임 및 학대경험 청소년이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간에 부정적 정서 상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강력한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후속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비만아동의 생활습관개선을 위한 예비프로그램의 효과

  • 이혜상;정운선;박응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7.1-427
    • /
    • 2004
  • 아동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지기 쉬우며, 비만아동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열등감을 가지며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한 경향이 많다. 국내의 경우 주로 의사와 영양사를 중심으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고 효과도 평가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아동의 생활습관 개선에 의한 체중감량을 목표로 한 종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선행 연구에서 비만아동의 의생활, 식생활, 신체적ㆍ심리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