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f-respect Moderating Effects on Adolescents with Emotional Problems due to Neglect and Abusive Experiences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조절효과

  • 김숙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김형모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10.13
  • Accepted : 2017.11.20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elf-respect moderating effect on adolescents with emotional problems because of neglect and abusive experi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busive experiences was higher than that of neglect in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s and individual family situations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es causing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ts. Second,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neglect and abuse experienced high levels of depression, social anxiety, agg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Third, even though self-respect did not have a strong moderating effect on the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who suffered neglect and abus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buse experience and the emotional problem in the inclination test results for the high and low group based on the average of the self-respect of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ed for a stronger variable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al state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neglect and abuse is related to emotional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방임수준보다 학대경험 수준이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가정형편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학대경험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정서문제인 우울수준, 사회적 위축, 공격성, 신체증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중감의 강력한 조절 효과를 가지지는 못하지만, 학대경험과 정서문제 간에 응답자의 자아존중감 평균을 중심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기울기 검정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방임 및 학대경험 청소년이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간에 부정적 정서 상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강력한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후속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충권, 양혜린, "청소년의 학대.방임경험이 정서문제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문제와 또래관계 간 상호인과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 연구, 제17권, 제1호, pp.261-285, 2015.
  2. 김재철, 이경숙, 성경주, "부모학대가 청소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제20권, pp.119-139, 2012.
  3. P. E. Mullen, J. I. Marcin, J. C. Anderson, S. E. Romans, and G. P. Herbison, "The long-term impact on the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of children: a community study," child abuse & Neglact, Vol.20, No.1, pp.7-21, 1996. https://doi.org/10.1016/0145-2134(95)00112-3
  4.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5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6.
  5. 안지연, 손영은, 남석인,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261-284, 2014.
  6. 남원희, 현온강,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체벌 실태 및 체벌 수준에 따른 아동의 분노표현 행동," 한국아동권리학회, 제7권, 제7호, pp.271-287, 2013.
  7. 홍영수, "부모학대가 아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정서적 지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12호, pp.225-244, 2010.
  8. 전해숙, "아동학대 및 아동의 심리사회적 자원이 아동우울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0권, 제12호, pp.55-77, 2008.
  9. 김형모, 김영민, "부부폭력 목격과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제11권, 제1호, pp.31-60, 2007.
  10. D. A. Simons and S. K. Wurtel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use of corporal punishment and their children's endorsement of spanking and hitting other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Vol.34, No.9, pp.639-646, 2010. https://doi.org/10.1016/j.chiabu.2010.01.012
  11. H. Dubowitz and S. Bennett, "Physical abuse and neglect of child," The Lancet, Vol.369, No.9576, pp.1891-1899, 2007.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0856-3
  12.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4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5.
  13. 김기환, "부모의 자녀학대가 보호관찰청소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호관찰, 제9권, 제2호, pp.215-258, 2009.
  14. 김재엽, 정윤정, 이진석, "가정 내 자녀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1권, pp.199-144, 2009.
  15. E. H. Erkson, Idenl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1968.
  16. 이응택, 이은경,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 문화포럼 학술자료, 제48호, pp.61-85, 2016.
  17. 강석기, 한상훈, 박명신, "고등학생의 분노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제34권, 제1호, pp.91-114, 2013.
  18. 이지언, 정익중, 장유다, 주영하,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3호, pp.1-25, 2015.
  19. 이봉주, 민원혼, 김정은, "청소년 사회적 위축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317-346, 2014.
  20. M. D. Braquehais, M. A. Oquendo, E. Baca-Garcia, and L. Sher, "Is inpulsivity a lik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uicide?," Comprehensive Psychiatry, Vol.51, No.2, pp.121-129, 2010.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9.05.003
  21. R. A. Colman and C. S. Widom, "Childhood abuse and neglect and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A prospective study," Child Abuse & Neglect, Vol.28, No.11, pp.1133-1151, 2004. https://doi.org/10.1016/j.chiabu.2004.02.005
  22. A. Grogan-Kaylor and M. D. Otis, "Th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on adult criminality: A tobit regression analysis," Child Maltreatment, Vol.8, No.2, pp.129-137, 2003. https://doi.org/10.1177/1077559502250810
  23. A. Bandura,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Oxford, England: Prencice-Hall, 1973.
  24. 김평화, 윤혜미, "아동학대가 아동의 정서결핍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14권, pp.217-240, 2013.
  25. 박기원,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15, 2014. https://doi.org/10.5723/KJCS.2014.35.1.1
  26. Hoffman-Plotkin & Twentyman, "A multitude assessment of behavior and cognitive deficits in abused and neglected preschoolers," Child Development, Vol.55, pp.794-802, 1984. https://doi.org/10.2307/1130130
  27. 백종림, 정익중, "부부폭력목격경험과 학대경험이 아동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9권, 제1호, pp.121-142, 2013.
  28. J. A.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9. 장휘숙, 청년심리학, 박영사, 2004.
  30. 정익중, 이지언, "청소년기 비만과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60-80, 2011.
  31. C. Salmivalli, "Feeling good about oneself, being bad to others? remarks of self-esteem, host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Vol.6, pp.375-393, 2001. https://doi.org/10.1016/S1359-1789(00)00012-4
  32. 서수균,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3호, pp.719-734, 2007.
  33. 이형진, 황동진,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1호, pp.5-31, 2015.
  34. 김재엽, 최권호, "중복학대 피해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 신체학대와 방임의 중복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3호, pp.193-213, 2012.
  35.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 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아동학회지, 제29호, 제4호, pp.79-95, 2012.
  36. 김재철, 최지영, "부모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제20권, 제1호, pp.19-32, 2011.
  37. 김광혁,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제24권, 제2호, pp.27-45, 2009.
  38. 황은수, 성영혜,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인식정서의 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제8권, 제9호, pp.73-89, 2006.
  39. 신혜영, 최혜림,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 초등하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pp.295-307, 2003.
  40. H. B. Hodgdon, Child maltreatment and agg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callousness among juvenile offenders, Unpublished doctor's thesis. Temple University, Pennsylvania, Philadelphia, America, 2009.
  41. 이봉주, 손선옥, 김윤지, "아동청소년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조절효과," 학교사회복지, 제31권, pp.37-58, 2015.
  42. 김자영, "아동의 정서학대 경험 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286-316, 2014.
  43. 이선희, 전종설, "남.여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제28권, pp.173-202, 2012.
  44. B. B. Kugler, M. Bloom, L. B. Kaercher, T. V. Truax, and E. A. Storch, "Somatic symptoms in traumat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Vol.43, No.5, pp.661-673, 2012. https://doi.org/10.1007/s10578-012-0289-y
  45. K. Sesar, N. Simic, and M. Barisic, "Multi-type childhood abuse, strategies of coping, and psychological adaptations in young adults," Croatian Medical Journal Vol.51, No.5, pp.406-416, 2010. https://doi.org/10.3325/cmj.2010.51.406
  4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