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세포

검색결과 1,687건 처리시간 0.024초

흰쥐 대뇌피질에서의 Somatostatin 신경세포의 생후발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SOMATOSTATIN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RAT CEREBRAL CORTEX)

  • 김선미;차중익;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79-90
    • /
    • 1993
  • 대뇌피질에서 somatostatin 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과정을 규명하고자 생후 1, 2, 3, 4주 및 2, 3개월의 흰쥐 대뇌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신경세포의 형태, 크기 및 분포와 대뇌피질 영역별 세포 수의 변화를 관측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형태 및 분포의 변화 생후 1주부터 비교적 염색성이 뚜렷한 다양한 형태의 미성숙 신경세포가 대뇌피질 V, VI층에서 관찰되다가 생후 2주에는 세포질내의 염색성이 균일하게 증가되어 있고 여러개의 돌기를 내는 뭇극성세포가 V, VI층뿐 아니라 제 II층에서도 출현하였다. 생후 3주부터는 신경세포체가 점차 II, III층과 V, VI층에 넓게 분포하였고 미성숙한 신경세포는 II, III층에서 보다 많이 관찰되었으며 생후 4주에는 IV, V, VI층에서의 세포의 감소가 뚜렷하여 주로 II, III, IV층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고 미성숙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2) 신경세포체의 크기의 변화 세포체의 크기는 생후 2주를 전후하여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여 생후 8주째에 성숙흰쥐에서의 크기가 되었다. 3) 내뇌피질 영역별 신경세포체 수의 변화 전두, 두정 1, 2, 측두 1, 배모양, 섬피질에서는 생후 1주에서 2주째에 걸쳐 큰 차이없이 세포체의 수가 최대로 증가했다가 이후 성숙흰쥐 수준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측두 3, 후두, 띠, 코주위 피질에서는 생후 2주째에 최대값을 보였다.

  • PDF

Ox retina내 tyrosine - 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dopaminergic neuron에 대하여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Dopaminergic Neurons in the OX Retina)

  • 김인숙;김진숙;전영기;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0
    • /
    • 2000
  • 성체 소의 망막에 존재하는 doparminergic 신경세포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Dopaminerglc 세포는 항체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yrosine hydroxylase 면역 반응 신경 세포의 대부분은 내핵층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했다. 이들 세포들의 돌기들은 단층이었으며 그리고 내망상층의 1층내에 위치했다.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두 번째 주요 세포 집단은 치환된 amacrine 세포들이다. 치환된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 amacrine 세포의 돌기들도 역시 내망상층의 1층내에 나타났다. 소수의 신경 세포의 돌기들은 외망상층에서 나타났다. 매우 낮은 밀도의 신경세포들은 내망상층의 중간과 깊은 층에서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 돌기들의 추가적인 층을 가졌다. Doparminergic 신경세포의 돌기들은 방사선형으로 넓게 신장되어 큰 모양을 형성하였고 수상돌기의 가지들은 적당하게 뻗어 있었다. 이러한 돌기들은 때때로 varicosity를 가지지만 "dendritic rings"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본연구의 결과는 doparminergic 세포는 소의 망막내 특이 신경세포 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 뇌신경절의 미세구조 (Eine Structure of Cerebral Ganglion in the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57-66
    • /
    • 1999
  • 한국산 플라나리아 뇌신경절을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적출하여 부위별로 잘라낸 후 2.5% paraformaldehyde-3% glutaraldehyde로 1시간 30분 전고정을 하고 이러서 $OsO_4$로 2시간 후 고정을 한 다음 전자현미경 관찰방법에 따라 실험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뇌신경절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는 신경세포와 신경분비세포, 신경아교세포 그리고 신경섬유들로 이루어진 신경망 등이었다. 신경세포는 직경이 $5{\mu}m$ 정도인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작은 세포로서, 핵은 타원형체로 세포질에 비해 크고 이질염색질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으나, 세포질은 세포 소기관의 발달이 미진하여 비교적 단순하게 보였다. 신경분비세포는 그 모양이 긴 타원형이거나 방추형세포로서 타원형의 큰 핵을 소지하였다. 또한 이들의 세포질속에는 직경 60nm 정도의 분비성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다. 신경아교세포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방추형의 세포로서 (크기, $6\times0.8{\mu}m$) 이들은 신경섬유 사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신경망을 구성하고 있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 속에는 사립체와 신경소관 그리고 4종류의 분비성소포(직경, 75nm, 50nm, 그리고 37nm 정도의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소포 3종과 30nm 크기의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과 립소포 1종) 등이 존재하였는데, 이들은 단일소포 형태와 혼합소포형태로 존재하였다. 또한 이들의 신경연접 형태는 축삭-수상돌기연접과 축삭-축삭돌기연접 등의 신경 연합만이 주로 관찰되는 특징을 보였다.

  • PDF

MPTP로 유발된 파킨슨병 Mouse 모델에 대한 봉약침의 농도의존적 효과 (Dose-dependent Effects of Bee Venom Acupuncture on MPTP-induced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 전형준;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59-68
    • /
    • 2010
  • 목적 : 최근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신경계 질환에도 응용되고 있는 봉약침의 농도의존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의 동물모델을 통해 세포보호효과와 세포사멸 및 신경염증 기전을 관찰하였다. 방법 : C57BL/6 mice에 신경독소인 1-methyl-4-phenyl-1, 2, 3, 6-tetrahydropyridine(MPTP)를 4번 복강내 주입하여 중뇌의 흑질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하여 Parkinson 질병동물 모델을 만든 후, 2개의 군에는 마지막 MPTP 투여 2시간 후에 1차, 그 후로 48시간이 지날 때마다 양측 신수에 각각 0.06mg/kg 농도와 0.6mg/kg 농도의 봉약침을 시행하여 총 4회 시술한 후, 도파민 세포를 측정하는 TH 면역조직 화학법을 통해 세포의 보존 정도를 관찰하고, 세포사멸과 관련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Caspase 3, 신경염증과 관련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iNOS의 발현여부를 면역 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 관찰결과 MPTP 투여 후 MPTP 투여군의 흑질의 도파민 세포 수는 감소하였으나 0.6mg/kg 봉약침을 투여한 경우에는 유의성 있게 세포 수가 유지되었다. Caspase-3와 iNOS 발현억제 실험에서 0.6mg/kg 봉약침군은 MPTP 투여군과 0.06mg/kg의 봉약침군과 비교하여 Caspase-3, iNOS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 봉약침은 MPTP 투여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에 대하여 농도에 따라 세포사멸 기전과 신경염증 기전을 억제함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추후 적절한 경혈점 및 최적의 봉약침 농도를 찾는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L-type 칼슘 채널을 저해하는 저해제, nifedipine에 의한 쥐 뇌실하 영역 신경줄기세포의 신경세포로의 분화 촉진 (Increase in Neurogenesis of Neural Stem Cells Cultured from Postnatal Mouse Subventricular Zone by Nifedipine)

  • 박기엽;김만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8-118
    • /
    • 2022
  • 뇌실하 영역은 뇌에서 신경줄기세포가 분포하는 곳으로 평생에 걸쳐 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하는 곳이다. 많은 세포 안팎의 인자들이 신경줄기세포의 세포 증식과 신경세포로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들어, L-type 칼슘 채널이 신경계의 발달을 조절하고 뇌실하 영역에 있는 신경줄기세포, 신경세포로 분화 중인 세포, 그리고 성숙한 신경세포에 분포한다고 밝혀졌다. L-type 칼슘 채널의 저해제인 nifedipine은 고혈압의 치료제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신경줄기세포에 nifedipine을 사용하여 L-type 칼슘 채널을 저해하는 연구는 많이 없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5일령 쥐의 뇌실하 영역에서 배양한 신경줄기세포에 nifedipine을 처리하여 신경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Nifedipine은 Tuj1을 발현하는 신경세포의 수를 증가시킨 반면, Olig2를 발현하는 희소 돌기 아교 세포(oligodendrocytes)의 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Nifedipine은 S기를 표지하는 5-ethynyl-2'-deoxyuridine (EdU)가 들어간 세포의 수를 증가시켰고, 세포 분열시 나타나는 인산화된 히스톤 H3(PH3)를 발현하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켰다. Nifedipine은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Dlx2 유전자의 전사를 증가시켰고, 초기 신경세포에서 보이는 Mash1의 양도 증가시켰다. Nifedipine 외 또다른 L-type 칼슘 채널의 저해제인 verapamil을 처리하자, 신경세포로의 분화가 소폭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매우 낮았다. T-type 칼슘 채널의 저해제 유전자인 Cav3.1, Cav3.2, Cav3.3가 발현함을 관찰하여, T-type 칼슘 채널의 저해제인 pimozide를 신경줄기세포에 처리하였으나, 신경세포로의 분화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nifedipine이 신경줄기세포의 초기 분화를 증진함을 알 수 있으며, L-type 칼슘 채널이 신경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흰쥐의 뇌 Astrocyte에서 amyloid-${\beta}$ 25-35로 유발된 세포 독성과 지질과산화에 대한 호도(胡桃)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Juglandis semen on amyloid-${\beta}$-induced neuronal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astrocytes)

  • 장미경;박종혁;정지천;김철호;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1
    • /
    • 2000
  • 호도(胡桃)(Juglandis semen)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치매(Alzheimer's disease) 유발물질로 알려진 amyloid-{$\beta}(A{\beta})$ 25-35를 흰쥐의 뇌 신경세포의 일종인 astrocyte에 처리한 후 뇌의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막에서의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호도(胡桃)는 $A{\beta})$ 25-35로 인한 신경세포의 파괴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경세포의 손상을 예방하고 보호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지질의 과산화 지표인 malondialdehyde 생성은 $A{\beta})$ 25-35 처리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호도(胡桃)의 전처리와 후처리로 크게 감소되어 호도(胡桃)가 세포막 파괴로 인한 뇌세포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호도(胡桃)는 신경세포의 하나인 astrocyte에 대한 보호효과와 세포막에서 지질의 과산화를 저해 및 $A{\beta})$ 25-35 처리와 같은 치매 유발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하여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노인성 치매 등의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

후각신경세포의 손상 및 재생 연구모델의 융합연구 (Animal Model for Regeneration of Olfactory Sensory Neurons)

  • 정윤미;박종수;김철희;유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61-67
    • /
    • 2016
  • 후각기관은 주변 환경의 다양한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기관으로 생존, 종족번식에서 감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유전적, 환경적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후각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시적인 경우에는 약물치료 등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신경세포에 문제가 생긴 영구적인 손상의 경우는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거나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신경세포 특이적으로 GFP 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동물을 제작하여 생체 내 후각신경세포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화학물질을 처리하여 후각신경세포 손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고, 후각신경세포의 손상 및 재생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후각신경세포의 손상 및 재생 모니터링 시스템은 향후 후각신경세포 재생 메커니즘 연구 및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붉은줄참새우, Palaemon macrodacthylus의 안병내 신경성 분비세포의 계절별 분비 활성 (Neurosecretory Cell Types and Their Seasonal Secretory Activity in the Eyestalk of Palaemon macordactylus)

  • 김재원;박기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43-47
    • /
    • 2004
  • 낙동강 하구역에서 1년 동안 채집한 붉은줄참새우, Palaemon macrodatylus를 대상으로 안병에 분포하는 신경성 분비세포의 형태적 특징 및 계절별 분비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안병의 신경계는 신경세포층(lamina ganglionaris), 외수(medulla externs), 내수(medulla interns) 및 종수(medulla terminalis)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병에서 관찰되는 신경성 분비세포는 A, B, C, D세포 등으로 구분되었고 이들의 형태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세포의 직경은 약 10 $mu extrm{m}$전후로 주로 외수에 세포군을 이루어 분포하고 있으며, B세포의 직경은 6 $\mu\textrm{m}$전후로 가장 작은 세포이고 핵질이 세포질에 비해 크다. 그리고 C세포의 직경은 15∼20 $\mu\textrm{m}$로 둥근핵을 가지며 내수와 종수에서 B세포와 세포군을 이루어 분포하고 있으며, D세포의 직경은 약20∼30 $\mu\textrm{m}$로서 관찰되는 세포중 가장 크며 타원형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들 신경성 분비세포의 계절별 분비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3-4월의 개체에서 A, B및 C세포는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6∼7월에는 대부분의 개체에서 활성적인 신경성 분비세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월 이후 대부분의 개체에서 비활성적인 신경성 분비세포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의 특성 분석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Neuroectodermal Spheres Revealing Neural Precursor Cell Properties)

  • 한효원;김장환;강만종;문성주;강용국;구덕본;조이숙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87-95
    • /
    • 2008
  • 만능성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확립된 신경줄기세포 또는 신경전구세포는 퇴행성 신경질환 세포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신경세포로 분화 유도될 수 있다. 하지만,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신경세포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 많은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관 유사로제트에 대한 이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신경 분화의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신경로제트(neural rosette)는 분화 중인 배아체를 부착 배양함으로써 유도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로제트가 부착배양을 하지 않고 부유배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선적으로, 배아체 형성 및 신경분화에 인간 배아줄기세포 클럼프(clump) 크기가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고, 사방 $500\;{\mu}m$ 크기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클럼프가 신경 분화 유도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로제트 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사방 $500\;{\mu}m$ 크기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클럼프를 1주일 동안 EB 배양배지에 부유 배양함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배아체를 얻은 후, NES 배양 배지에서 부가적으로 $1{\sim}2$주 동안 계속 부유 배양한 결과, $7{\sim}10$일 사이에 신경관 유사 로제트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로제트 형성 세포의 신경전구세포로서 특성은 RT-PCR과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신경전구세포 특이적 마커(vimentivi, nestin, MSI1, MSI2, Sox1, Tuj1) 발현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인자를 제외한 NES 배양 배지에서 신경로제트를 $2{\sim}6$주 동안 지속적으로 배양하면 성숙 신경세포로의 말단 분화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신경세포 특이적 마커(Tuj1, MAP2, GABA)와 신경아교 특이적 마커($S100{\beta}$, GFAP)는 $2{\sim}3$주 또는 4주 후에 각각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희소 돌기아교 특이적 마커(O1과 CNPase)는 $5{\sim}6$주 후에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신경로제트가 부유 배양시스템에서 성공적으로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신경 분화를 이해하고, 신경전구세포 유도 과정을 단순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척수에서의 통각전달체계 연구

  • 오우택;최윤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29-29
    • /
    • 1992
  • 척수에서의 통각전달은 말초에서 전달되는 통각정보가 척수내의 척수세포에 전달되면서 시작된다. 척수에 전달된 유해자극 정보는 척수내의 이차감각세포를 통하여 시상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척수내의 세포는 연수등의 여러 부위에 존재하는 신경 세포에 의하여 억제를 받으며 이와 같은 하향성 억제는 뇌에 존재하는 내재진 통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본 실험은 하부연수에 위치하는 신경핵인 Lateral reticular nucleus가 이러한 하향성 억제를 가졌는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양이를 마취시키고 척수궁을 절제하여 척수를 노출시키고 미세전극을 꽂아 척수세포의 활성을 기록하였다. 여덟마리의 고양이에서 31개의 척수세포를 기록하였다. 이 세포들 중 WDR세포가 14 (45%), HT가 9 (29%), LT 및 Deep세포가 각각 4 (13%)가 되었다. 이 척수세포에 북외측하부 연수인 lateral reticualr nucleus 주위를 건기자극하면 21개 (68%)의 세포가활성의 억제를 받았고 9개의 (29%) 세포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고 1개의 (3%) 세포는 흥분되었다. 전기의 자극은 강도 100$\mu$A이며 자극길이는 100$\mu$S 그리고 100Hz의 주파수를 가진 펄스파였다. 이와같은 북외측하부연수의 전기자국은 신경세포의 자발활성뿐 아니라 수용장 자극에 의한 반응도 억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