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Structure of Cerebral Ganglion in the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한국산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 뇌신경절의 미세구조

  • 장남섭 (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The nervous tissue in the cerebral ganglion of Korean planaria was observed using electron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A cerebral ganglion is composed of the nerve cells, neurosecretory cells, neuroglial cells and neuropils. The nerve cells are round or ovoidal-shaped cells (diameter, $5{\mu}m$), which has a large ellipsoidal nucleus containing the evenly developed heterochromatin. Their cytoplasm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imple, because of their undeveloped cell organelles. The neurosecretory cells are long and ellipsoid or spindle-shaped cells, where there were found a large ellipsoidal nucleus and cytoplasm filled with secretory granules (diameter, 60 nm). The neuroglial cells were seldom observed. They are spindle-shaped cells (size, $6\times0.8{\mu}m$), which were observed mainly among the nerve fibers. The neuropils are formed by the nerve fibers and nerve endings which are filled with mitochondria, neurotubules and secretory granules of four kinds (high electron dense granules of sizes 75 nm, 50 nm and 37 nm, and electron lucent granule of size 30 nm etc.). These granular vesicles are divided into single vesicle type and compound vesicle type in the nerve terminals, and neuronal synapses were observed to be the axo-dendritic and dendro-dendritic synapse type.

한국산 플라나리아 뇌신경절을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적출하여 부위별로 잘라낸 후 2.5% paraformaldehyde-3% glutaraldehyde로 1시간 30분 전고정을 하고 이러서 $OsO_4$로 2시간 후 고정을 한 다음 전자현미경 관찰방법에 따라 실험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뇌신경절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는 신경세포와 신경분비세포, 신경아교세포 그리고 신경섬유들로 이루어진 신경망 등이었다. 신경세포는 직경이 $5{\mu}m$ 정도인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작은 세포로서, 핵은 타원형체로 세포질에 비해 크고 이질염색질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으나, 세포질은 세포 소기관의 발달이 미진하여 비교적 단순하게 보였다. 신경분비세포는 그 모양이 긴 타원형이거나 방추형세포로서 타원형의 큰 핵을 소지하였다. 또한 이들의 세포질속에는 직경 60nm 정도의 분비성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다. 신경아교세포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방추형의 세포로서 (크기, $6\times0.8{\mu}m$) 이들은 신경섬유 사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신경망을 구성하고 있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 속에는 사립체와 신경소관 그리고 4종류의 분비성소포(직경, 75nm, 50nm, 그리고 37nm 정도의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소포 3종과 30nm 크기의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과 립소포 1종) 등이 존재하였는데, 이들은 단일소포 형태와 혼합소포형태로 존재하였다. 또한 이들의 신경연접 형태는 축삭-수상돌기연접과 축삭-축삭돌기연접 등의 신경 연합만이 주로 관찰되는 특징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