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생활 양상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9초

호도죽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dojook')

  • 전정희;윤재영;김희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09-518
    • /
    • 1998
  • 호도죽의 기호도 조사와 모델로 선정한 호도죽의 농도, 호도 첨가량에 따른 호도죽의 특성을 Viskograph에 의한 호화도 측정과 관능평가를 통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기호도 조사 결과, 호도죽은 현재 인지도와 섭취율이 낮으나 별미식, 치료식, 이유식등의 즉석식품으로 개발된다면 섭취율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2. 죽의 재료로 쌀을 갈아 즉석에서 죽을 쑤는 경우와 찰가루로 죽을 쑤는 경우가 있는데, 쌀을 갈아쓴 경우는 죽의 점성이 낮고 노화도가 컸으며, 쌀가루를 사용할 경우는 점성이 높고 노화가 늦게 일어났다. 쌀가루를 수화한 후 사용하면 점성이 보다 높았다. 쌀가루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호화 개시 온도가 낮았으며 점성이 약간 높았다. 3. 호도죽은 흰죽보다 호화 개시 온도가 낮고 호화개시 시간도 앞서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고 점도도 낮아지는 양상을 볼 수 있었으며 노화정도도 낮았다. 호도죽에서 물의 첨가량을 달리했을 때 물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정한 물의 수준에서 호도 첨가량을 달리한 죽의 호화도 양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호도죽의 농도와 호도량에 따른 호도죽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관능적 특성으로는 고소한 향, 느끼한 향. 색, 점도, 고소한 맛, 느끼한 맛, 전체 기호도를 보아 쌀가루와 호도첨가량의 부피비가 1:1이었을때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다. 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경우 호도죽의 특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p<0.05), 쌀가루와 물의 비율은 1:6이 적합하였다. 이 결과, 호도죽을 만들때 쌀가루를 사용하면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호도죽의 관능적 특성에는 물의 첨가량 변화보다 호도 첨가량이 보다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호도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기름의 느끼한 풍미와 고소한 풍미는 호도죽의 관능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 견과류죽인 호도죽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 및 관심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여러종류의 죽의 특성을 연구하여 전통죽의 다양한 제품개발을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어져야겠다.

  • PDF

올리고당 첨가 증편 발효 중 Dextran 형성과 증편의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xtran and the Inner Structure of Jeung-Pyun (Korea Rice Cake) on Adding Oligosaccharide)

  • 이은아;우경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8-46
    • /
    • 2002
  • 올리고당을 첨가한 증편발효에서도 dextran이 형성되어 부피팽창에 역할을 하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비체적과 증편반죽의 발효시간에 따른 dextran과 환원당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증편의 내부구조를 SEM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1.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비체적은 설탕첨가 증편과 프럭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첨가 증편에서는 7~13시간에, 이소말토올리고당 증편은 7시간에 최대의 비체적을 나타내었다. 2. 증편반죽의 환원당 함량 변화는 설탕 첨가 증편은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4시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8시간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올리고당 첨가 증편반죽은 반죽 제조시부터 서서히 낮아졌으며 10시간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최대값은 설탕증편과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3.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반죽의 dextran 함량 변화는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 3 시간부터 급증하여 7~13시간에 최대를 이루었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4.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내부구조에서 기공이 크고 균일성이 보인 시간은 설탕첨가 증편은 3~7시간, 프럭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 첨가증편은 7시간, 갈락토올리고당 첨가 증편은 7~13시간이었다. 따라서 올리고당 첨가시 최적 발효시간은 비체적, dextrange함량, 내부구조양상 등을 종합하였을 때 7시간이 공통적으로 최대를 이루는 시간을 나타내므로 7시간이 적합함을 알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설탕 대신 증편에 올리고당을 첨가하여도 dextran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고, 비체적도 설탕 첨가 증편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어 dextran이 부피팽창에 큰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일가지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기, 국화, 구기자, 감초, 당귀, 대추, 작약, 천궁의 물과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 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7-3-20 균주의 경우에는 proline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Corynebacterium glutamicum 균주에 salt tolerance를 도입하면 L-lysine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ilable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system was applied to the forecasting of national rice production for the recent 3 years (1997 to 1999). The model was run with the past weather data as of September 15 each year, which is about a month earlier than the actual harvest date. Simulated yields of 1,455 Myuns were grouped into 162 counties by acreage-weighted summation to enable the validation, since the official production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s on the county basis. Forecast yields were less sensitive to the changes

  • PDF

1989년도 국민영양조사에 따른 한국인의 식사양상 (Analysis of Meal Patterns from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in 1989)

  • 문현경;정해랑;조은영;최혜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1-279
    • /
    • 1992
  •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meal patterns by area, age, profession from the data of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which had been carried out in 1989. The proportion of home prepared meal was about 90% at breakfast and dinner, and 46.3% at lunch. People had meals outside of home mainly at lunch(31.1%), and usually ate restaurant meal(17.7%). The proportion of meal skipped was 7.1% at breakfast, 3.9% at lunch, and 1.2% at dinner. At large city, 10.3% of people skipped breakfast, it was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three areas(large city, small city, and rural area). Also, the proportion of meal outside of homes was the highest among all areas. In rural area, home prepared meal was prevalent for all meals. Among all age groups, people between 20 and 49 ate out most frequently. For people between age 16 and 19, meal skipping was frequent for breakfast and dinner, especially, 20.5% of girl skipped breakfast. At lunch, the proportion of meal skipping was the highest in age higher than 50 groups. Among all professions, people in service job skipped lunch and dinner at the highest proportion. Manager and deskworker skipped breakfast by 12.9% and they ate out at lunch by 82.5%.

  • PDF

세계 각국의 식품소비구조, 영양소 섭취수준 및 영양문제의 변화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ood Habit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Among Worldwide Nations)

  • 문수재;양일선;이민준;차진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9-213
    • /
    • 199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dentify the changes in food patterns for last 20 years; (b)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changes in food patterns; (c)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s in food patterns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diet and diet-related health problem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mailed to 30 country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IFHE) regional representatives. The response rate was 60%; simple descriptive and content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ood consumption pattern were existed between western and eastern countries.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maintained even though each countries' food consumption patterns have been dramatically chan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food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The factors most frequently affecting on the changes in food patterns were nutrition and heallth-related educations. The food pattern changes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diet among countries. The major diet-related health problems with nutrient deficiency were reported by underdeveloped countries such as India. In contrast to the above,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adult disease related to the nutrition have been increased, while the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Korea have the problems with nutrient deficiency and adult diseases simultaneously.

  • PDF

대학 신입생의 체격지수에 따른 식이행동 양상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Food Habits of University Freshma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 정남용;윤미은;최순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7-398
    • /
    • 2002
  •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food habits of university freshma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532 students in university freshman.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eans of normal group's height, weight were $175.00{\pm}5.98cm,\;72.93{\pm}10.20kg$ for male students and $162.00{\pm}4.75cm,\;51.97{\pm}4.98kg$ for female students. Under 20 of BMI(body mass index) among students were 69.7% for male and 9.6% for female. $Twenty{\sim}twenty\;five(20{\sim}25)$ of BMI were 21.9% for male and 40.2% for female. The consumption of milk, oil and animal fat were significant according to BMI. There was hig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exercise and activity. In the self recognition of body shape 59.0% of male and 52.6% of female in normal weight group answered that their weight had to be a little thin. Self satisfac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nder weight group compared to normal weight group. This study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s need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desirable food habits and recognition of rate of figure.

탈북 귀순자들의 영양소 섭취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of Dietary Intakes in the Defectors from North Korea)

  • 조여원;홍주영;임정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470-476
    • /
    • 1997
  • 본 연구는 북한 식량사정의 실상과 탈북자들의 북한에서의 영양상태 및 남한에서의 정착 후 영양섭취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탈북한 일가족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탈북직후와 4개월 후 의료기관에서 검진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체위는 남한의 평균 체위보다 매우 왜소하였으며. 4개월동안 평균 4.5kg 정도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들의 식생활은 북한에서 주로 감자, 강냉이밥, 강냉이로 만든 국수, 산나물등 식물성 식품위주의 식사였으나 남한에서는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북에서 이들의 평균 열량섭취량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비교할 때 50%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남한에서도 열량섭취는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양소의 섭취는 북한과 비교할 때 남한에서 증가를 보였고, 특히 콜레스테롤 섭취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탈북직후의 이들 혈중 알부민, 포토당,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농도는 대부분 정상이었으며, 혈액의 지질농도도 정상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북한 식량난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이들의 거주할 당시의 북한에서는 하루 2끼 식사에 강냉이를 주로 하는밥이나 죽, 그리고 나물 등을 주로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절은 김일성 생일, 김정일 생일, 8.15해방절, 조국 해방전쟁 승리일등이 있고, 이런 명절에서는 설탕, 밀가루등 특별배급이 추가되나 특별한 명절음식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에는 양념이 매우 귀하며, 특히 고춧가루가 귀해서 주로 백김치를 담가서 먹고 있었다. 현재 북한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쌀, 잡곡류, 고기 그리고 참깨 등의 양념류와 의약품 및 비누 등을 제시하였다. 현재 자료수집이 극도로 제한된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의 정확한 식이섭취 상태와 영양상태 판정은 불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극히 소수이고, 실제로 이들이 북한에서 소외된 계층이었으므로 본 연구결과가 북한의 사정을 정확히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이들의 조사가 앞으로 북한주민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통일에 대비하여 북한 주민들의 식생활의 양상과 정확한 영양상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첨가재료별 증편의 가공 적성 검토 (Studies on Processing Aptitude of Various Additives on the Preparation of Jeung-pyun)

  • 최영희;전화숙;강미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2
    • /
    • 1996
  •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가공적성을 검토하고자 증편제조시 6가지 첨가재료를 첨가하여 증편반죽의 발효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 증편의 외관, 저장성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의 진전과 더불어 증편반죽은 경시적인 pH의 감소, 점도의 증가, 부피의 증가를 보였다. 발효 5시간 경과 후 첨가재료를 첨가한 증편반죽의 pH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가 높은 콩가루 첨가구의 반죽의 부피도 가장 많이 팽창하였으며 쑥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의 경우에도 반죽의 부피증가와 부피증가 간의 변화양상은 유사한 경 향을 나타내었다. 2. 발효과정을 거친 증편반죽을 성형하여 증자한 후 단면의 사진을 관찰한 결과 전지분유, 쑥가루, 난황, 난백 첨가구가 대조구와 유사하게 잘 부풀었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난백 첨가구는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였다. 3.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DSC thermogram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지분유, 콩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엔탈피(ΔH)의 값이 낮게 나타나 노화를 상당히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장기간중 Textrometer로 측정한 hardness의 변화와 DSC thermogram을 함께 고려해 보았을 때 hardness를 감소시키고 엔탈피(ΔH)를 감소시키는 것은 콩가루 및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백, 쑥가루를 첨가하였다. 4. 증편의 관능검사 결과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황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단단한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난황 및 쑥가루 첨가구는 증편의 기공이 균일하지 못하였고 기공이 크고 성긴 것으로 평가되었고 콩가루 및 쑥가루 첨가구는 쓴맛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 PDF

PCR을 이용한 육류 내 Campylobacter sp. 및 Campylobacter jejuni의 분리 검출 (Selective Detection of Campylobacter sp. and Campylobacter jejuni in Meat Foo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주종원;홍경포;김용휘;조상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53-759
    • /
    • 2008
  • 본 연구는 식품 샘플에서 단시간 내에 간단한 방법으로 Campylobacter jejuni를 검출하기 위하여 10가지의 Campylobacter genus-specific primer와 C. jejuni species-specific oligonucleotide를 제작하였고, amplification efficiency test를 통하여 4종으로 축소한 후 다시 specificity, sensitivity analysis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CB4, CJ1 2종의 oligonucleotide primer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oligonucleotide primer는 각각 Campylobacter genus specific,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한 species specific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sensitivity analysis를 통하여 isolated colony에서 reaction tube당 $10^0{\sim}10^1$까지의 detection limit을 확보하였다. 육류 시료에서는 Sensitivity가 $10^1{\sim}10^2$으로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쇠고기나 돼지고기에 존재하는 hemoglobin이나 immunoglobulin 등의 PCR inhibitor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 이철호;맹영선;안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79
    • /
    • 1987
  •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과, 세반강정, 산자, 송화다식, 들깨엿강정에 대한 품질표현용어를 77명의 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 90여종의 표현용어를 수집하였다. 이들 용어중 58종의 표현용어는 국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한과의 종류별 주요품질요소를 표현빈도수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한과류를 실온에서 10일간 상대습도 $0{\sim}68%$ 범위에서 저장하였을 때 주요품질요소의 변화를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저장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한과류 종류별 주요 관능적 품질요소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 묘사 분석법으로 도해함으로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었다.

  • PDF

일제강점기 영화로 본 근대성 양상 고찰 -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 (Modernity in the Korean Diet Considering the Fil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안효진;황영미;오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9-500
    • /
    • 2018
  • Since the late 19 century, the Choseon dynasty forcibly opened the door to western countries, including Japan. In addition, cultural propagation called 'modernity' caused subtle changes in dietary life. Based on the theory of colonial dual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modernity in Kyungsung (mid 1930s~early 1940s) when 50 years had passed since the Open-Door policy. Three films, (1934), (1936) and (1941) (those made in 1930s~1940s) were analyzed. Twenty six scenes [14 scenes from , five scenes from , and seven scenes from ] related to the dietary life from films were chosen and classified according three criteria (degree of modernization, main influential countries, and benefit groups from modernization). The degree of modernization of all films was more than 80%. The average proportion of the countries that affected modernization were western (35%), western-Japan (28%) and Japan (20%). Approximately 33, 53 and 14% of the upper, middle, lower classes, respectively, benefited from diet modernization. The main places where modernized dietary culture could be enjoyed were cafes, western restaurants, tea rooms, and hotels. The main food or beverages that were considered as modernized dietary culture were liquor (especially beer), coffee, and western meals. People in Kyungsung in the mid 1930s~early 1940s experienced modernity in dietary lif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es and these culture changes were generally accepted as a symbol of moder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