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 방어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6초

옥수수 성 결정 메커니즘: 세포 사멸, 세포 방어, 세포주기 멈춤 (The Sex Determination Mechanisms in Maize: Cell Death, Cell Protection and Cell Cycle Arrest)

  • 김종철;이균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99-703
    • /
    • 2006
  • 옥수수(Zea mays)는 단성화 식물로서 암꽃과 수꽃이 한 식물체내에 분리되어서 존재하며 수정시 이질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되었다. 암꽃과 수꽃 각각은 단성화 상태로 분화하기 전에 한 개의 암술과 세 개의 수술 원시세포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옥수수가수꽃으로 분화할 때는 암술 원시세포에서 세포사멸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TASSELSEED 유전자들에 의해 매개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암꽃의 암술에서는 TASSELSEED 유전자들에 의한 세포사멸이 억제되는데 여기에는 SILKLESS1 유전자가 관여한다. 한편, 암꽃의 수술에서는 세포주기 멈춤 현상이 오랜 시간 지속되다가 결국에는 수술이 죽게 된다. 이때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인 CYCLIN B 와 WEE1 유전자가 이 과정에 참여한다. 이와 더불어, 지베렐린 생합성의 시간적 공간적 조절이 수술의 세포주기 멈춤의 원인이 된다. 본 총설에서는 옥수수의 성 결정 과정 중에 일어나는 세포사멸, 세포 방어, 세포주기 멈춤에 대하여 분자세포 발생 생물학 및 유전학적인 견지에서 고찰하였다.

국내산 식용식물체의 멜라토닌 함량 분석 (Analysis of Melatonin Content from Domestic Edible Plants)

  • 김석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45-1148
    • /
    • 2002
  •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melatonin은 생체의 산화적 손상을 방어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26종의 식물체로부터 그 존재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Melatonin 함유 분획을 조제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된 식물체 분말을 50% ethanol로 추출한 다음 여과 후 TLC 상에서 acetone으로 전개시켜 melatonin을 분리하였다. 형광하에서 확인된 melatonin spot은 methanol로 추출한 다음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시 ODS-A column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70% ammonium acetate와 메탄올을 30 : 70(v/v)으로 섞어서 1.0 mL/min의 속도로 흘려주었다. Melatonin peak의 확인은 형광 detector를 이용하였으며 retention time은 17분이었다. 이같은 분석조건에서 셀러리, 부추, 브로콜리, 컬리플라워 등에서 높은 melatonin 함량이 확인되었다.

HTO 피폭후 배추와 벼에서 삼중수소 거동 (Investigation into Tritium Behaviour in Chinese cabbage and Rice after a Short-term Exposure of HTO)

  • 김상복;이명호;최근식;최용호;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75-82
    • /
    • 1998
  • HTO로 피폭시키는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중의 삼중수소 농도는 트리튬 용액의 증발속도 뿐 아니라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피폭시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어린 벼의 식물 대사율은 배추의 대사율 보다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증발된 HTO가 식물의 조직자유수에 흡수되는 정도는 배추보다 벼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결합수의 농도는 어린 벼보다 배추에서 오히려 높게 계측되었으며 HTO 피폭 후에 조직자유수와 조직결합수의 비율은 처음에 증가하다가 시간에 따라 천천히 감소하였다. 오염된 토양에서 자라난 새로운 식물은 대부분 1보다 큰 SAR 값을 나타내었다. 피폭 약 1달 후 토양의 깊이에 따른 트리튬의 농도는 기상환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 PDF

오리나무 수피엑스의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한 효과

  • 우병희;송여옥;노혜림;한혜경;정춘식;정기화;이은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5-115
    • /
    • 1995
  • 저자 등은 일련의 식물엑스에 대하여 항위염 및 항궤양효능에 관한 검색을 실시하여 오리나무수피의 MeOH엑스가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예지 하였으므로 그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MeOH엑스를 Hexane, CMCl$_3$, BuOH로 계통적으로 추출하여 상기의 분획 및 잔사인 물분획을 제조하여 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화성궤양이 공격인자와 방어인자의 불균형에 의해 형성됨을 Shay가 주장함으로써 공격인자의 억제를 알아보기 위한 Mizui 등의 방법인 HClㆍEtOH 유발 위손상 실험과 Guth 등의 Aspirin 위손상 실험 방법에 따라서 위 손상정표를 관찰하였다. Shay의 방법에 따라서 위궤양 모텔은 유문을 결찰하고 검체를 십이지장내에 투여하고 처치를 완료하고 12시간 후에 궤양정도와 또한 4시간의 유문결찰에 의한 위액분 비량, pH 및 산분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또 염산과 pepsin 등에 의한 점막 손상에 대한 방어인자의 증강요인인 위 mucous membrane의 mucus분비를 알아보기 위한 absoluteㆍ에탄올 위손상에 대한 예방효과 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오리나무 MeOH엑스의 항위염 및 항위궤양효과는 BuOH 분획에서 강력한 작용이 있었으며 이 분획은 aspirin 유발 위손상 및 shay 궤양에 효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mucin량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분획은 위액, pH 및 산분비량에 영향을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 PDF

해산 어류 양식장 가두리의 DO수지 -곤리도 방어 양식장의 경우- (Dissolved Oxygen Budget in Floating Net Cage of Fish Farm at the Coastal Area -In case of yellow tail farm in Konli-Do-)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4
    • /
    • 1988
  • 본 연구는 1987년 9월 8일, 9일 양일간에 걸쳐 24시간 동안 곤리도 금성수산 방어 가두리 양식장에서 해산어류 양식장${\cdot}$가두리의 방양한도를 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는 용존산소 수지를 해석해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두리에 수용된 당년생 방어 2,800kg이 1일간 소비하는 산소량은 $3.09g/m^3$였고, 가두리 안의 수체에 의하여 소비되는 산소량은 $1.24g/m^2{\cdot}day$였으며,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생산공급된 산소량과 대기로 부터 해수중으로 녹아 들어간 산소량의 합계는 수중 유기물의 분해와 플랑크톤의 호흡을 포함하는 수조자체의 산소소비량의 $43\%$를 감당하는 수준이었고, 그 나머지 $57\%$와 사육어가 소비하는 다량의 산소는 가두리 안밖으로 교류하는 해수유동에 의하여 공급되고 있었다. 이 어장의 가두리에 수용할 어체량은 해수교환율에 의해 결정되는 듯이 보이며, 어장내의 조류에 대한 가두리 배치방식에 따라 해수교환율이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가두리마다의 해수유통에 따라 수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의 온도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다중 센서 모니터링 (Multi-sensor monitoring for temperature stress evaluation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 차승주;박현준;이주경;권선주;지효경;백현;김한나;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47-355
    • /
    • 2020
  • 기상이변으로 인한 식물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토양과 식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센서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의 온도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기후 및 토양 상태와 식물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식물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식물 센서로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 sap flow rate를 모니터링하였다.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는 물과 이온 수송을 포함한 식물의 생리적 활성을 반영한다. 완전히 자란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온도 20/15 ℃ (낮/밤), 16시간 광주기로 하여 대조구로 설정하였으며 저온 15/10 ℃ 및 고온 35/30 ℃에 노출시키면서 토양 및 식물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 sap flow rate는 낮에는 증가하고 밤에는 감소하였다. 저온 스트레스 하에서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줄기의 전기전도도는 대조구보다 낮았고,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는 대조구보다 높아 물과 이온 수송이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엽록소 a와 b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잎에서 증가했고 고온 스트레스를 받은 잎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잎의 프롤린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반면, 고온 스트레스에서는 증가했다. 프롤린 합성은 환경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는 저온보다 고온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속 5 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y of Five Species of the Genus Viburnum)

  • 김갑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2-366
    • /
    • 2012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가막살나무속 5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원주시, 평창군, 태백시, 태안군, 봉화군, 산청군 및 진주시에 생육 중인 나무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포식응애와의 상리공생을 위한 domatia에 있어서는 아왜나무는 쌈지형, 분꽃나무는 호주머니형이었고, 산분꽃나무, 가막살나무 및 산가막살나무는 털북숭이형 domatia를 발달시키고 있었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분꽃나무에서 24.0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분꽃나무에서 4.9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 표면의 털은 아왜나무를 제외한 가막살나무속 4수종의 엽신과 엽맥의 성모와 강모가 가장 많았으며,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및 가막살나무에서는 잎 생장이 완성될 때까지 잎의 표면에서도 성모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엽연부의 엽맥 끝에 넥타를 분비하는 화외밀선(EFN)은 가막살나무 5 수종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는 잎 뒷면 선점(pellucid dot)이 분포하는 것이 좋은 방어전략이라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의 선점에서 넥타를 먹는 포식응애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산분꽃나무가 8.1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아왜나무가 2.6마리로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은 생존을 위하여 초식에 대한 다양한 방어전략을 발달시키면서 생육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산림생태계를 위한 수목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사료된다.

호두나무와 가래나무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Juglans regia and J. mandshurica)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98-303
    • /
    • 2010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호두나무와 가래나무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치악산, 청태산, 중왕산, 경기도 남양주시, 원주시에 생육 중인 개체목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가래나무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호두나무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소엽 당 domatia 평균 갯수는 호두나무는 19.6개로 나타났고, 가래나무는 28.3개/엽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잎 표면의 털은 호두나무의 경우에는 맥액의 domatia 구조에서만 성모가 있으나, 윗면 아랫면 모두 털이 거의 없었다. 가래나무는 잎의 윗면에는 거의 털이 없으나, 뒷면에서는 맥상에는 밀도가 높고 엽신에도 성모(stellates)와 점액질을 분비하는 선모(glandula hairs)가 많이 분포하였다. 가래나무의 선모는 매우 유용한 직접적인 방어전략이라 사료된다. 엽에서 관찰된 엽당 포식응애의 개체수는 수종 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가래나무가 호두나무 보다 포식응애의 개체수가 많았다. 가래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이 부분에서도 호두나무에 비하여 가래나무가 우월한 간접적 방어전략을 지녔다고 사료된다. 가래나무 잎 뒷면에 선모를 밀생시키고 있는 것은 초식에 대한 훌륭한 방어전략이라 평가되며, 재배하는 호두나무 품종개량에서 이 형질을 도입하는 것이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사료된다.

담배식물체에서 스트레스에 따른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Stress-induce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Tobacco Plants)

  • 오인숙;소상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313-317
    • /
    • 2004
  • MMPs는 $Zn^{2+}$-의존성 endopeptidase로서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식물체에서 잎의 발생단계별로 분비되는 MMPs의 활성과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MM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MPs의 활성은 기부 부위의 완전히 성숙한 잎보다 엽신의 확장이 일어나고 있는 어린잎에서 높았다. 이는 식물체에서 잎 신장을 위한 세포내 공간 형성 및 조직재구성에 MMPs가 중요한 단백질분해효소로 작용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서 MMPs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염처리와 병원균 감염에 의해 각각 1.2배와 1.5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체가 발생단계 외에도 불리한 환경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MMPs가 생성 분비함을 알 수 있었다.

에틸렌 및 Elicitor처리에 의한 아기장대풀의 키틴 가수분해 효소 유도 (Induction of Arabidopsis thaliana Chitinase by Ethylene and Elicitor Treatment)

  • Kyung Hee PAEK;Seok Yoon KWON;Hye Sun CHO;Jin Sam YOU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57-362
    • /
    • 1994
  • 키틴 가수분해 효소와 베타-1,3-글루카네이즈는 식물체의 주요 방어효소로 여겨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기장대풀의 잎조직으로부터 고정된 현탁배양주를 만들고 이어서 에틸렌과 유인제 (elicitor) 처리에 의한 키틴 가수분해 효소유도양상을 분석하였다. 키틴 가수분해 효소활성은 $^3$H으로 표지된 키토산을 기질로 한 radiochemical 분석방법이나 담배식물체의 키틴 가수분해 효소를 대상으로 얻어진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결과 에틸렌과 유인제 처리 공히 48시간후에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또한 씨앗, 새싹, 식물체의 잎, 뿌리 등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여 뿌리에서 키틴 가수분해 효소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