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 고사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6초

형질전환 감자에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인 PAT gene의 간편한 확인 (The simple assay of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gene on the transgenic potato)

  • 정재훈;양덕춘;방극수;최경화;한성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259
    • /
    • 1999
  • 제초제 bialaphos에 저항성인 phosphinothricin ace-tytransferase gene이 도입된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에서 유전자의 간편한 확인방법을 확립하였다. 먼저 형질전환체와 대조식물체의 잎 disc를 취해 bialaphos 5mg/l를 처리한 액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배양 25일이면 대조식물체의 잎 disc는 완전히 고사되어 형질전환체와 구별이 가능하였다. 감자의 뿌리 생육 비교실험에서는 bialaphos 0.5mg/l의 농도에 agar를 0.6% 첨가한 선발배지에서 식물체의 정단부위를 치상하여 비교하였을 때 7-10일이면 뿌리의 생육차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형질전환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감자의 잎 disc를 제초제 bialaphos 0.5mg/l를 처리한 액체배지에 치상하여 15일이 경과한 후 chlorophyll A의 함량을 측정하였을때 형질전환체는 대조식물체보다 2.5배 정도 많은 chlorophyll A를 가지고 있어 형질전환체의 조기 판별시 chlorophyll A함량에 의해 검증이 가능하였다. 한편, 이렇게 형질전환 여부가 확인된 감자 식물체를 이용하여 PAT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 식물체에서는 PAT효소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에서는 모두 효소의 활성이 높았다.

  • PDF

Particle Bombardment 방법을 이용한 인공 씨감자의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Intact Potato Microtuber by Particle Bombardment)

  • 최경화;전재흥;김현순;정영희;임용표;정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7-91
    • /
    • 1997
  •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코팅시킨 입자를 particle bombardment 기법으로 자주감자 품종의 인공씨감자에 도입시켰다. 발아직전에 있는 인공씨감자의 생장점 부위를 집중적으로 particle bombardment 한 후 발아한 인공씨감자를 온실에 심었다. 온실에서 5주동안 생육시킨 후 northern 분석결과 유전자가 발현된 2개의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고 제초제 살포 실험을 한 결과 형질전환 되지않은 식물체는 모두 고사하였지만 형질전환된 2개의 자주감자 식물체는 생존하였다.

  • PDF

벼흰빛잎마름병에 있어서 병원균의 접종 농도가 병의 발전속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oculum Concentration and Disease Development in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 조용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
    • /
    • 1975
  • 본 실험은 벼흰빛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계통선발에 필요한 인공접종법 개발을 위해 시도한 것으로서 병원균의 접종농도와 식물체의 노유가 본병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중점을 두었다. 일정한 환경조건하에서 본병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은 식물의 묘령이 어릴 때 일수록 예민하게 나타났으며 식물의 생장과 더불어 점차 둔감해지는 경향이었다. 파종후 14, 37, 48 및 58일째 되는 식물에서 본병에 대한 저항성과 이병성 계통을 선별할 수 있는 병원균의 적정농도는 각각 $10^6,\;10^7,\;10^7-10^{-9}$$10^9 cells/ml.,$였다. 어린 식물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농도의 접종액은 식물의 품종에 관계없이 단시일에 고사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묘령이 많은 식물에 대해 일정수준 이하의 세균접종농도를 적용했을 때는 식물의 품종간 특성을 구별할 수 없었다.

  • PDF

하천복원을 위한 버드나무속 식물의 내침수성 실험 연구 (Study on Flooding Tolerance of Salix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 김은진;강준구;여홍구;김종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7-333
    • /
    • 2014
  • 하천 생태 기능 증대 등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 조성 시 내침수성이 강한 식물을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침수기간에 따른 하천식물의 생육특성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드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식물키, 엽수, 녹색정도, 건중량 등을 측정하여 내침수성 및 침수기간에 따른 성장률을 분석하였으며 탁수에 의한 침수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 중 내침수성이 가장 강한 식물은 버드나무이며 정수 상태의 침수는 고탁수 침수보다 고사 가능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버드나무속 식물은 20일 이하의 침수 시 비침수 조건보다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시스템의 차이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 박지혜;박봉주;김원태;윤용한;박상현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59-561
    • /
    • 2008
  • 본 연구는 저토심 저관리를 목적으로 한 옥상녹화시스템에 각시둥글레와 흰줄무늬사사를 식재한 후, 식물생육과 토양수분함량의 평가를 통해 적정 토양배합비와 토심을 추출하고자 실시하였다. 흰줄무늬사사의 경우, 적은 개체로도 높은 피복율을 나타냈으며, 7cm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 구에서 양호한 생장량을 보였다. 특히, 배합비율 6:2:2 실험구에서 초장, 근원직경, 엽폭, 엽길이, 엽병길이, 착엽수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시둥글레는 높은 고사율을 보여 옥상녹화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합에 있어서 Aphelenchoides ritzemabosi의 기생에 관한 연구 (Aphelenchoides ritzemabosi from Diseased Lily Leaves)

  • 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7
    • /
    • 1977
  • 백합 (Lilium longiflorum Thumb)의 정부로부터 하부로 내려가면서 잎이 황갈색으로 변하다가 마르며 마른잎은 떨어지지 않고 줄기에 그대로 붙어있으면서 결국 식물이 고사하게 되는 것은 Aphelenchoides ritzemabosi에 의한 피해인 것을 발견했으며 백합이 본선충의 기주식물로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그리고 본선충 형태적 특징을 기술했다.

  • PDF

온실조건에서 Ustilago maydis의 소생자 및 동포자 접종에 의한 옥수수 유묘의깜부기병 발병유도 (Smut Induction on Corn Seedlings by Indoculation of Sporidia and Teliospores of Ustilago maydis in Greenhouse Conditions)

  • 김충회;이현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1-296
    • /
    • 1996
  • 옥수수 유묘접종시 깜부기병이 가장 잘 발병하는 조건은 4엽기 옥수수묘를 10\ulcorner~10\ulcorner/ml 농도의 소생자 현탁액으로 경엽살포한 후 28~3$0^{\circ}C$의 습실상에서 24시간 둔 후 꺼내어 온실에 두었을 때였다. 유묘의 엽기가 이보다 어리거나 접종원 농도가 이보다 높을 때, 혹은 습실상내 처리기간이 길어지면 접종후 유묘의 이른 고사를 초래하였다. 또한 습실상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깜부기병의 발병정도도 감소하였다. 깜부기병의 발생은 소생자 현탁액의 경엽살포 및 줄기주사접종에 의해서는 가능하였지만 토양관주에 의해서는 발병하지 않았다. 소생자 현탁액은 별도의 영양원의 첨가 없이도 발병을 잘 유도하였다. 동포자 현탁액을 직접 경엽살포하거나 줄기주사접종하여도 발병하였으나 소생자 현탁액접종에 비하여 발병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 PDF

Botryosphaeria dothidea에 의한 석류나무 줄기썩음병 (Canker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Caused by Botryosphaeria dothidea)

  • 김승한;김동근;이준탁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18-20
    • /
    • 2003
  •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 정원수로 심어져 있는 석류나무 (Punica granatum)에서 잎의 황화와 가지의 고사현상과 더불어 가지표면에 혹이 발생하는 것을 채집하였다. 이혹에서 Botryosphaeria dothidea균이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균을 석류나무 가지에 재접종하였을 때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자연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에서 Botryosphaeria dothidea에 의한 석류나무 줄기썩음병(가칭)으로 최초 보고한다.

전남지역 온실멜론의 노균병 발생 및 방제 실태 (Occurrence and Control of Downy Mildew of Netted Melon in Chonnam Province)

  • 고영진;안미연;서정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59-462
    • /
    • 1996
  • 예년과는 달리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낮은 기온과 잦은 강우로 인한 음습한 날씨가 지속되었던 전남지방의 온실멜론에서 노균병이 격발하였다. 올해 전남지역에서 심하게 발생한 노균병의 병징은 다각형의 모무늬 외에도 불규칙한 대형의 부정형 무늬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급성형 병징들은 주로 개화기 무렵 아랫잎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병이 진전됨에 따라 윗쪽으로 진전되었고 병반이 뭉쳐져 잎을 급속하게 고사시켰다. 표본 조사한 12개 농가의 시설 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실멜론의 노균병 이병엽율은 1%에서 100%까지 다양하였으며 수확을 전혀 못한 농가도 있었다. 각 농가에서는 노균병의 방제를 위하여 발병초기부터 농가당 최소 3회에서 최고 8회까지 살균제를 살포하는 방제 노력을 기울였으나 정확한 노균병 진단의 실패와 적정 약제 선정의 실패로 혼선을 빚어 방제효과는 높지 않았으며, 농약의 남용과 오용이 병방제에서 심각한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 PDF

벼 엽록체 small HSP의 과발현에 의한 형질전환 식물체의 내열성 증가 (Overexpression of Rice Chloroplast Small Heat Shock Protein Increases Thermotolerance in Transgenic Plants)

  • 원성혜;조진기;이병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3-89
    • /
    • 2003
  • 엽록체 small HSP의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벼로부터 분리한 엽록체 small HSP를 구성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작하였다. 먼저 고온 스트레스 조건하에서의 형질전환 식물체의 내열성을 chlorophyll 형광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Leaf disc를 고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5분간 처리한 후, 광화학계 II의 불활성화를 나타내는 Fo 값과 증가치를 조사하였다. 형질전환 식물체는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의 Fo 값의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무균적으로 Petri dish에서 재배한 유식물체를 치사온도인 $52^{\circ}C$에서 45분간 처리한 후, $20^{\circ}C$ 에서 계속적으로 배양하였을 때, wild-type 식물체는 전부 고사하였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의 약 80%는 정상적으로 생존하였다. 또한 과발현된 Oshsp26 단백질의 축적량이 많을수록 내열성의 정도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엽록체 small HSP가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 광합성기구를 보호함으로서 식물체의 내열성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