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종 다양성

Search Result 7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Vegetation Types and Diversity Pattern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종다양성 패턴)

  • Cho, Hyun-Je;Lee, Chang-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1
    • /
    • pp.118-123
    • /
    • 2011
  •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of 315 sites were classified by apply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TWINSPAN and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diversity patterns of the vegetation types analyzed and documented. The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8 groups including 4 groups of Quercus mongolica type and 4 groups of Quercus serrata-Smilax china type. Taxonomically, Compositae was the most diverse family (21 genus, 45 species) and followed in order of Liliaceae (18 genus, 34 species), Rosaceae (17 genus, 34 species), and Leguminosae (15 genus, 25 species). The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diveristy and even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egetation types. In altitudinal pattern of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monotonically decreased but species even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Floristic study of lagoon areas on the eastern coast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해안 석호의 관속식물상)

  • Kim, Jung-Hyun;Kim, Sun-Yu;Hong, Jeong-Ki;Nam, Gi-Heum;An, Ji-Hong;Lee, Byoung Yoon;Kim, Jin-Se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1
    • /
    • pp.51-93
    • /
    • 2017
  • Eastern coastal lagoons are a particular type of estuarine systems where seawater mixes with fresh water from their catchments. With the development of aquatic vegetation, this area shows high level of bio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of coastal lagoons through studies of the floristics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s in 17 eastern coastal lagoons in Korea.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09 times, from June of 2010 to November of 2014.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720 taxa in total, including 118 families, 378 genera, 655 species, 13 subspecies, 46 varieties, and 6 hybrids. Korean endemic species numbered 11 taxa, and vascular plants listed in the red lis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numbered 18 taxa. Indicator species of fourth (IV) and fifth (V) degree, as specified by floristic subregions, numbered 23 taxa. Among the species investigated in this survey, there were 4 taxa of plants of southern origin and 8 taxa of plants of northern originin the Korean peninsula. Several rare plants, Thermopsis lupinoides, Ligusticum hultenii, Mitrasacme alsinoides, Utricularia australis, Juncus fauriei, Carex vesicaria, and Puccinellia kurilensis, were distributed in eastern coastal lagoons. In all, 96 alien plants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coastal lagoon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showed high plant diversity with many rar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oastal lagoons are discussed in detail.

The comparative study of vegetation between River Experiment Center and near-streams (하천실험센터와 주변 하천의 식생 비교 연구)

  • Kim, Eun-Jin;Yeo, Hong-Gu;Park, Moon-Hyeong;Kim,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2-742
    • /
    • 20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는 이수, 치수, 환경을 조화시키는 하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9년 11월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하아리 낙동강변에 준공되었으며 초당 8톤의 인공홍수발생이 가능한 3개의 실험수로와 유 출입수조, 다목적호수실험장, 저류지 및 연구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하천실험센터의 식생과 3가지 유형(본류형, 자연제방지류형, 인공제방지류형)의 인근 하천식생을 비교분석하여 하천실험센터의 현재 식생환경을 파악하고 차후 연구의 기초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하천실험센터(급경사수로, 직선수로, 사행수로, 유출수조, 자연식생보존구간),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에서 대표성을 갖는 장소 각각 1개 지소를 선정하여 식물상조사 및 식생단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습생도, 교란도, 외래종율, 종다양성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현재 하천실험센터의 식생환경이 타 조사지의 하천식생과 비교하여 어떤 유사성을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전체조사구간에서 총 108종류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3개의 실험수로는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일반하천의 수 습생식물의 종수보다 적었으며 반면에 육상식물의 종수는 더 많게 조사되었다. 또한 1 2년 식물의 경우 실험수로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고 다년생초본과 목본은 소수였다. 하천실험센터의 자연식생보존구간의 경우 총 식물 종수 및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식물상의 출현유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과 유사도가 낮게 구분되었으며 자연식생보존구간은 낙동강 본류 및 상리천과 유사도가 높게 분류되었다.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준공당시 기존의 식생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하천식생의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육상식생에 가까운 식생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식생보존구역의 경우 다양한 버드나무류와 초본류가 정착되어 있으며 타 대상지에 비하여 가장 뛰어난 생태성을 가지고 있다. 하천실험센터는 하천실험을 위한 장소이나 그 자체로 생태가치가 높으며 차후 생태연구, 홍보, 교육활동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 PDF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onicera insularis, Medicinal Plants (약용식물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자생지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 Yonghwan Son;Hyun-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1-61
    • /
    • 2022
  •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식물로 우리나라 울릉도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인동과 식물 중 인동(L. japonica Thunb.), 괴불나무[L. maackii (Rupr.) Maxim] 등 다수의 분류군이 약리효능이 입증되었으며, 맛이 뛰어나 차, 술, 음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섬괴불나무는 최근 면역자극 및 항비만 활성 등 다양한 약효가 확인되어 약용자원으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큰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특산식물인 섬괴불나무의 적정 자생지를 명확하게 구명하여 보전생물학적 연구, 재배 및 산업화와 같은 현지 외 보전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울릉도에서 확인된 섬괴불나무의 주요 분포지는 4개소로 해안도로 일대에 자생하고 있었다. 입지환경은 해발고도 8-20 m, 사면 방위는 남사면, 경사는 15-30°로 완경사지에서 주로 자생하고 있었다. 방형구(10×10 m) 내 개체수는 5-25 개체로 대부분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개 조사구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구는 곰솔 군집(Pinus thunbergii Parl.)으로 상층의 발달이 거의 없는 전형적인 해안 식생의 구조로 확인되었다. 관목층은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송악[Hedera rhombea (Miq.) Bean], 머루(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등이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초본층은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L.) R.Br], 해국(Aster spathulifolius Maxim.) 등으로 인하여 섬괴불나무는 피압된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의 안전성,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성지수는 1.259, 최대종다양성지수는 1.286, 균재도는 0.979, 우점도는 0.021로 확인되었다.

  • PDF

Modelling of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ecies Richness of Fishes, Plants, and Birds Using Environmental Factors on a Wide-Ranging Scale1 - Focusing on the Major Drainage Systems in Japan - (광역스케일의 환경 인자를 이용한 어류, 식물, 조류 종수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모델링 - 일본의 주요수계를 중심으로 -)

  • Han, Mi-Deok;Lee, Gi-B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4
    • /
    • pp.347-355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and model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cies richness of fish, plant, and bird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limatic and geographical variable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09 major drainage systems in Japan from 1990 until 2005. As a result, the most parts of the distributions of the fish, plant, and bird species richness were clarified by the average annual atmospheric temperature, dimension of drainage areas, and annual rainfall,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predicted the value of each organism species distributed in national drainage areas in Japan using GAMs(Generalized Additive Models) for each organism model created by environmental factors on a wide-ranging scale, and also mapped out the value. Mapping out the predicted value could make it easier for its managers to newly set up the areas needing to be protected to obtain diversity of the organism species and to assess their availability of conservation for bio-diversity.

Changes of Insect Divers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Insect Garden (곤충생태원 조성 후 곤충상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영철;김근영;박해철;이영보;김종길;최지영;심하식;문태영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2 no.1
    • /
    • pp.21-27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sects diversity and host plants from 1998 to 2001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insect park in Suwon in Korea. After the construction in 1997 the insect species and populations have been increased yearly to date. A total of 343 species out of 138 families of 11 orders was surveyed at the park from April to November in 2001. The number of species increased from April to July and showed a peak in June. Coleoptera was a dominant order, and Dolichus halensis (Schaller) of Coleoptera, Artogeia rapae (Linne) of Lepidoptera, and Liorhyssus hyaalinus (Fabricius) of Hemiptera were dominant species.

Structurization in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Pattern of Soil Seed Banks in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한국 광릉숲 매토종자에서 군집 종조성 및 다양성 양상의 구조화)

  • Kim, Han-Gyeol;Oh, Seung-Hwan;Cho, Yong-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4
    • /
    • pp.577-589
    • /
    • 2021
  • Soil seed bank community contributes to the long-term conservation of plant diversity and vegetation dynamics, and their decreasing diversity and density with soil depth provide critical perspectives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for understanding the community disassembly process. We analyzed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and structuring patterns by soil layer (top and bottom), including surface vegetation, in Gwangneung Forest, a mature forest with a vegetation climate in the temperat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wo layers of soil collected with a vertical difference of 10 cm, 934 specimens of 27 families, 40 genera, 44 species, three varieties, and 47 taxa, germinated. Although species diversity and germination density decreased in most comparative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typ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large deviations. Within-group variability of species composition was similar in the upper and lower soils, as was the decline pattern in co-occurred species (ζ-diversity) and change in species retention probability. The structuring process of the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two soil layers was fitted with an exponential correlation rather than a power function, demonstrating the dominance of the stochastic process. The pattern in diversity and species turnover according to soil depth in Gwangneung Forest was discovered to be structured by stochastic random events, such as seed vertical movement rather than interaction with trait characteristics.

Industrization of Natural Plant Resources (자원식물의 산업화)

  • 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
    • /
    • 2010
  • 자원식물을 소재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기간산업이며, 미래형 고부가가치산업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55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연 강우림 등의 미개척지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더욱 많은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식물들 중에는 작물로의 개발이 가능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식물들이 많이 있다. 자원식물들은 예로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유지용, 기호용, 밀원용, 섬유용, 향신료용, 향료용, 당료용, 호료용, 염색용, 수지용, 탄닌용 등으로 구분되어 이용되어 왔다. 자원식물은 종에 따라 꽃,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등 부위별로 다양하게 산업적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자원식물 등 천연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활용가치를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주 5일제 실시 및 여가활용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농촌 경관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경관산업은 국민의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산업으로써 지역 이미지 강화를 통한 지역 홍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경관산업에 사용된 생물소재를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농촌 경관산업은 자연과 농촌을 활용한 자연 친화형 관광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고부가가치형 종합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경관산업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써 자원식물의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에 자생하는 고유의 자원식물을 활용하면 지역 특화 경관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친환경 건강 기능성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과 농촌 경관산업을 활용한 생물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식물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고, 각 자원식물별로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구축하여 다양한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 유종수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4
    • /
    • pp.420-425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marine benthic community were studied in the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A total of 75 species of benthic marine plants including 4 Cyanophyta, 6 Chlorophyta, 17 Phaeophyta, 47 Rhodophyta and 1 Magnoliophyta are listed. The dominant marine plants were melobesioidean algae, Chondracanthus tenellus, Sargasium thunbergii, Corallina spp., and Phyllospadix japonica and Ulva pertusa was added in summer. Chthamalus challengeri and Mytilus edulis were dominant zoobenthic species in the upper and middle intertidal zone. The algal species diversity index based on coverage was 1.81; 2.25 from frequency; 2.19 from average of total frequency and coverage, and 1.80 from importance value. The algal diversity indices estimated from different sources were quite different. This means that the index value changes depending on the sources used to calculat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indicating how important it is to select the based data and tha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methodology when studying later the algal diversity index.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species identified in this study has been found to be reduced by 65% at highest,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was conducted in the coast of Busan.

Report of Unrecorded Alien Plant,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Commelinaceae) (미기록 외래식물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닭의장풀과)의 보고)

  • Eun Su Kang;Chang-Uk Kim;Dong Chan S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2-52
    • /
    • 2022
  • 제주도 서귀포시와 경북 안동시에서 사마풀속(Murdannia Royle)에 속하는 미기록 외래식물인 Murdannia nudiflora (L.) Brenan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Murdannia nudiflora는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가까운 일본에도 도입되어 있다. 종소명인 'nudiflora'는 본종의 조락하는 소포엽의 특징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M. nudiflora는 소포엽 외에 국내 자생하고 있는 사마귀풀[M. keisak (Hassk.) Hand.-Mazz.]과 뿌리, 꽃, 열매 및 종자의 외부형태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M. nudiflora는 사마귀풀과 달리 뿌리줄기가 없고, 말단 혹은 액생하는 화서에 여러 개의 꽃이 피며, 꽃은 수술 2개, 헛수술 2-4개를 가지고, 열매는 자실 당 2개의 종자를 가지며, 종자는 작은 구멍이 있는 망상형 표면을 가진다. M. nudiflora는 닭의장풀과(Commelinaceae)에 속하는 분류군 중에서도 병해충을 유발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잡초로 악명이 높으며, 주로 목화, 벼, 참깨 등과 같이 주요 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의 발견지들은 모두 해당 작물을 재배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작지로 M. nudiflora는 수입된 재배종 종자와 섞여 비의도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M. nudiflora의 화상자료 및 형태적 기재와 함께 국내 근연 분류군과 구별할 수 있는 검색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