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생육

Search Result 3,02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Growth Responses of South Korea Three Evergreen Woody Species according to Indoor Light Intensity Conditions (실내 광량조건에 따른 자생 상록 목본 3종의 생육반응)

  • Jang, Bo Kook;Lee, Cheol Hee;Oh, Chan-Jin;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6-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생 상록 목본 3종의 실내도입을 위하여 몇 가지 광량조건에서의 식물생육 및 광화학 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황칠나무[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 Hara], 먼나무(Ilex rotunda Thunb.), 편백[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의 2년생 실생묘를 유리온실에 재배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내에 조사되는 광환경을 측정하여 광량 10, 50, 100 및 200 PPFD(${\mu}mol{\cdot}m^{-2}{\cdot}s^{-1}$)를 처리구로 설정하였다. 실내환경은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및 습도($55{\pm}3%$)를 유지하였으며, 1회/3일 간격으로 관수하였다. 유리온실에서 동일기간 동안 재배중인 식물을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실험은 8주간 수행되었다. 황칠나무와 먼나무는 200 PPFD의 높은 광량에서 초장, 줄기직경, 엽장, 엽수 등의 생육수치가 우수하였다. 반면 두 종 모두 10 PPFD 광량에서는 재배기간 중 잎이 말라가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8주차에 모든 식물체가 고사하였다. 이는 10 PPFD 광량에서 재배된 황칠나무와 먼나무의 광화학반응에서도 Fv/Fm (-0.10, -0.08) 및 Fm/Fo (0.91, 0.93)가 낮은 수치로 조사된 반응과 일치하였다. 한편 편백나무는 모든 광량조건에서 대조구에 비해 초장 및 줄기직경 등의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10 PPFD의 낮은 광량에서는 Fv/Fm (0.16) 및 Fm/Fo (1.60)가 타 처리구에 비해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다.

  • PDF

Optimal Control Algorithm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 Factory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최적제어 알고리즘)

  • 홍순호;류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04a
    • /
    • pp.53-54
    • /
    • 1995
  • 식물공장의 생육환경 제어는 작물의 생장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시설 내부의 환경요인을 경제적 최적 상태로 구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작물 생장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과 환경제어 시스템에 관련된 공학적 관점, 그리고 수확된 작물과 에너지 투입에 대한 경제적 관점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작물의 생장 모델과 환경제어에 소요되는 에너지 투입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효율적인 생육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2: Adapt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to Changing Environment (광합성의 생리생태(2) - 환경변화에 대한 광합성의 적응반응 -)

  • 김판기;이은주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3 no.3
    • /
    • pp.171-176
    • /
    • 2001
  • 25만 여종에 달하는 지구상의 식물은 생물권의 무수한 환경변화 속에서 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전적인 진화를 통하여 지구상에 정착하였다. 이들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기상환경은 매우 다양하며, 생장과정에서 수많은 환경변화를 시간적ㆍ공간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생육 환경이 변화하면 식물의 형능적, 생리적, 생합성적 특성이 변화하는 반응이 나타난다. (중략)

  • PDF

거머리말속 (Zostera Linne, 잘피) 식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 Lee, Sang-Yong;Heo, Seung;Choi, Ch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75-276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해산현화식물인 거머리말속 (Zostera, 잘피)의 거머리말 (Zostsra marina), 애기거머리말 (Z. japonica), 수거머리말(Z. caulescens)과 포기거머리말 (Z. caespitosa)들은 연안의 사질과 사니질에 생육하며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식물의 군집들은 조간대와 조하대에 침수 또는 노출되어 생육하면서 영양염과 중금속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식물체는 유기쇄설물을 먹이연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중금속을 고등 영양단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T hree Monocot Plants Native to Korea according to Cultivation Environments in Greenhouse (온실재배환경에 따른 자생 단자엽식물 3종의 생육 특성 평가)

  • Yu-Jin Kim;Hamin Lee;Boran Ji;Kichan Kim;Bo-Kook Jang;Cheol Hee Lee;Ju-Sung C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7-47
    • /
    • 2022
  • 단자엽식물은 잎의 곡선과 직선의 조화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이로 인해 자생 단자엽식물의 실내 관상 및 조경용 소재개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재배에 대한 정보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단자엽식물인 참김의털[Festuca ovina L. var. coreana (St.-Yves) St.-Yves], 청사초(Carex breviculmis R.Br.), 골풀[Juncus decipiens (Buchenau) Nakai]을 대상으로 몇 가지 재배 조건에 대한 생육 차이를 확인하였다. 국립생물자원관으로부터 분양 받은 세 종의 종자는 휴면 여부와 발아 적온을 확인하기 위해 종자를 페트리디쉬에 파종한 후 15, 20, 25, 30℃(명 또는 암조건) 및 25/15℃(16/8h, 명/암) 조건에 배치하였다. 재배실험은 유리온실에서 수행되었으며, 토양에 파종 후 4주간 육묘한 다음 균일한 생육상태의 묘를 7cm 포트에 이식하여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토양실험은 시판 원예용상토와 마사토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비율을 1:1, 2:1 및 3:1로 조성하였다. 차광 환경은 55, 75% 차광과 무차광 조건으로 달리 하였으며, 추비는 재배 6, 8, 10주차에 500, 1,000ppm의 하이포넥스(NPK 7-10-6) 용액을 엽면시비 하였다. 토양실험을 제외한 모든처리구에서는 원예상토 단용을 사용하였으며, 이식 후 12주간 재배하였다. 발아 실험 결과, 참김의털은 명조건에서 25/15와 15℃를 제외하고 발아율이 10% 이하로 조사되었으며, 암조건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청사초는 모든 온도에서 90%이상 발아하였으며, 암조건의 경우 발아율이 10% 이하로 조사되어 광발아성 종자로 확인되었다. 골풀은 실험이 진행된 30일 동안 모든온도에서 발아하지 않았으나, 재배실험을 위해 토양에 파종된 골풀은 파종 약3주 이후 발아가 관찰되었다. 재배실험 결과, 참김의털과 청사초의 경우 2:1로 혼합한 토양에서 엽수와 분얼수, 생체중 등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관상적 가치가 높았으며, 골풀은 3:1의 혼합토양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차광은 세 종 모두에게서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청사초와 골풀은 500ppm의 하이포넥스를 시비하였을 때 생육이 촉진되었다.

  • PDF

Distribution of Zostera (Zosteraceae) ana Habita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Zostera Zosteraceae)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

  • LEE Sang Yong;KWON Chun Joong;CHOI Chung I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6
    • /
    • pp.501-507
    • /
    • 2000
  •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Zostera (Zosteracea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were examined along with plant monohology, sediment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seawater from June 1998 to July 2000,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species, Zostera marina, Z. asiatica and Z, caespitosa were found in specific habitats. The depth of habitat for Z. asiatica was deeper ($8.5{\~}15.0 m$) than that of Z. marina ($1.3{\~}5.6 m$) and Z. caespitosa ($3.2{\~}5.2 m$). Z. marina beds were observed at brackish-water, port and inner bay with the sediment type of sand or muddy sand. Habitats of Z. asiatica were restricted to the open bay with the sediment type of sand, Zostera have been described with regard to different growth forms of vegetation, flowering shoot and life history. Vegetation and flowering shoot length varied significantly with habitats; values ranged $66.8{\~}110.0 cm$ and $128.0{\~}217,8 cm$, respectively. Morphology of Z. marina varied with water depth and different substrat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 asiatica showed a new phenotype at the deeper water depth. Vegetation and flowering shoots of Z. caespitos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sites (values ranged from 64.9 cm to 70.3 cm). Nutrient concentrations of seawater were higher at southern part than at middle part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Distribution of Zostera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dependent upon differences in water depth and habitat environments, by which affected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affected.

  • PDF

Pot Cultivation Method of Veronica rotunda Nakai (둥근산꼬리풀의 포트 재배 방법)

  • 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8-88
    • /
    • 2019
  • 현삼과(Scrophulariaceae)의 둥근산꼬리풀(Veronica rotunda Nakai)은 흰색의 꽃이 총상화서로 피며, 관상용으로 쓰인다. 또한, 접선골도라 하여, 전초를 약용하고 활혈, 지혈, 청폐열, 화간위에 효능이 있는 자생식물이다. 본 연구는 둥근산꼬리풀의 포트 재배방법 확립을 위하여 2018년 5월 15일에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7월 16일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약 14주 동안 수행하였다. 식재용기 실험은 비닐포트[3치($7{\times}7cm$), 4치($9{\times}8.5cm$)]와 플라스틱 화분[8호($7{\times}7cm$), 10호($9{\times}9cm$), 12호($10.5{\times}10.5cm$)]를 이용하였고, 토양 종류[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 립수(1, 2, 4, 6립), 파종 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둥근산꼬리풀의 생육은 플라스틱 12호 화분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토양의 양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생육이 증가하였다. 토양 종류별로는 원예상토에서 재배한 처리구에서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중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3:1 혼용토의 경우, 원예상토와 전반적인 생육에 큰 차이가 없어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피트모스의 비율이 높은 4:1 혼용토에서는 비교적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잎이 황화되었다.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의 혼용토는 원예상토에 비해 왜화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측지수, 마디수, 엽수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개화율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한 종자의 양을 달리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전반적인 생육은 1립 파종구에서 양호하였다. 한편, 파종량이 많을수록 초장, 절간장이 감소하며, 포트당 마디수, 측지수 및 개화율이 증가하여, 본 연구의 목표인 관상적 이용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용기별 생산된 유묘이식 결과, 초기생육이 왕성할수록 후기생육도 우수하였다. 162구 생산묘 정식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전반적으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다음으로 200구 순이었다. 파종용기에 따른 묘의 크기는 정식 후의 개화율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둥근산꼬리풀의 재배는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여 162구 트레이에 셀당 6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분화용 재배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재배에 이용되는 토양의 종류에 따른 비율 및 개화촉진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ffects of Seedling Container, Soil Composition, Seeding Rates and Fertilizer Condition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변산향유 유묘 생장에 미치는 파종용기, 토양조성, 파종량, 추비조건의 영향)

  • Lee, Sang In;Park, Ji Woo;Kwon, Ye Eun;Kim, Sang Young;Cho, Wonwoo;Jeong, Mi Ji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1
    • /
    • pp.29-35
    • /
    • 2022
  • Elsholtzia byeonsanensis is a Korean native plant of the Lamiaceae family, and was first introduced in th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This plant has a short plant length of 20-35 cm, with leathery and glossy leaves. The purple flowers bloom in November, so they are highly useful as potted or ground cover ornamental plants. In this study, tray cell size (128, 162, and 200-cell trays), soil composition [horticultural soil (HS): decomposed granite (DG) 1:1, 1:2, and 1:4 (v:v)], seeding rate (1, 2, and 3 seeds per cell) and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s (0, 250, 500, and 1000 mg/L Hyponex) were tested to find out the optimum seedling growth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E. byeonsanensis growth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cell size of the tray increased. The growth was inhibited as the percentage of DG increased. As for the growth according to the seeding rate, plant 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decreased as the seeding rate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eaves, stem diameter, and root length.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in seedling growth as the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refore, for producing E. byeonsanensis seedling, it is most effective to fill HS or HS:DG 1:1 in 128-cell trays, sow one seed per cell, and spray the seedling at 1000 mg/L for additional fertilizer.

화원에서 발생하는 Bioaerosol 오염도 특성평가 : 화원종류, 계절 및 일중시간

  • Gang, Jung-Hwan;Jo, Wan-Geun;Kim, Mo-Geun;Lee, Ji-Hyun;Lee, Jun-Yeob;Sin, Seung-Ho;Kwon, G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7-39
    • /
    • 2005
  • total fungi 농도가 겨울철 실내${\cdot}$외 비 10배에서, 봄철 3배로 크게 감소한 이유는 겨울철 식물의 생육을 위한 화원내부 온도 및 습도가 선행 연구된 미생물 생육을 위한 환경과 유사하여 미생물의 포자 활동이 활발할 수 있고, 환기역시 봄에 비해 겨울동안 불량하여 발생한 fungi 포자가 희석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된다. 화원의 종류별 실험결과 식물의 수가 비교적 적고 토양이 없는 절화화원과, 식물의 수가 적고 건조한 선인장화원이 bacteria 농도가 적으며, 식물의 수가 많고 양분을 공급하기위한 썩은 토양이 많은 종합식물원과 난초농장의 경우 bacteria의 수가 많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식물의 포자 활동이 활발한 봄철에 미생물의 활동 또한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