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병원균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23초

식물 병원균 Bipolaris cynodontis로부터 분리한 새로운 Cochlioquinol 유도체의 구조 분석 (Structure Elucidation of New Cochlioquinol Derivatives from Pathogenic Fungus Bipolaris cynodontis)

  • 임치환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112-117
    • /
    • 1996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및 버뮤다그라스와 같은 벼과 잡초에 병해를 일으키는 Bipolaris cynodontis의 배양 추출물로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뿌리의 생육저해를 나타내는 3종류의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1H$, $^{13}C$ 및 2차원 NMR을 포함한 각종 기기분석방법을 통하여 이들 화함물들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저자에 의하여 보고된 바 있는 cochlioquinol이라 명명된 화합물의 유도체들로서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물질이며 숙주식물 중의 하나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대하여 활성(20~70%)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병원균의 병징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작약 검은뿌리썩음병 발생실태와 방제 (Occurrence and Control of Black Root Rot of Peony (Paeonia lactiflora) on Continuous Cropping)

  • 최성용;박경석;김기재;김재철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68-271
    • /
    • 2004
  • 작약검은뿌리썩음병은 연작을 할 경우 현저히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태백작약 품종에 비해 의성작약 품종에서 좀 더 심한 발병을 보였다. 종구로 사용하는 뇌두를 약제에 침지시 병원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물에만 침지한 경우 병원균이 검출되었다. 연작지의 토양개량시 검은뿌리썩음병의 방제는 효과가 없었으나 다조메입제로 토양을 훈증소독할 경우 토양훈증처리구에서 주근중과 근장이 단순연작구와 비교하여 50% 정도 증가하였으며 검은뿌리썩음병의 발병율은 무처리구의 경우 40.6% 정도 발병되었으나 토양훈증처리구는 4.7% 정도로 발병되어 아주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종구소독과 훈증처리를 병행시 발병율은 더욱 낮아졌다.

우리나라 사과 과수원의 토양 병해 발생 현황 (Incidence of Soil-Borne Diseases in Apple Orchards in Korea)

  • 이상범;정봉구;장한익;김기홍;최용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138
    • /
    • 1995
  • 우리나라 사과원에서의 토양병 발생현황과 발생실태를 1991년부터 1993년까지 3년간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주수의 약 8.1%가 각종의 토양 병원균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병 중 자주날개 무늬병의 발생빈도가 5.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흰날개무늬병과 역병의 이병주율은 각각 2.5%와 0.2%로 조사되었다. 자주날개무늬병에 감염된 나무에서는 잎의 황화 및 조기낙엽, 신초생장 억제, 과실 생육 불량 등의 지상부 병징이 관찰되었고, 지하부 뿌리 표면에는 적자색 실모양의 균사나 균사속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뿌리의 표피는 쉽게 벗겨지고 목질부로부터 잘 이탈되는 특징이 있었다. 흰날개무늬병균에 감염된 나무의 뿌리는 흰색의 균사 혹은 균사막으로 싸여 있으며 이 균사막은 시간이 경과하면 회색 내지 흑색으로 착색되었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백색 부채모양의 균사막과 실모양의 균사속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병원균은 목질부까지 부패시키므로 병의 증세가 심하게 나타났다. 자주날개무늬병은 새로 개원한 10년 이하의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다. 자주날개무늬병은 왜화도가 높은 대목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나 흰날개무늬병은 대목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명되었다. 자주날개무늬병은 식양토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흰날개무늬병은 사양토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다.

  • PDF

NUV 광조사에 의한 배나무 흰날개무늬병의 분생자과 형성 (Induction of Conidioma Formation of the White Root Rot Fungus in Axenic Culture under Near Ultraviolet Light Radiation)

  • 이중섭;박종한;한경숙;최용문;송본직행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42-46
    • /
    • 2003
  • 흰날개무늬병원균의 분생자과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NUV 광을 조사하면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였다. 흰날개무늬병원균을 Oatmeal Agar 배지상에 7일동안 배양시킨 후 살균처리된 배나무 가지를 을려놓아 2$0^{\circ}C$실온에서 5일 동안 NUV 광을 조사하면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배나무 가지표면에 분생자병속이 처리 5주후에 95% 형성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유기된 분생자병속으로부터 63%의 분생자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새롭게 형성된 분생자병속과 분생자의 형태적 특성은 Dematophora necatrix에 대하여 보고된 것과 동일하였다.

Isopropylphenyl 유도체들의 합성과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Synthesis and Phytopathogenic Activities of Isopropylphenyl Derivatives)

  • 장도연;최경길;이병호;김태준;정봉진;최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78-186
    • /
    • 2007
  • 항균균활성이 있는 4-isopropylphenol(I)과 2-isopropylphenol (II)을 출발물질로 하여 ester, sulfonyl ester, phosphoyl ester와 ether계열 유도체 42종을 합성하였으며, 확인은 IR, $^{1}H-NMR$과 GC/MS를 이용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에 대한 in vitro 항균활성 실험을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 외 9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2-isopropylphenyl piperonyloate(II-7a)가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과 토마토잎마름병균(Phytophthora infestans)에 효과가 있었으며, 4-isopropylphenyl bromoacetate(I-3a)가 오이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4-isopropylphenyl-4-methoxybenzenesulfonate(I-6b)는 벼도열병균(Pycularia oryzae)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isopropylphenylbenzyl ether(I-4d)가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In vivo 실험에서는 2-isopropylphenyl piperonyloate(II-7a)가 오이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과 토마토잎마름병(Phytophthora infestans), 4-isopropylphenyl 4-methoxybenzenesulfonate(I-6b)가 벼도열병(Pycularia oryzae)에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EST기법을 이용한 고추와 고추역병균간의 상호작용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분석 (Analysis of Genes Expressed during Pepper-Phytophthora capsici Interaction using EST Technology)

  • 김동영;이종환;최우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87-1192
    • /
    • 2014
  • 고추는 한국, 중국, 멕시코를 포함한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전형적인 향신료로 식용되고 있으며 그 생산량 및 사용량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고추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는 고추의 생산에 있어, 질적, 양적으로 많은 피해를 야기하는 식물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난균강에 속하는 이 병원균은 기주식물의 뿌리, 줄기, 잎과 함께 과실에 이르기까지 식물체 전체를 가해한다. 고추역병의 발병을 분자수중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발병과정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분석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최근 개발되어 응용되고 있는 발현서열표지(expressed sequence tags, ESTs)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고추역병균을 접종한후 3일째 발병초기의 고추잎으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이용하여 고추-고추역병균 발병초기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이 cDNA library에서 무작위로 선발된 5,760 clone에 대하여 말단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5,148개의 양질의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contig assembly에 적용한 결과, 2,990개의 unigenes을 확보하였다. 이들 2,990개의 unigenes에 대한 BLASTX를 이용한 상동성 분석결과, 2,409개가 기존에 알려진 서열과 matching을 보였으며, 이중 606개가 기능적으로 구분되었다.

Isopropylmethylphenyl benzenesulfonate 유도체의 합성과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리활성 (Synthesis and Phytophathogenic Activities of Isopropylmethylphenyl benzenesulfonate Derivatives)

  • 최원식;남석우;김학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54-4862
    • /
    • 2010
  • 본 연구에서 thyme oil의 주성분인 thymol (1)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4-isopropyl-3-methylphenol (2), 5-isopropyl-3-methylphenol (3), 4-isopropylphenol (4)과 2-isopropylphenol (5)을 출발 물질로 하여 sulfonyl ester 계열 유도체 25종을 합성하였다. IR, $^1H$-NMR과 GC/MS를 이용하여 이들 유도체들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에 대한 식물병원균의 생장 억제실험은 벼도열병균(Pyrcularia grisea), 벼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토마토잎마름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과 오이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sca)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2-isopropyl-5-methylphenyl o-toluenesulfonate (1a), 2-isopropylphenyl 2,4,5-trich lorobenzenesulfonate (5b)와 2-isopropylphenyl 2-methyl-5-nitrobenzenesulfonate (5e)는 각각 in vivo에서 벼도열병균(Pyrcularia grisea), 토마토잎마름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과 오이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sca)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구강 질환 유발 미생물에 대한 항생작용을 갖는 천연물 추출물 검색 (Screening of the Natural Plant Extracts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n Dental Pathogens)

  • 백동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1
    • /
    • 2007
  • 구강청정제에 사용되는 많은 항미생물 성분들은 치주조직의 착색 및 작열감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하고, 좀 더 생체친화적인 항미생물 물질을 찾기 위하여,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소장하고 있는 2,125종의 식물추출물을 검색하였다. 항미생물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잘 알려진 치과 병원균(치주질환 3종, 충치 1종)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표적인 치주질환 유발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해서 19중의 식물 추출물이 항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7종이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 45종이 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 그리고 85종의 추출물이 충치 유발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 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중에서 총8종의 식물추출물이 실험에 사용한4종의 미생물 중 3종 이상에 대해 항생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Cudrania tricuspidata, Morus bombycis와 Mallotus japonicas가 실험에 사용된 4종의 치과 병원균 모두에 대해 항생작용을 나타내어 치과용 재료 혹은 양치액에 항미생물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Nested PCR 기법을 이용한 인삼 뿌리썩음병원균의 특이적 검출 (Specific Detection of Root Rot Pathogen, Cylindrocarpon destructans, Using Nested PCR from Ginseng Seedlings)

  • 장창순;이정주;김선익;송정영;유성준;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48-55
    • /
    • 2005
  • Cylindrocarpon destructans는 인삼 및 수목에 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토양 전염병 식물병원균이다. 신속 정확한 검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종 특이적인 primer와 nested PCR 기법을 활용하여 인삼 유묘로부터 뿌리썩음 병균 C. destructans로 2차 PCR증폭을 실시한 결과 병원성이 확인된 C.destructans에서만 400bp의 종특이적 증폭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종 특이성 primer 와 nested PCR 기법을 이용한 인삼뿌리썩음병균 DNA에 대한 반응 민감도는 최저 약 1fg으로 나타나 단 몇 개의 포자만 존재해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nested PCR 기법은 실제 이병토양에 심었을 경우에도 C.destructans 에 감염된 인삼 유묘로부터만 정확하게 병원균을 검출해 내었다. 종특이적 primer 와 nested PCR 기법을 이용한 본 연구 결과는 실제 재배농가에서 인삼 경작시 뿌리썩음병 진단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수풍뎅이 유충의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다양한 식물 균류병의 생물적 방제 및 생장촉진 (Plant Growth Promotion and Biocontrol Potential of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Using Gut Microbes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 김준영;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10-221
    • /
    • 2020
  • 곤충은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과 상호작용을 통해 공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공생자는 공진화를 통하여 극한 환경에서도 서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토양 속에서 부엽토와 식물 잔재를 먹고 사는 장수풍뎅이 유충의 장내에 존재하는 공생자는 식물병원균을 방제하는 데 유용한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식물병원균에 대해 활성을 갖는 유용 미생물 10종을 장수풍뎅이 유충의 소화기관 전장, 중장, 후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10종의 유용 미생물은 유묘 검정을 통하여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배추 뿌리혹병, 고추 탄저병, 고추 역병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10종의 항균활성 미생물은 형태적 특성과 16s rRNA gene 분석으로 Bacillus속 4종, Paenibacillus속 3종 및 Streptomyces속 3종으로 동정되었다. 유용 미생물은 인산 가용화, indole-3-acetic acid, siderophore 생성 활성이 우수하며 진균외막가수분해 효소인 β-1,3-glucanase, pretease 활성을 보였다. 10종의 유용 미생물 중, DM152 균주는 토마토와 고추 식물체의 모든 기관에서 생장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장수풍뎅이 유충의 소화기관으로부터 분리된 10종의 장내 미생물은 생물학적 방제제 및 생물비료의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