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물분야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9초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National Framework Data Model in Facility Area)

  • 이현직;박은관;최동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4
  • 본 연구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데이터모델 표준화에 대한 연구로 시설물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시설물 관련 응용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주제중심의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를 표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먼저 기본지리정보관련 선행연구인 기본지리정보 구축 연구 및 시범사업에서 정한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인 건물, 문화재를 검토하고 국내 외 표준 또는 데이터 모델 사례를 분석하여 대상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면담과 관련연구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범위선정 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의 대상이 되는 최종항목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및 데이터모델을 개발 할 수 있었다.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표준화 (Geographic Information - Framework Data Model in Facility Area)

  • 이현직;용민;최동주;류지호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6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표준 개발을 위해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와 관련된 국내ㆍ외 사례분석과 사용자요구사항 및 시설물분야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항목 선정을 수행하였으며, 선정된 범위에 대해 개념설계와 정보구조설계를 통한 데이터모델 설계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설계된 데이터모델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데이터모델 설계는 주제 및 부 주제를 정의하고 항목리스트를 작성하는 개념설계와 지형지물 Class 및 Type정의, 속성 및 도메인리스트정의, 관계정의 및 Class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정보구조 데이터모델 설계를 수행하고 설계된 내용은 데이터모델 통합설계서로 작성하였다.

  • PDF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품질 향상 및 활용 증대 방안 (Quality Improvement and Application increase of Framework Data in the Facility Area)

  • 유지호;허민;이현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9-88
    • /
    • 2006
  • 시설물분야는 지형지물의 약 50%를 차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정보를 활용하는데 있어 중요성이 매우 높으며, 다른 분야의 기본지리정보 보다 정보의 최신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구축에 이용되는 원시자료인 축척 1:5,000수치지도의 표현방법으로 인하여 건물에 관해 표현되는 정보가 한정되어 있으며, 수정/갱신 주기가 5년으로 정보의 최신성 및 정확도가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기존 구축 공정을 이용하여 기본지리정보를 구축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품질 저하 요인을 분석하고, 품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여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품질을 향상하였다.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활용 증대 방안으로는 속성정보 확장 방안과 위치정확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속성정보 확장 방안으로는 1:1,000 수치지도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속성정보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안과, LMIS 및 AIS 데이터의 연계하여 속성정보를 다양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치정확도 개선 방안으로 1:1,000 기반의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구축 실험을 수행하여 구축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여 최적공정을 제시하였다.

시설물 유지관리의 정보시스템 구축방향 (The Direction of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 Management)

  • 김태학;김남곤;주기범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74-477
    • /
    • 2002
  • 최근 정보기술은 여러 산업분야에 접목되어 보이지 않는 많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건설분야에서도 이러한 정보기술을 통한 정보화가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유지관리 분야는 건설 제 단계 중 관심 및 중요도가 점차 고조되고 있는 분야로 시설물의 공용기간동안 체계적인 관리기법을 도입하여 생애주기비용을 최소화하며, 시설물의 기능을 향상시키려는 유지관리 주체들의 분주한 움직임이 한창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변환경에 부합하여 가장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관리 정보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방향을 수립하는데 주요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상시설물을 선정하고 시설물별 유지관리 주체들에 대한 환경 및 현황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에 입각한 정보시스템 도입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유지관리 관린 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유지관리. 주체의 실무자들이 직접 수행하는 유지관리 관련 업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편집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Metadata Editor for Mana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n UFSN)

  • 이영균;김민석;김광호;김인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227-231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GIS 분야에서도 USN을 연동한 실시간 GIS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GIS 분야 중 지하시설물은 그 중요성에 비해 관리 감독의 어려움에 의해 정량적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을 획기적으로 정밀하게 관리 감독할 수 있는 UFSN(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앞서 요구되는 지하시설물 관리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관리데이터를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USN 메타데이터 표준과 국토해양부 3차원 공간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을 조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메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 편집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는 개발된 편집도구에 의해 작성되어 실제 관리시스템에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USN 기반 GIS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생산사양 개발 및 활용성 평가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se of National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 최동주;유지호;이현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7-163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를 활용한 도로주변 시설물 DB 구축 및 위치 정확도 평가 (Evaluating a Positioning Accuracy of Roadside Facilities DB Constructed from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

  • 김재학;이홍술;노수래;이동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9-106
    • /
    • 2019
  • 최근 자율주행 분야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이하여 주요한 기술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자율주행 분야는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중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정밀도로 지도 및 도로시설물 구축을 위한 DB 분야가 필수적인 부분이다. 기존 2차원 자료형식으로 제작되고 관리되던 지도 DB가 3차원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더불어 이러한 정밀도로 지도를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로 Mobile Mapping System(MMS)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특히 MSS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자료 중에서 LiDAR를 통해 취득되는 정밀 Point Cloud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정밀도로 지도 구축 및 도로시설물 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관련 DB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정밀도로 지도 제작 시 3D 모델링을 위한 기반 데이터로만 활용되는 것으로만 국한되어 그 사용 범위가 넓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MMS 취득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MMS LiDAR Point Cloud를 활용하여 도로 주변 시설물을 추출하고, 그 위치를 현장조사 성과와 중첩하여 비교 분석하여 그 위치 정확도에 기준한 도로시설물 분야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oint Cloud로부터 전신주와 통신지주 DB를 구축하고 도로명주소기본도와 위치 비교를 수행한 결과, Point Cloud에서 추출한 시설물 DB의 위치 정확도는 도로명주소기본도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MMS Point Cloud 자료를 도로시설물 관리 분야에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추후 이를 통해 도로시설물 지도 확대 구축하고, 도로대장 관리 등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비쿼터스 환경의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을 위한 모듈 설계 (Design of Facility Monitoring System Module for Ubiquitous Computing)

  • 이우식;남상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6-609
    • /
    • 2006
  • 국내 건설업은 90년대 중반 이후 잇따른 건설구조물 붕괴사고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구조물의 완공 자체에만 치중하여 유지관리분야에 대해서는 상당히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 국내의 시설물 모니터링체계는 유선방식의 대형시설물을 중심으로 극히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바, 전국의 노후화된 수많은 중, 소형 시설물을 모니터링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센서, 센서네트워크, 무선통신 등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를 건설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종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는 반면, 실제 실용화를 위한 연구나 기술개발은 미비하며, 특히 시설물 모니터링 분야에서의 적용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을 위해 필요한 각 단계별 모듈 구성에 대한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풍수해 재난관리 업무방향 (Work plan for flood disaster manage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s)

  • 심기오;유병태;박경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37-341
    • /
    • 2009
  • 지구의 평균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지구에 분포되어 있는 극지방의 빙하들을 녹임으로써 지구의 물 순환시스템을 교란시켜 집중호우와 태풍, 가뭄, 낙뢰 등 예측을 불허하는 극한 기상변화를 발생시키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바다의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빙하가 녹거나 바닷물이 팽창하여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는 바, 1990년 대비 2000년대에 동해바다에서는 상승률이 0.07cm/yr이던것이 0.20cm/yr로 나타났으며, 서해바다에서는 0.14cm/yr이던 것이 0.18cm/yr로 나타났고, 남해바다에서는 0.32cm/yr이던 것이 0.34cm/yr 로 평균상승률이 1990년대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방재청의 현행 업무를 중심으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풍수해 업무별 추진해야할 연구과제들을 조사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분야의 정책과 관련된 연구적인 측면의 분야를 제시하기 위하여 최근에 나타난 자연재난 피해현상에 대한 원인 및 대책을 기초로 하여, 재난관리분야에서 추진하고 있는 업무를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예방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소방방재청의 풍수해 재난관리 분야 종합계획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최근 국내 외의 동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1977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최근 30년간의 재해연보에 제시되어 있는 시설물별 피해액을 조사하여 시설물 중 피해액이 많은 순으로 주요피해 시설물을 파악하였다. 여기에서 주요피해 시설물로는 하천, 도로, 소하천, 수리, 농경지, 사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시설물에 대한 피해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규모 풍수해 피해에 대한 현황, 원인분석 및 대책이 제시되어 있는 각종 피해조사 보고서, 연구보고서 및 전문 학술지 기사들을 수집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각각의 재해피해현상에 대하여 시설물의 피해현상, 원인 및 대책을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재난관리 분야 중 우수유출저감시설 관련 제시된 업무방향을 보면 침투 저류를 위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개발연구, 침수위험지구의 지정기준 등급별 방재대책 방안연구, 유역별 재해위험 저감능력의 평가기준 개발, 단위구역별 우수유출저감시설의 확보기준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국내 표준화 방안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자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방안 연구, 피해지역의 매입을 통한 저류지화 방안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효과의 교육 홍보 및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국제 표준화 기준 제정 추진 등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에서 제시된 재난관리 업무분야별 많은 연구과제들이 향후 연구할 수 있는 재원확보로 이어져 재난관리의 업무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으며, 주요 결론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기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나 기후변화대책기획단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분야가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국외의 기후변화 대응사례에서 보면 시설물의 규모를 볼 때 큰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바, 이는 향후의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선진적인 판단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풍수해 관련 주요업무 8가지에 대하여 추진해야할 업무방향 48개를 선정 제시하였다.

  • PDF

모델기반 사회기반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BIM 가이드라인 고찰 (A Study on BIM Guidelines for Model-based Infrastructure Management)

  • 김봉근;김지원;지승구;서종원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0-16
    • /
    • 2012
  • 본 연구는 토목분야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체계에 BIM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BIM 가이드라인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각 가이드라인에서 언급된 내용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건축분야에서 다루는 BIM 가이드라인에 대한 공통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여 토목분야에서 준비가 필요한 항목들을 분류하였다. 또한 건축분야 BIM 가이드라인에서 언급된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관점과 토목분야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관점을 상호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토목분야 사회기반시설물 유지관리에 BIM 기술을 도입하기 전 준비되어야 하는 사항을 응용모델의 발굴, 표준화, 그리고 제도정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