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6초

U-City 주거 환경 서비스의 사용자 가치 분석 : 스마트 홈을 중심으로 (User Requirement Elicitation for U-City Residential Environment : Concentrated on Smart Home Service)

  • 김향숙;김효창;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7-182
    • /
    • 2015
  • 고령자, 장애인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미래의 주거 형태인 스마트 홈은 인간 생활 전반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적 공간이 융합된 곳으로서,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끼칠 잠재력을 가진 공간이다. 따라서 삶의 공간에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실제 니즈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스마트 홈 내의 사용자 가치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광범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를 명확히 분류하고 서비스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가치를 제시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분류하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 중심적 관점에서 스마트 홈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홈의 기능 및 서비스 분류 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스마트 홈 서비스의 기술, 서비스 영역에서의 사용자 요구가치를 도출하고, 앞서 수립된 서비스 분류 체계와의 연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스마트 홈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서비스 방안 연구 -20·30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mart home service plan for ingle-households -Focusing on the 20s and 30s-)

  • 이의진;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9-135
    • /
    • 2018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스마트 홈서비스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스마트 홈 필요 서비스를 파악하였다. 모든 스마트 홈이 그렇듯, 사용자의 사용성 및 목적 패턴에 따라 필요와 임의의 서비스를 대조해 보았을 때 향후 이용에 관한 실효성이 중요하다. 신뢰성 향상과 발전 방향 제시를 위해 주요 사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총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서 현재 스마트 홈의 서비스의 신뢰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신뢰가 낮은 요소로는 사용성에 부족한 접근방식, 기기 인식 부족 능력 그리고 특성화 서비스 부족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 홈서비스가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스마트 홈서비스와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상황 인지 기반의 스마트 홈 모니터링 및 제어 기술 (Context Aware based Smart home monitoring and controling using Smart phone)

  • 허태호;김현우;이창현;이승룡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65-67
    • /
    • 2011
  • 스마트 홈은 유비쿼터스 환경을 가정 내에 실현하여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친화적인 주거생활, 삶의 질 혁신을 추구하는 주거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표에 더 가까이 접근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일화된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있는 GPS, Accelerometer, System Log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더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시하고, 스마트 홈의 상황을 사용자가 좀 더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기반의 모니터링 및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Empirical Analyses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s)

  • 이일구;김상훈
    • 서비스연구
    • /
    • 제9권2호
    • /
    • pp.55-76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서비스특성이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들의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고, 서비스특성에 관한 구성변수로서 편재접속성,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 등 네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술수용에 관한 이론적 모형들인 기술수용모형(TAM) 및 수정된 기술수용모형(Updated TAM), 이성적 행동이론(TRA)과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용이성과 주관적 규범 등 세 변수를 도출하고, 조절 변수로서 사용자 혁신성을 포함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모형과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스마트홈 서비스를 현재 사용자이거나 사용예정자인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분석 가능한 436명의 응답결과에 대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재접속성은 지각된 용이성에만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용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주관적 규범 모두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사용자 혁신성은 편재접속성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과 지각된 용이성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보다 혁신성이 강한 사용자일수록 편재접속성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유용성에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며, 또한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높을 때 스마트 홈 서비스 서비스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 연구 - 인지된 혁신 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unctional priority of smart home service for single-person household - focusing on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

  • 임세은;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7-52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의 잠재적 초기 수용자로서 1인 가구를 선정하여, 1인 가구의 채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적 우선순위를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그 가치에 비해 확산이 매우 더디며, 특히 국내 스마트 홈 관련 시장의 경우 도입기에 정체되어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혁신 확산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채택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이 아니면 따로 가정을 관리할 가족 구성원이 없는 1인 가구를 스마트 홈 서비스의 잠재적 초기 수용자로 선정하여 설문을 통해 우선순위의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설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인 가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대표적 특징을 꼽아 이에 따른 측정 문항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이 후 스마트 홈 서비스의 개념 및 현황을 살펴보고, 대표 사례들을 분석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 기능들을 선정한 후 이에 혁신 확산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선정된 인지된 혁신 특성 3 요소를 적용하여 측정 문항을 구성하였다. 총 62개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저히 낮은 값을 띄는 기능을 제외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 우선순위를 제안한다. [스마트 알람 -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 자동 온·오프 타이머 - 내부컨디션 모니터링 - 그룹제어 - 보안 카메라 모니터링 - 원격제어 - 스케줄링/규칙설정] 이와 같이 구성된 기능적 우선순위는 1인 가구에게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이며, 스마트 홈 서비스의 채택률을 높이는 출발점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연구 -20·30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 Home Life Style for Single households - Focusing on the 20s and 30s -)

  • 이의진;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31-237
    • /
    • 2017
  • 본 연구는 급증하는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스마트 홈서비스의 필요를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패턴에 따라 필요와 임의의 서비스를 대조해 보았을 때 향후 이용에 관한 실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1인 가구 설문조사를 통해 의, 식, 주, 행, 여가, 소통, 소비, 모바일라이프 등 8가지를 항목으로 선정하여 질문하였고, 1인 가구 특성화 질문을 추가로 넣어 앞으로의 서비스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1인 가구의 20 30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고찰하여 경쟁력 있는 스마트 홈서비스가 제시될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스마트 홈서비스의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며, 기존 방안 개선 및 발전 방향의 기로가 되고자 한다.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등급 측정을 위한 모델 개발 (Intelligence level Measurement Model for Smart Home Appliances)

  • 이환범;남영호;권순범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7-395
    • /
    • 2006
  • 홈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의 여러 응용분야 중 활발하게 연구 구현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로, 최근 아파트 건설업체, 가전기기 업체, 통신서비스 업체들이 지능성을 갖춘 스마트 홈을 목적으로 다양한 시험제품과 솔루션을 출시 흑은 제시하면서 이를 자사의 중요한 마케팅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스마트 홈 기기의 제품 경쟁력은 제품이 얼마나 지능성을 갖추어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에 대한 측정기준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정보가전기기를 지능성 측정 대상으로 하여 지능등급 부여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로봇분야의 다양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지능성 측정에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 및 재 정의하여 등급모델을 설계하였다. 특히 설계된 등급부여모델의 실질적 이용을 위해서는 평가방식에 있어서 계량화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평가모델의 특성상 다차원적인 지능성의 속성을 총합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퍼지이론(Fuzzy Theory)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정규화하기 위해 퍼지적분(Fuzzy Integral)을 이용하였다. 산출된 적분값을 다시 비퍼지화하여 지능성 등급을 부여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지능성 등급부여 모델은 스마트 홈 네트워크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TV홈쇼핑과 스마트 미디어 재구매 의도의 관계 요인 분석 연구 - 관계결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Factors of TV Home Shopping and Smart Media's Repurchase Intention : Focuing on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Bonding)

  • 김복준;장석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27-147
    • /
    • 2018
  • 본 연구는 홈쇼핑과 이용자 간 지속적이고 호의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TV 홈쇼핑과 애플리케이션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인이 관계결속을 매개로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홈쇼핑 상품의 재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홈쇼핑에 대한 관계결속은 특정 서비스 품질 요인과 재구매 의도 사이에 형성된 영향관계를 완전 매개 혹은 부분 매개하여 브랜드자산 구축과정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관계결속의 매개효과는 홈쇼핑 플랫폼에 따라 상이하게 제시되었는데, TV+애플리케이션 집단의 TV 홈쇼핑 이용에 대한 관계결속은 아무런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다. 또한, 이용자의 평소 미디어 이용 습관에 따라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인이 관계결속을 매개로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에 대해 신기술 채택 및 브랜드자산과 관련된 이론 및 개념을 적용하여 홈쇼핑 상품 구매 시 이용되는 플랫폼 특성과 이용자의 평소 미디어 습관에 따라 기술수용 과정 및 브랜드자산 구축 과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홈쇼핑 사업자들이 자사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유인 방안을 고민하며 홈쇼핑 플랫폼별로 적합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 역시 가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스마트 홈네트워크에서 경량화된 디바이스 인증/인가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ghtweight Device Authentication/Authorization Scheme in Smart Home Network)

  • 문종식;이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8-1111
    • /
    • 2008
  • 홈네트워크 기술은 통신과 방송 융합,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빠른 이동 등 IT 전반적인 환경에서 빠른 변화와 함께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함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융합되어 IT 분야 통합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디바이스 인증기능을 추가하여 유효한 디바이스를 통해서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한 단계 강화된 보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 먼저 보안 고려 사항을 선행하여 점검해야 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로의 진화는 다양한 서비스 도메인에서 홈디바이스 이동이 증가될 것이며, 홈디바이스간의 협업에 의한 새로운 홈서비스가 증가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의 진화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안전한 이동과 seamless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홈디바이스 인증/인가 기술이필요하다. 따라서 홈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의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댁내와 댁외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효율성있는 경량화된 디바이스 인증 및 인가 기술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홈 환경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추론 모델 (Intelligent Service Reasoning Model Using Data Mining In Smart Home Environments)

  • 강명석;김학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B호
    • /
    • pp.767-7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추론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들 중에 하나인 C4.5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서비스 추론에 쓰이는 서비스 트리를 생성하고, 정량적 특성 규칙과 정량적 판별 규칙을 이용하는 정량적 가중치 산정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추론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