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v.2
no.12
/
pp.525-532
/
2013
Recently smartphones, tablet, etc. Various types of smart terminal is due to the increased security in mobile devices are becoming an issue. How to enter the password in this environment is a very important issue. Difficult to have a secure password input device on various types of mobile devices. In addition you enter on the touch screen the password of character, uncomfortable and it is vulnerable to SSA attack. Therefore, in this paper provide for defense the SSA(Shoulder Surfing Attacks) and useful password input mechanism is proposed with Smartphone GPS uses a value generated via a graphical password techniques.
소셜네트워크의 등장은 기업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초기의 기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자사 고객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활용되었지만, 최근의 기업 SNS는 자사내의 조직강화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고 있다. 직원들의 수평적인 아이디어 뱅크와 인맥 형성(Human networks)을 위해서 많은 기업들이 SNS 활용을 시도하고 있다. 기업 SNS의 활용도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Anywhere, Anytime 접근 환경이 지원되어야 한다. 기존 SNS 활용도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지원도 기업 SNS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은 PC와 같은 기존 사용자 환경에 비해서 보안적으로 많은 취약점을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업 SNS에모바일 단말 활용 시 대두될 수 있는 보안 취약성을 점검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2015.05a
/
pp.703-705
/
2015
정보기술환경이 모바일, 클라우드, BYOD 기반으로 변화함에 따라 과거 통화기능에만 머물던 모바일 단말은 인터넷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및 모바일 오피스를 뒷받침하는 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단말의 분실과 도난, 악성코드 감염으로 인한 도청 및 정보유출 등의 위협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의 핵심정보가 유출되는 경로로서 활용되는 사례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조치가 시급하다. 기업은 핵심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통제를 강화하고 스마트폰 카메라에 대한 스티커 부착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고 있지만 원천적인 보호조치로는 미흡한 실정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RFID, Beacon 등을 활용하여 위치기반서비스가 적용된 보안통제기능을 적용하고 위험평가기반의 출입자 보안정책을 수립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직접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2016.10a
/
pp.214-215
/
2016
기존 전력망과 최신 IT기술의 융합을 통해 탄생한 차세대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의 확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스마트그리드 환경 하에서 동작하는 단말기기, 운영시스템 간 보안통신에 대한 요구사항이 급증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적법한 인증과정을 거친 인가된 기기와 서버 간 안전한 통신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PKI 기반의 기기 보안인증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 간 PKI 기반의 기기 보안인증 통신을 위해 스마트 기기용 암호화 키를 안전하게 생성, 관리 및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은 스마트 기기에 대한 안전한 키 관리 및 주입은 물론, 모바일 장비를 활용한 이동식 키주입 방법을 지원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의 암호화키 노출 등 해킹사고 발생 시 장비교체에 따른 전력서비스 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v.21
no.5
/
pp.109-127
/
2011
Mobile Office is a new type of working method in the workplace that can be used at any time or anywhere by connecting to the network with mobile devices. This allows people to do their jobs without their physical presence in their offices to use computers. The elements in mobile office environment are advancing. They include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the smart phones, the network enhancing strategy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expansion of the wireless interne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ecurity guidelines or policies against these threats on the new environment, the mobile office, although there is the revitalization policy of smart work supported by the government. CERT and ISAC, the known security system as of now, could be used for the secure mobile office, In this paper, suggestions are to be provided for strengthening the security of smart mobile office by analysing the functions of CERT and ISAC.
IT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의 고사양을 가진 모바일 단말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이 사용하는 IEEE 802.11 표준 기술 또한 지속적인 보완작업과 개정작업을 통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 되었으며, 데이터 전송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anagement Frame의 무결성 확인 과정의 부재로 인한 보안 취약성이 아직 남아 있으며, 이를 악용하는 악성행위자의 ARP Spoofing 공격, AP DoS(Denial of Service) 공격, Mac Spoofing 을 기반한 Rouge AP 공격 등에 취약하다. 공공기관, 회사에서는 위 같은 취약점으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WIPS 시스템을 도입하였지만, 이 또한 Management Frame의 취약성을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없었다. 때문에 IEEE 802.11 워킹그룹은 Management Frame 보안성을 향상시킨 IEEE 802.11w-2009 표준 기술이 제안 하였으며, 이로 인해 Management Frame의 무결성을 확인하지 않아 발생하는 취약성으로 인한 보안 위협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IEEE 802.11w 표준 환경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보안 위협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IEEE 802.11w 표준에 대하여 살펴보며, IEEE 802.11w 표준 환경에서의 보안 기술에 대한 동향 알아본다.
Due to the IT convergence trend, many industrial domains are developing their own IoT services. With batteries and lightweight devices, IoT could expand into various fields including smart farms, smart environments, and smart energy. Many battery-powered IoT devices are passive in enforcing security techniques to maintain service time. This is because security technologies such as cryptographic operations consume a lot of power, so applying them reduces service maintenance time. This vulnerable IoT device security environment is not stable. In order to provide safe IoT services, security techniques consider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oT device authentication technology tha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The proposed technology is a device authentication function based on the Diffie-Hell man algorithm, and has the advantage that malicious attackers cannot masquerade the device even if salt is leaked during the transmission section.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the authentication technology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ID/PW-based authentication technology was compa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hentication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consumes relatively little power. If the authentication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IoT devices, it is expected that a safer IoT security environment can be secured.
지난 10년 동안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가히 혁명적인 영향을 끼쳐 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10년이 인터넷 혁명의 시대였다고 한다면 향후 10년간은 모바일 혁명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들 이야기합니다. 모바일 혁명 시대의 핵심에는 스마트폰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작년 이맘때쯤 국내에 아이폰이 도입되면서 국내에도 불붙기 시작한 스마트폰 광풍은 모든 비즈니스와 우리 생활에서 혁명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플랫폼 개발업체, 이동통신업체, 단말 기업체, 콘텐츠 개발자 등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모바일 생태계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을 탄생시키고 있고, 개인들의 생활속에서도 스마트폰은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산업 전반과 삶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스마트폰은 과연 안전한 것일까요? 스마트폰은 다양한 앱이 구동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을 가지고 있고, 앱스토어를 통해 누구나 앱 사용자이자 제공자도 될 수 있습니다. 또한, 3G뿐만 아니라 Wi-Fi, Bluetooth, PC Sync 등 다양한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해 줍니다. 이러한 개방성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개방성은 악성코드 감염, 해킹, 프라이버시 침해 등 역기능이 발생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해 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스마트폰 해킹 사고는 국내외에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올 4월에 국내에서도 첫 스마트폰용 악성코드가 발견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524건의 모바일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폰 해킹은 현실화되어 우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본 특집에서는 스마트폰 보안과 관련한 정부의 정책방향, 보안위협과 사례, 프라이버시 이슈, 보안시장 전망, 국내외 표준화 동향, 전문인력 양성계획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ark, Byoung Ha;Hong, Sung Hye;Jung, Kwang Mo;Koh, Byoung Soo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12.11a
/
pp.241-242
/
2012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등 이종기기가 접속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보안 정책 기반 리소스/콘텐츠 접근 제어를 통해 단말 로컬콘텐츠, 클라우드 아카이버 콘텐츠가 연동된 채널 형태의 융합형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주도로 이종 단말 간 연계를 통해 제공하는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이종기기 연계형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기술 개발에 관하여 논한다.
With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verging with ICT and changing into the era of smart manufacturing. In the smart factory, all machines and facilities are connected based on ICT, and thus security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as it is exposed to complex security threats that were not previously recognized. To reduce the risk of security incidents and successfully implement smart factori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ey security factors to be appli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l environment of smart factories utilizing ICT. In this study, we propose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model of security factors in smart factory' that includes terminal, network, platform/service categories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security factors to be applied when developing smart factories. We conducted an assessment of importance of security factors to the groups of smart factories and security experts. In this study,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curity factors of smart factory was derived by using AHP technique, and the priority among the security factors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ontributes to building the smart factory more securely and establishing information security required in the era of smart manufacturing.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