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지식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25초

교육소외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수학학습에서 나타난 수학적 오류: 탈북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Mathematical Errors of Minority Student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and Low-SES in Learning of Mathematical Basic Concepts)

  • 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3-227
    • /
    • 2012
  • 본 연구는 교육소외 계층에 속한 학생들의 수학학습을 돕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 초 겨울방학 3개월을 이용하여 자원하는 학생 소수를 대상으로 탈북학생 집단과 저소득층 학생 집단에게 15차시의 보충학습이 각각 제공되었고 관찰과 면담, 그리고 녹음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학학습에서 탈북학생과 저소득층 학생 모두 학습부진아들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용어에 대한 정확한 개념습득이 부족해서 설명을 하지 못하였고, 정의와 정리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낮아 그 의미를 사용해야 할 곳에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것도 유사하였다. 게다가 확실하지 않은 지식으로 인하여 자료의 이용도 제대로 하지 못하였고, 집중력이 떨어져 부주의로 인한 오류도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차이점으로는 탈북학생들은 남한이 외래어(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에 익숙하지 않아 발생하는 기술적 오류, 한자어 해석 오류, 잘못 이용된 자료 등 오류의 특징이 생소함에서 오는 오류가 많은 반면, 저소득층 학생들은 이미 들어서 알고 있으나 연습부족에 의한 부주의가 많은 특징을 보였다.

  • PDF

수학과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est Practice" in Mathematics)

  • 이대현;최승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49-263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과 좋은 수업에 대한 사례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수학과 교사들의 좋은 수업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학과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정된 6명 교사들의 수업 사례에서 '좋은 수업'이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재구성한 수업, 실생활 상황을 도입한 수업, ICT를 활용한 수업,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도입한 수업, 동기 유발이 가능한 수학 수업, 수행평가를 도입한 수업, 수준별 소집단 협력 수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6명의 교사들은 여러 가지 현장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소재에서 출발하여 학생들과 같이 하는 수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6명 교사들의 좋은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로서의 순수한 열정과 노력의 결과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좋은 수업의 특징은 실질적인 수학과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교 교육의 내실화는 수업의 내실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의 수학교육 동향에 비추어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을 계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들 수업에서 발견되는 수업의 특징을 새로운 학교 수학 수업의 기준점으로 삼아, 수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현실적인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PDF

고등학교 통계 수업 시간에 나타난 교사-학생 간 수업담화 분석 - Mehan의 이론을 중심으로 -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High School Statistics Class - Focused on Mehan's Theory -)

  • 이윤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03-22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통계 수업 시간에 발생하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수업담화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Mehan(1979a)의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수업담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참여 수학교사의 전형적인 통계 수업담화에 해당하는 1차시를 선정하고 이를 수업의 구조, I-R-E 연속체, 수업의 사회적 참여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참여 교사의 통계 수업은 Mehan(1979a)의 기본적인 수업 3단계인 도입-전개-정리의 틀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지식 전달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I-R-E 연속체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질문하고 교사가 답을 이야기하는 $I_T-R_T$ 구조가 자주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가 거의 없는 독백적 수업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이 담화에 참여할 수 있는 통계적 맥락을 형성하여 담화 학습 공동체를 만들고 메타과정적 유도행위를 통한 논증적 담화를 유도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통계적 확률 지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Probability Instruc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 신보미;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39-156
    • /
    • 2006
  • 학교 수학에서 통계적 확률을 보다 의미 있게 지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수의 선행 연구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귀납적인 조작 활동을 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계적 확률이 지도될 때 그 지식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그 구체적인 수업 안을 제시하고 있는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살펴보았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통계적 확률 지도가 의미 있기 위해서는 현재 교육과정에 수학적 확률이 정의될 수 없는 사건에 대해 통계적 확률을 고려해 보는 확률적 상황의 첨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통계적 확률을 지도하는 방안을 구체적인 수업 자료를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 PDF

컴퓨터 대수와 베이지언 추론망을 이용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e-러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daptive e-Learning System for Engineering Mathematics using Computer Algebra and Bayesian Inference Network)

  • 박홍준;전영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76-28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웹 저작 환경과 베이지언 추론망을 적용한 학습자 진단 환경이 포함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면 교수자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수식처리 엔진으로 하며 웹을 인터페이스로 하는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대수, 미분방정식 및 이산수학의 영역에서 콘텐츠 개발의 예를 소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지식 영역별 수준을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통계적 추론에 의해 진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피드백을 생성하는 적응적 이러닝 웹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발한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 결과물을 대학 강의에 적용하였고,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콘텐츠 사용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High School Students' Reasoning Characteristics in Problem Solving)

  • 강윤수;김민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41-26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추론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섯 명의 고등학생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에게 다양한 전략적 접근이 가능한 개방형 과제를 부과한 후, 그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관찰하였다. 문제해결 과정을 그들이 작성한 답안지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과제를 접할 때 문제이해 없이 성급하게 계산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학생들은 스스로 선택한 전략의 결과에 대해 수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정당화하기보다 정답을 구했는지에 대해 더 관심이 많다. 셋째, 문제해결에 필요한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학생들은 과제와 관련된 선행지식을 활용하는데 능숙하지 못하다. 다섯째, 학생들은 지나친 일반화로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PDF

한국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량형 서술 내용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about Narrative of Weights and Measures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이종학;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83-197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도량형 관련 교수·학습과 차기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량형 내용 집필 시 참고 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량형에 관한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참고하여 정의 및 개념, 측정단위, 연산 등 세 가지 관점으로 교과서의 서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량형 정의의 도입은 명시적 표현보다 예시적인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둘째, 도량형 내용요소와 단위 도입 순서에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측정 단위 사이의 연산은 절차적 지식의 접근보다는 연산처리에 집중하고 있다. 넷째, 이수 학년과 이수 학기에 따른 도량형의 학습내용과 학습량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한 이유와 근거 제시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뉴질랜드 초등학교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ortfolio Assessment in New Zealand Elementary School -Centered on Elementary Mathematics-)

  • 최창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63-80
    • /
    • 2008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의 측면에서 지금까지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기법 중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하여 외국, 특히 뉴질랜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인 포트폴리오의 샘플 및 사례를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제시함으로서 독자들에게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포트 폴리오와의 비교분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몇 가지 시사점을 주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시사점은 뉴질랜드 초등학교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다양한 관점에서 그리고 실생활 전반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었으며 교과서적이고 인위적인 문제가 아닌 실생활의 상황 혹은 맥락을 그대로 여과 없이 다루고 있다는데 그 특정이었으며 언제나 교육과정의 각 영역을 골고루 다루면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상대적으로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중국 대학입학시험의 수학 평가내용 및 구성 고찰 (A Study on the Assessment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China)

  • 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85-100
    • /
    • 2011
  • 중국 대학입학시험의 정식 명칭은 '보통고등학교초생전국통일고시식(普通高等學校初生全國統一考試)이며, 일반적으로 줄여서 '고시(高考)'라고 부른다. 고시(高考)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의 지식과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및 동등학력을 갖춘 학생이 치르는 선발고사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수능과 매우 유사하다. 이런 점에서 고시(高考)의 수학과 평가 내용 및 구성 고찰을 통해 수능 수리영역에 주는 발전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Improving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e through Practice and Reflection)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77-292
    • /
    • 2012
  •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생 평가 전문성은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평가를 실시하여 채점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고, 그것을 반성할 때 신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 과정 전반을 경험하는 실습과 학습 일지를 통한 반성을 경험하게 하여 이들의 평가 전문성 신장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학습일지는 예비교사의 평가 관련 지식, 학생과 교사의 이중적 입장, 평가 실행의 영역에서 분석되었고, 그 결과 이 세 가지 영역은 상호작용하며 예비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각각의 영역은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양적으로 확인한 결과,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신장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