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변화

Search Result 1,13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French Revolution and Mathematical changes (프랑스 혁명과 수학의 변화)

  • Choi, Jong-Su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1
    • /
    • pp.33-44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a historical case- the French Revolution- of conceptual change in mathematics. The case that is a space of possibility gave birth to a new community of mathematical practitioners. Carnot and Monge shared the particular conceptions of the problems, aims, and methods of a field and contributed to found Ecole Polytechnique. I intend to show how Carnot's and Monge's mathematical endeavours responded to soci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French society.

  • PDF

대학수학에서, 글쓰기를 통한 호의적인 태도변화 모색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411-422
    • /
    • 2001
  • 대학수학에서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수학전반에 대한 학습진단, 느낌, 대책, 자기경험등 여러가지를 발표토록하여 바람직한 수학관을 갖고 수학학습태도를 기르도록 도움을 줄 기회를 갖게 하며, 수학이 중요하고 필요함을 깨우쳐 수학이 그들 인생의 동반자가 되도록 한다.

  • PDF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 고등학교 중심 -

  • 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37-270
    • /
    • 200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부진아를 위하여,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고, 학습의 전이가 높다고 생각되는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수학적 능력향상, 학습부진아에게 새로운 흥미와 학습 의욕을 야기 시켜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 학습부진아의 원인을 규명하고, 개인차에 알맞은 학습과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여 학습의 전의력을 높임으로써 수학교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구성 적용하고, 학습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부정'을 통한 발전적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 Han, Gil-Jun;Jeo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29-750
    • /
    • 2002
  • 고대 이후로 수학은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고, 지금도 발전 지향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학을 발전적 관점에서 보는 것은 기존의 수학적 지식을 답습하여 그 기능을 익히는 것보다는 수학을 끊임없이 창조, 발전시키는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수학에서 발전적 학습은 대상을 고정된 것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결과가 얻어졌더라도 보다 더 나은 방법을 알아본다거나 또는 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인, 보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적 수학학습은 증명과 반박의 과정, What if not, 관점의 변경, 부정에 의한 방법 등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적인 수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고찰하고 특히, 부정을 통한 발전적 학습 전개의 방법 및 과정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발전적 수학학습에 대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changes about motivation in microteaching (마이크로티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수업 행동과 변화)

  • Shim, Sang K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4
    • /
    • pp.643-66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s' experience in microteaching influences their motivations toward teaching behaviors and changes by analyzing their teaching records and class reports. Although respondents planned to conduct various strategies pertaining to motivations, some of them were not used. Also, motivations toward their teaching behavioral changes leaded to positive aspects, but also leaded to negative ones. These findings imply that only two times microteaching experiences would not be sufficient to lead to positive teaching behavioral changes through their motivations. However, pre-service mathematics reported a high level of intention to change their teaching behavior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process regarding their teaching. Therefore, teacher eduction institutions should develop well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and apply them to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teaching and its review through motivations. In addi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experienc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microteaching would be necessary for improving their teaching behavior through motivations.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Domain Changes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고등학교 수학 평가의 방향 탐색)

  • Choi, Inseon;Lee, Sehyung;Moon, Duyeol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6 no.2
    • /
    • pp.137-15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hifts in the mathematics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since its inception in 1993, with the intent of identifying improvements for the future. The goal is to provide insight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test system, content area, and behavioral area within the CSAT mathematics domains.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test structure influences the assessment factors and item types, in addition to the examination time and number of items. Second,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 w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area,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tting the assessment area.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behavioral area tended to the item-type fixation,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ongoing modifications in evaluation item types. Building up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direction of an evaluation that considers the evolving demands and shifts within mathematics education.

A Case Study on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via Web-Based Online Discussion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을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 지도에 관한 사례연구)

  • 권오남;김인숙
    • School Mathematics
    • /
    • v.5 no.1
    • /
    • pp.77-95
    • /
    • 2003
  • We have web-based online discussion to implement active interaction and a variety of communicative activities. I have gathe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study about the meaning of web-based online discussion as a mathematical communication teaching method. First, what changes are there in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ulcorner Second, how do students evaluate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experience\ulcorner In this web-based online discussion, groups of middle school first grade 34 students and each group had chatting at 8 times for 10 weeks. I analyzed what they had discussed by the prints that they had sent me by e-mail. I also surveyed what they had experienced and analyzed them. In this research, the online web based discussion has given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mpetence of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which are crucial to mathematical communication. Students' mathematic thinking power improved and attitudes to mathematics have become more positive.

  • PDF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예측

  • 문성양;박진화;김태규;이상수;배승권;박욱연;신일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23-124
    • /
    • 2001
  • 식품 위생과 관련하여 그 안정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기술로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생장 변화를 예측하는 예측미생물학분야의 중요성이 최근 크게 대두되고 있다. 수학적 모델은 정성적 분석 결과 및 경험치의 의존도가 높은 HACCP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병원미생물의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위한 저비용의 유효수단으로 높이 인정되고 있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bout the Conn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Ko, Junghwa;Kim, Tae-Eun;Roh, Won-Kyoung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1
    • /
    • pp.135-156
    • /
    • 2015
  •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school and the simple change of grades. This time is also a critical time that many students would be to aband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experience in conjunction with mathematics, this timing can be either bright or dark outlook with relation to mathematical development. Thus, at this turning poi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changes the students are experiencing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hat such changes effect the students, whether or not there is room for improving such changes etc.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math lesson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in junior high school, we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experienced by students who have been placed in the turning point and suggest implications to help them to land softly into junior high school.

초등학교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 Han, Gil-Jun;Lee, Yang-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19-126
    • /
    • 2003
  •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지도하다 보면 문제해결력이 상당히 낮다는 것을 자주 경험하곤 한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고민하고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보는데, 그 해결 방안으로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여 아이들의 전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높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하여 소집단의 구성을 수학 성적을 토대로 하여 5단계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로는 크게 3가지로 정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일제 학습에 비하여 수학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는가? (실험반과 비교함) 둘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개인별 수학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켰는가? (개인별 비교; 실험반에 국한됨) 셋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수학 교과에 대한 아동들의 수학적인 태도변화를 가져왔는가? 위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들을 해결한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나왔고, 또한 5단계로 분류한 아동들 개개인의 문제해결력에서는 특히 중하위권에 있는 아동들이 실험 후에 문제해결력이 높게 나왔다. 끝으로, 아동들의 수학적인 태도 변화에 관한 설문에서는 소집단 협력학습으로 인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많이 생긴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에서 주장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소집단 협력학습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아동들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또 하나의 수업 형태로서도 시도해 볼만한 것이라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