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종간 상관관계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원주시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백길전;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61-69
    • /
    • 1999
  •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에 위치하는 성황림의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개의 조사구를 성황림의 평지림과 사면림에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성황림의 산림군집은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과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으로 복자기나무 - 졸참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라 판단되며, 사면림의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느릅나무와 으름덩굴.복자기나무.줄딸기, 복자기나무와 으름덩굴, 회잎나무와 졸참나무, 참회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아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질적인 지위(niche)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뽕나무와 쪽동백나무, 복자기나무와 쪽동백나무.당단풍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이질적인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303~1.2741로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299-308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명선봉(1.586m)에서 덕평봉(1.521m)에 이르는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천연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26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신갈나무-구상나무 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뽕잎피 나무와 철쭉 마가목과 산벚나무, 층층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잣나무와 노린재나무 등의 수종들간에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종다양도는 1.0572-1.0931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32%가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평균은 9.03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는 해발고와 낙엽퇴의 두께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Analysis of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에서의 수종간(樹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의 분석(分析))

  • Kim, Ji Hong;Kuen, Kee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0 no.4
    • /
    • pp.360-368
    • /
    • 1991
  • Utilizing chi-square test statistics,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were analyzed for the 37 woody plant species in a deciduous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Q. variabilis. within 50 temporarily established $20m{\times}20m$ square quadrats, the association for each pair of species was presented based on the presence-absence parameters. Acer palmatum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Acer mono and Kalopanax pictus,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Pinus densiflora. Other positively associated species pairs were Prunus sargentii-Macckia amurensis, Quercus serrata-Kalopanax pictus, Symplocos chinensis var. pilosa-Euonymus oxyphyllus,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Lindera obtusiloba. The covariation far each pair of speci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quantitative measures, density and basal area.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and covariation values among species generally agreed with each other. Because covariation was calculated by density and basal area of the tallied species in the sample plots, the number of species pairs of covariation tended to be greater than those of association. Especially, Pinus densiflora, considered to be pioneer species in the successional stage, had negative covariation with most of climax species. These ecological information could be applied to silvicultural practices, such as ecosystem classification, establishment of mixed hardwood forest, and tending operations for marking crop trees and desirable species.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9 no.2
    • /
    • pp.147-155
    • /
    • 1996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27 plots(20$\times$2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e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Tilia amurensi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Malus faccata and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Prunus padus and Viburnum sargentii,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pronus padus, Tilia amurensis and Prunus padu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Prunus padus.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0.9586~1.1814.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2
    • /
    • pp.135-141
    • /
    • 1995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Chuwangsan, 21 plots(20$\times$2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wo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Carpinus laxiflora and Fraxinus rynchophylla,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Lindera obtusiloba and Stephanandra incis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Acer mono and Fraxinus sieboldan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Quercus variabilis.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1.1306~1.2688.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Wangkoam, Kumunkwangi Are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국립공원 왕거암, 금은광이지구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2
    • /
    • pp.142-149
    • /
    • 1995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Wangkoam and Kumunkwangi Area(400-700m) in Chuwangsan, 23 plots(20$\times$2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wo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Carpinus laxiflora and Tilia amurensis, Acer mono and Deutzia parviflora, Lespedeza maximowiczii and Sorbus alnifoli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Prunus padus and Sorbus alnifolia, Acer mono and Fraxinus sieboldiana, Deutzia parv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1.2167-1.3945.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덕유산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7 no.2
    • /
    • pp.164-171
    • /
    • 1994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natural forest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29 plots (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Four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nus mongolica and Fraxinus mandshuric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Lespedeza bicola,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nd Taxus cuspidata, Magnolia sieboldii and Callicarpa japonica, Taxus cuspidata and Abies korean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Taxus cuspidata, and Lonicera maackii.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0.9969~1.2217.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solbong Area in Sobaeksan (소백산 도솔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김준선;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6 no.2
    • /
    • pp.127-133
    • /
    • 1993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Dosolbong area in Mt. Sobaek, 20 plots(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ilia amurensis, Weigela subsessilis,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and Stephanandra incisa, Lespedeza bicolor and Styrax obassi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Symplocos chinensis, Carpinus cordat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2.2521-2.3772. Leontopodium japonicum community at Dosolbong area in Mt. Sobaek should be conserved.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Community at Subalpine Zone Area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28-3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화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사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42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세 개의 군집인 신갈나무-당단풍군집 구상나무-신갈나무군집 구상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물들메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거제수나무와 노각나무 물들메나무와 말발도리 거제수나무와 물들메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거제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철쭉과 회나무 주목과 미역줄나무 물갬나무와 노각나무, 잣나무와 마가목, 진달래와 명자순 명자순과 시닥나무,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야도는 1.2389-1.2552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92%가 고사목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3.88이었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Abies koreana Forest-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 김갑태;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70-77
    • /
    • 1999
  • 덕유산의 향적봉과 남덕유산을 잇는 아고산지대(1.350~1.600m)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7개의 조사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덕유산 아고산지대 구상나무림의 종구성적 특성은 신갈나무 - 주목 - 구상나무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주목과 병꽃나무; 호랑버들과 부게꽃나무; 백당나무와 호랑버들; 당단풍과 조릿대 등의 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병꽃나무; 신갈나무와 노린재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해발고와 정의 상관이 인정된 것은 주목과 백당나무 등이었고, 부의 상관이 인정된 것은 쇠물푸레이었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8.18%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10~30cm 의 범위에 드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1.73점이었고, 점수와 토심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 PDF